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9 댓글 1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기다림이 만든, 3월

착한사람 컴플렉스

by Mu Feb 11. 2025
아래로

나 자신보다 더 중요한 관계는 없다.

"어떻게 나에게 그럴 수 있어?" 내가 뱉었던 말이다. 하지만 이젠 안다. 사람은 그럴 수 있다. 사람과의 관계란 원래 그런 것이니까. 사람은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그저 사랑해야 할 존재일 뿐이니까.

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 안의 욕구를 들여다보고, 내게 알맞은 관계의 크기를 찾아가는 일이다. 타인의 시선에 맞추어 관계를 늘릴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품는 것. 관계에 주눅 들지 말자. 그것은 결코 나를 위한 일이 아니다.


"호의는 돼지고기까지, 이유 없는 소고기는 없다"는 말처럼, 관계에서 희생을 강요할 수 없다. 후원은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도움이고, 청탁은 대가를 기대하며 베푸는 것이다. 후원과 청탁이 다르듯, 조건이 붙은 친절은 결국 욕심이 된다. 내 행복의 책임을 상대에게 미루면서, 그 희생을 나의 존재 이유로 삼고 있다면, 멈춰야 한다. 타인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희생은 결국 나를 소진시킬 뿐이다.


나는 2남 2녀 중 막내딸로 자랐다. "막내라서 귀여움을 독차지했겠네." 그런 말을 많이 들었지만 나는 첫째 같은 막내였다. 집안에 일이 생기면 가장 먼저 불려 갔고, 가족들은 나를 가장 편하게 부릴 수 있는 사람으로 여겼다. 음악을 한다는 이유로 나의 시간은 언제든 남에게 양보될 수 있는 것처럼 취급되었다. 연습에 몰두하는 시간도, 무대 위에 설 준비를 하는 시간도 그들에게는 그저 한가롭게 보내는 시간처럼 보였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언제든 불려 나가야 했고, 집안의 크고 작은 일들을 도맡아야 했다.


언니가 출산했을 때, 나는 당연하다는 듯 산후조리를 맡았다. 학교를 쉬어야 했다. 새벽에 아기를 달래느라 밤을 설쳤고, 몸은 늘 무거웠다. 다시 학교에 돌아갔을 때도 피로는 사라지지 않았다. 엄마가 아팠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내 생활보다 가족이 먼저였다. 고민할 여지도 없었다. 결국 망설임 없이 사직서를 내고, 병원에서 밤을 지새우며 간병을 했다. 그리고 병원비는 내 몫이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나는 사회에 나와야 했다. 나의 생계를 책임지는 동시에 엄마의 병원비까지 마련해야 했다. 아르바이트와 단기 일자리를 전전하며, 어떻게든 버텨야 했다.


나는 언제나 ‘착한 사람’이 되고자 했다. 감당할 수 없는 짐을 스스로 짊어지고 있었다. 내 마음과 싸우는 데 모든 힘을 써버리고서야 비로소 깨달았다. 그것이 정말 내가 짊어져야 할 몫이었을까? 아니면 가족 관계 안에서 '주어진 역할'이라 믿으며, 희생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려 했던 것은 아닐까? 관계를 위해 나를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지키면서도 다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이제는 나 자신을 돌볼 차례다. 관계에 흔들려 나를 잃지 않고 온전히 나로 서서 단단해지는 마음으로. 어쩌면 그것이 사랑의 다른 얼굴이고, 관계의 새로운 시작일지도 모른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다림이 만든, 3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