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양 있는 아줌마 Nov 23. 2022

과연 "꼴 총량의 법칙"은
존재하는걸까.

꼴. 꼬라지. 성깔 말이다.

인생을 살면서 꼴. 꼬라지. 성깔을 내는 총량이 진짜 존재하는 것인가.


나같은 경우는 학창시절에는 꼴을 잘 내지 않고, 부모님 말씀도  잘 듣는 아이였다.

엄마 힘들까봐 설거지도 곧잘 도왔고, 아빠 일도 반강제적이지만 군말없이 잘 도왔다. 

사춘기에도 엄마, 아빠에게 꼴. 꼬라지를 낸 기억이 별로 없다.

그당시 내가 사춘기를 다른 방향으로 겪었지만 집에 와서만큼은 부모님께 지랄공격을 한 적은 없었다.


이후 결혼을 하고 내 꼴이 발현되기 시작했다. 

특히나 아이를 양육하면서부터 지친 몸과 더불어 지랄병이 생겼다.

자꾸 자꾸 꼬라지가 났다. 모든 상황이 내맘같지 않고, 나를 힘들게 하는 것 같았다.

그렇다. 결혼에 대한 이상이 높았던 건 인정한다. 이때문에 내 처지를 더 비관한 건 사실이다.

내 마음은 늘 울렁울렁거렸고, 표정에서는 찡찡이 묻어나왔다.

이건 슬프게도 현재진행중이다.하아.


문제는 우리 아이의 꼴이다. 정말 사람이 제일 간사스럽다.

나도 꼴을 내면서 왜 아이의 꼴은 더 보기 싫은걸까. 

아마 내가 싫어하는 나의  모습을 닮은 것 같아 불안감이 들고,

그 모습을 보고 사랑하는 아이가 처키인형보다 더 무섭거나 미워 보여서  고통스러운 것 같다. 

아이는 아직 사춘기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비스무레한 행동패턴을 보이기 시작했다.

내 말이 길어질 때는 성의없게 어~어~알았어~라든가.

이유없는 짜증이 늘거나 이유가 있어도 내 입장에서는 정말 하찮다...좀 더 자라고 늦게 깨워도 난리다.

뭘해도 엄마탓이다. 자기가 원할 때만 말한다. 아..... 스트레쑤..


여기서 국그릇인 엄마는 아이를 사랑으로  품어주며 아이의 감정을 살피며 아이가 꼴을 내어도

지금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구나. 생각하며 끝없는 아량으로 아이를 감싸줄것이다.

미안하구나, 간장종지 엄마는 오늘도 너와 함께 누가누가 잘하나 대회를 열며 나보다 훨씬 어린 너를 

상대로 악으로 깡으로 이기려고 노력했다....

무한 굴레다.

나는 아이가 자꾸 짜증을 내니까 나도 짜증이 난다라고 주장하고

아이는 엄마가 짜증나게 하거나 엄마가 짜증을 내니까 자기도 짜증을 낸다라고 한다.

이 무슨 해괴한 일인가. 


꼴 총량의 법칙이 존재한다면 정말 우리아이는 이 시기가 지나면 몸 속에 남아있는 꼴이 조금밖에 없을까.

나 또한 이시간이 지나면 내 몸 안에 남아있는 꼴이 많이 줄어들까. 

내가 학창시절 꼴을 내서 다 써버렸다면 지금은 아이를 큰 마음으로 감싸안을 수 있었을까.

인생과 관련하여 무수한 총량의 법칙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불행의 총량, 행복의 총량. 다 존재할까?

힘든시간을 버텨내기 위한 사탕발린 말일까.

무엇이든 총량의 법칙을 믿고 싶다.


중요한 건 균형이라고 생각한다. 

행복할 때 너무 나대지 말고, 불행할 때 너무  깊은 동굴로 가지 말자. 

아이야, 우리는 비록 지금 서로  꼴자랑을 하고 있지만 이시간이 지나면 더 좋은 일들이 있을거야.

엄마는 오늘도 개미똥꾸멍만큼이라도 달라지려고 또 다짐한다.

이전 04화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 개뻥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