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500일의 썸머>

이 영화, 나와 인연이 깊은걸?

유쾌하고 사랑스럽지만, 한편으로는 쌉싸름한 로맨틱코미디 <500일의 썸머>. 사실, 로맨틱코미디 장르는 남성들보다 여성들에게 훨씬 더 많은 사랑을 받는 장르이지만, 이 영화 만큼은 남심까지도 사로잡을 만하다. 물론, 시선의 주체가 남성(톰)이기도 하지만 사랑을 통해 성장한다는 기존 로맨스들이 보여줬던 것 이상의 깨달음이 남녀 모두를 매혹시킨 주된 원인일 것이다. 감독도 영화의 도입부에서 '이 이야기는 뻔한 사랑 이야기가 아닌, 한 소년이 소녀를 만난 이야기'라고 밝혔다.



순수 청년 '톰'은, 직장 동료 '썸머'에게 첫눈에 반한다. 하지만 그녀는, '누군가의 무엇'으로 불리는 게 싫다며 관계맺기를 꺼린다. 즉, 톰과 친구로는 지낼 수 있지만 '톰의 애인'이 되기는 싫다는 거다. 자유분방함과 자존감 높은 썸머의 가치관과 그와 걸맞지 않은 행동(여느 연인 관계에서 일어날 법한)들에 톰은 괴로워한다. 썸머를 보며 설렜고 그녀에게 다가서기 위해 노력하여 가까워졌으나, 정작 연인 관계는 아니라니…. 절망할 수 밖에 없는 톰의 심정이 충분히 이해 된다. 한편, 썸머의 가치관도 이해 된다. 이렇듯 <500일의 썸머>는, 관객들을 남녀 모두의 입장에 서게 만든다. 그리고 두 입장 모두에 공감표를 던지게 만든다. 왜냐. 톰과 썸머 모두 '변하기' 때문이다.


영화 속 캐릭터들의 내면은 평면적이지 않다. 사랑에 있어, 지고지순하고 낭만적이었던 톰은 썸머와의 사랑을 겪은 후, 인연일랑 믿지 않겠다는 다소 냉소적인 입장에 서게되는가 하면, 관계에 얽매이지 않겠다던 썸머는 누군가의 부인이 됐고, 그 생활에 만족하며 살아가게 된다. 결국, '진짜 인연'을 만나게 된다면 어느 누구도 낭만과 지고지순한 사랑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톰과 썸머. 이들은 헤어질 수밖에 없는 만남이었던 것 뿐이다.



<500일의 썸머>가 매력적인 또다른 이유는, 비순차적으로 이어붙인 편집에 있다. 만남에서부터 이별에 이르기까지 이어지는 '익숙한 과정'들로 이어졌다면, 이 영화 또한 '그저그런 로맨스'로밖에 기억됐을 것이다. 하지만, 연애가 이어지는 500일의 기간 동안 톰이 겪는 행복과 슬픔, 설렘과 지침 등 대조된 감정을 이어붙인 편집을 통해 관객들에게 공감과 재미를 동시에 선사한다.


그토록 사랑했던 그녀를 떠나보낸 톰은, 새출발을 결심하고 새 직장을 찾아나선다. 새로운 곳에서 자신의 자존감을 지켜나가겠다고 결심한 그. 당분간은 사랑을 시작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던 톰에게 또다른 사랑의 조짐이 보인다. 썸머를 보내고 어텀을 맞는 것이다. 어텀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든 사랑의 기회는 잡는 자의 것이다. 누군가와 만나고 헤어지는 것. 사랑에 실패했다고 느끼면서도 우리가 사랑을 다시 시작하고 되풀이하는 이유는, 사랑이 그만큼 우리 인생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걸 본능적으로 알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의 달콤쌉싸름함 모두를 안고 있는 현실적인 로맨틱코미디 <500일의 썸머>는, 몇 번을 봐도 좋다.

이전 07화 프랑스 로맨스 영화 <러스트 앤 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