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안녕 Jan 05. 2023

4개의 통장으로 쪼개 관리하는 돈

신혼부부 2023 생활비 관리법 


월급의 최소한 60% 이상은 돈을 모아야만 인생에 승산이 있다. 물론, 지금 정도로도 만족하고 살 수는 있겠지만 내가 원하는 건, 지금 내가 꿈꿀 수 없는 정도의 이상이기 때문이다. 오늘도 칸쵸를 사먹은 1인으로서 부끄럽기 그지없지만 그래도 다시 해보는 2023 생활비 계획! 


신혼부부, 우리는 통장관리를 4개로 하기로 했다


[급여통장 > 고정지출통장 > 변동지출통장 > 비상금] 


1. 급여통장 (=신한은행 주거래) 

- 남편의 월급까지 아내인 나에게 입금되는 형태로 매월 '합산'하여 모으는 통장 

- 합산한 월급은 다시 아래 2번 고정지출통장, 3번 변동지출통장 등으로 나누어 이체하고 각각 활용처에 따라 사용하는 형태다. 

- 분리해서 모으는 것도 나름대로 모아갈 수 있겠지만, 한눈에 함께 직관적으로 모으는 게 훨씬 효율적일 것이기에 합하기로 결정했다. 


2. 고정지출통장 (=토스 파킹통장) 

- 저축을 포함해서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보험, 관리비, 도시가스비 등이 빠져나가는 통장 

- 저축 금액이 생활비보다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자율이 높은 파킹 통장을 개설하여 활용하기로. 


3. 변동지출통장 (= 카카오뱅크 체크) 

- 식비, 생활용품비, 여행, 자기계발비 등처럼 개인, 가족을 위해 들 수 있는 생활비를 넣어두고 생활하는 통장 

- 아무래도 식비가 가장 크고 꾸준히 나갈 거라 생각해서 일단은 일주일 10만 원으로 책정해 보았다. 잘 지켜질 수 있을까? ㅎㅎ


4. 비상금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월급이 없어도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생활할 수 있을 정도의 비용을 비상금으로 넣어두는 통장 

- CMA 이율, 효과와 비슷하게 매달 이자를 넣어주는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를 통해 활용하기로. 


그외, 모아둔 예금 다시 돌리고 + 월급은 적금 꾸준히 넣기! 


가계부 쓰기


2023년 가계부는 유튜버 '호호양' 님의 가계부를 구매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 


- 카테고리 구분은 아래와 같이 정리했고, 이제 1월부터 곧 쓸 차례! 목표한 생활비 안에서 잘 사용해보자꾸나 


하나하나 차근차근 우리만의 속도로 

목표를 향해서 :)


이전 08화 청약 모집공고문 요약하는 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