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 충무로, 을지로, 충정로, 퇴계로, 원효로의 기원을 찾아서
종로 인근에는 을지로, 충무로, 퇴계로 등 유독 위인의 이름을 가진 대로 명이 많이 보입니다. 위인들의 이름을 딴 이 도로 이름들은 언제, 왜 지어진 걸까요?
일제로부터 해방되고 1년이 지난 1946년. 드디어 일제의 남은 잔재를 지우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아직 ‘경성부’라는 이름을 쓰던 수도는 ‘서울’이라는 새 이름을 가지며 특별시로 승격되었고, 일본식 이름을 가졌던 동네와 도로의 이름도 새로운 이름을 모색하게 됩니다.
이에 초대 서울시장이었던 김형민을 필두로 '가로명 제정위원회'가 구성되었고, 도심의 12개 도로 이름은 새 이름을 갖게 됩니다. 이때 종로, 신문로, 태평로, 남대문로, 의주로, 한강로 6개 도로명은 옛 이름을 그대로 따서 지어졌고, 또 다른 6개 도로명은 민족 정서를 고려해 우리 역사에 길이 남아야 할 위인을 선정해 세종로, 충무로, 을지로, 충정로, 퇴계로, 원효로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위원회에 참여했던 사학자 황의돈의 회고록을 살펴보면 “세종로는 우리나라 문치의 위인으로서 민족의 태양과 같은 세종대왕의 이름을, 충무로는 무인으로서 위훈을 추모하는 충무공을, 을지로는 육군의 대표 인물인 을지문덕을, 원효로는 불교의 대표 인물인 원효 대사를, 퇴계로는 유학계의 대표 인물인 이퇴계를, 그리고 충정로는 순국열사 중에서도 맨 처음인 민충정공으로 책정하였다”라고 6명의 위인을 선정한 이유를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이 중에서도 충무로와 을지로에는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가 짙게 깃들어 있습니다. 구한말부터 일본인들이 많이 모여 살았던 ‘혼마치’는 일본의 자취를 완전히 억누르고자 임진왜란 때 일본을 몰아낸 구국의 영웅 이순신의 시호를 따 ‘충무로’라고 이름 지어졌습니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구한말부터 중국인들이 모여 차이나타운을 이룬 ‘고가네마치’는 살수대첩에서 100만 대군을 물리친 을지문덕의 이름을 따 ‘을지로’가 되었다고 합니다.
모르면 아무 생각 없이 지나갈 수 있는 거리 이름도 알고 보면 저마다의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모르고 지나가면 아쉬운 게 너무 많으니 앞으로 여러분께 아는 척하기 좋은 ‘쓸 데 있는 잡지식’ 꾸준하게 전달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