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콜릿 한스푼 May 02. 2024

나에게도 좋은 일이 생길까요?

글을 쓰면서 견디는 건 배고픔.

작년부터 꾸준히 작업하던 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글은 거의 저의 전부를 갈아 넣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죠. 처음 써보는 영역의 글쓰기였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배울 것도 많았고, 고쳐야 할 것도 너무 많았어요. 그것이 힘들었고, 다음은 계속 스토리를 끌고 나가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가장 힘들었던 건 아무래도 아무 소득 없이 꾸준히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무런 소득이 없는 일을 이렇게 오랫동안 꾸준히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곰곰이 생각해 봤는데요. 저는 돈 한 푼 못 벌었어도, 사람들의 반응과 피드백으로 꾸준히 지속했던 것 같아요. 처음 쓰는 작품에서 꾸준히 좋은 반응이 나왔다는 것. 그리고, 사실은 상업성이 없는 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잘 되었다는 것. 그것이 저를 지속하게 만드는 힘이 되더라고요.


남들이 모두 이건 안돼. 원래, 되는 글과 안 되는 글이 있고, 우리는 그 글을 너무 훤히 알아.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글이 너무 쓰고 싶었어요. 그리고, 그 결과는 전문가들이 안된다고 했지만, 생각보다 잘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것이 제 생각을 증명해 낸 것 같아서 너무 기뻤습니다.


원래 그 영역에 전문가들이 오랫동안 일하면서 저보다 훨씬 더 잘 알고, 그분들의 말이 맞는 걸 저도 압니다. 하지만, 저의 소신대로 해봤고, 그 소신이 생각보다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 너무 기뻤습니다. 홍보도 없고, 누군가의 전폭적인 지원도 없고, 다른 어떤 방법도 쓰지 않고 오로지 저의 글로 인정받은 것이라 너무 기뻤습니다. 이런 것이 저에게는 희열을 느끼게 하는 원동력이었고, 제가 틀리지 않았다는 걸 입증받는 것 같아서 너무 기뻤습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할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제 글을 순수하게 봐주시고, 좋아해 주는 분들이 있다는 걸 알았기에 그분들을 위해서 열심히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더. 내가 잘 모르고, 전혀 써보지 않은 글이었지만, 순수하게 내 힘으로 완결까지 이끌고 갔다는 것. 그것이 저에게 가장 큰 행복이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전문가 분들의 말이 맞을지도 모릅니다. 전문가 분들은 상업적으로 되는 글이 무엇인지 가장 잘 아는 분들이잖아요. 제가 완결까지 돈을 단 1원도 벌지 못했던 건 아마도, 돈이 되는 글을 쓰지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는 글을 쓴 지 1년도 훨씬 넘었는데요. 지금까지 글로 단 1원도 벌지 못했던 건 돈이 되는 글을 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브런치에서도 조회수가 10만이 넘어도 단 1원도 벌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계속 글을 쓰는 건 누군가 제 글을 봐주고 있고, 제 글이 조회수로 입증을 받는 것 같아서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글쓰기를 지속하는 힘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제게는 큰 보람이니까요. 하지만, 때론 힘들 때도 있었습니다. 무소득으로 글을 쓰기 위해 저는 현실에서는 힘들게 또 다른 직업을 통해서, 최소한의 돈을 벌면서 글쓰기를 지속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은 너무 힘들어서 가끔 몸과 마음 모두 아플 때도 있었습니다. 이번처럼 심하게 아팠던 적도 없었던 것 같고요.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글 쓰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처럼 72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제 글을 봐주었으니까요. 그리고, 제가 완결하던 날 수많은 독자분들이 댓글을 봇물처럼 적어주셨습니다. 사실 보는 것은 해도, 누군가를 위해 정성스러운 댓글을 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잖아요. 저도 그런 사람이기에 너무 잘 압니다.


그렇기에 그분들의 소중한 댓글 하나하나가 1000만 원을 번 것보다 행복했습니다. 그리고, 정말이지 너무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하나의 작업을 끝내고 나서 비로소 마음의 여유를 찾았습니다. 그러나, 다시 또 글을 쓰는 삶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압니다. 제게도 좋은 날이 오겠죠?


여러분들은 어떤 시기를 보내고 계신가요? 요즘 경기도 그렇고 여러모로 힘든 시기라는 걸 압니다. 하지만, 모두가 잘 극복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서로에게 이로운 사람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지며 이 글을 썼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 21화 나만의 연약함을 견디는 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