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허균, 허재, 허각... 왜 허씨 중에는 외자 이름이 많이 보일까
허균, 허준, 허참, 허재, 허각... 가만 보면 허씨들은 유독 외자 이름이 많이 보입니다. 기분 탓이 아니라 실제로 허씨 중에는 외자가 많습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외자 이름을 쓴다는 것은 특권이었습니다. 왕건이나 이도, 이산처럼 주로 임금의 이름이 외자였습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임금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불경죄였기 때문에 만약 왕들의 이름을 두 글자로 쓴다면 일상적으로 쓸 수 있는 한자가 적어질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임금의 이름은 외자이되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 한자를 골라서 이름을 지었죠.
허씨가 왕처럼 외자 이름을 쓰는 특권을 누리게 된 것은 고려가 건국되면서부터입니다. 서울 양천구 일대 호족이었던 ‘허선문’이 한강 유역에서 견훤에게 고전하던 왕건을 도운 공으로 대를 걸러 외자 이름을 쓸 수 있는 특권을 받았기 때문이죠. 대를 거른다는 말은 할아버지가 외자 이름을 쓰면 그의 손자가 외자 이름을 쓸 수 있다는 건데, 허씨 가문은 아예 대대로 외자 이름을 쓰기 시작합니다.
이유인즉슨 허씨의 뿌리가 김수로왕의 부인 ‘허황옥’ 왕비로부터 시작했기 때문에 허씨도 원래는 왕족이라는 것이었죠. 고려 초기에는 지방 호족 세력의 힘이 컸기 때문에 결국 이들은 본인들이 원했던 대로 대대로 외자 이름을 쓰는 전통을 이어나갔고, 그게 지금까지 이어져서 허씨 중에는 여전히 외자 이름을 쓰는 분들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