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조 Oct 18. 2024

멸종의 연애

연애가 사라진 시대


[단상 1]


얼마 전

'1인 가구를 위한 요리 수업'을 들은 적 있다.


구청에서 마련한 5주짜리 프로그램으로,

스스로를 챙기기 어려운 1인 가구들도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고품격 요리를 가르쳐주겠다는 취지였다.


초계국수나 부침개 같은,

사 먹긴 쉽지만 만들어 먹기엔 어려운 요리를 공유 주방에서 배웠다.


괴상했던 점은

이것이 2030 청년들만으로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다.

(사실 1인 가구의 식사 문제라면 4060 남성의 요리 수업이 가장 시급할 터다)


뿐만 아니라 구청은

성별을 5:5로 나누어 모집했고

요리팀 구성도 남녀로 짝짓고

유치한 사전 OT로 온갖 게임을 통해 남녀를 친하게 만들려고 애썼다.

요리판 <나는 솔로>였달까.



수강생들은 

이것이 저출산 타개를 위해 만든

국가의 비밀스러운 연애 사업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몇몇은 상당히 기분 나빠하며

수강을 도중에 포기했다.

결혼과 출산에 미친 대한민국을 저주하면서 말이다.






[단상 2]


대한민국에서

2024년 2월 기준으로 2030 모태 솔로 비중은 57%다.


미디어에선 이름만 조금씩 바꾼 연애 프로그램들이 쏟아지는데

정작 청춘들은 연애에 무심하다.


1991년 연애하는 사람의 비중이 53.9%에 달했지만

2021년에는 29.4%까지 떨어졌다.


대한민국 청춘들 3명 중 2명은 연애를 하지 않는다.






[단상 3]


헬스조선 2024.05 기사 중



온라인만 보면 분명 연애에 미쳐있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은데

실제로는 왜 다들 연애를 안 하는 것일까?


위 기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기사는 가장 많은 응답 내용을 조명했지만 조금 더 살펴보면 전혀 다른 의미를 읽을 수 있다.)


남성의 경우

상황이 나아지면(학업/금전적 이유)

또는 기회가 온다면(만날 기회가 없어서)

52.6%가 연애를 하고 싶어 한다.

즉, 연애를 하지 않는 것은 자의가 아니다.


여성의 경우

마음에 드는 사람이 생기면/만날 기회가 생기면

연애를 하겠다는 비중이 32%다.

반면 '혼자가 편하고 연애가 귀찮아서'의 비중이 44%다.

즉, 연애를 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의 의지다.



남성은 연애를 하고 싶지만 못하고

여성은 연애를 하고 싶지 않아서 안 한다.



이 차이가 연애의 멸종을 불렀다.





[단상 4]


그 좋은 연애를 왜 안 할까?


나는 이것이

국내 언론에서 차마 다루지 못하는

남녀 인식 차이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시대는 이토록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낡디 낡은 중년의 언론들은

고전적 가족/연애 숭상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여성을 향한 남성의 인권 인식이 후퇴하는 것을 지적하지 못하고

여성들이 연애를 하지 않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것을 말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는 <멸종의 연애>를 써보려 한다.

언론이 말하지 않는 포인트들을 써보고 싶다.


이 시리즈의 제목이

'연애의 멸종'이 아닌 '멸종의 연애'인 것은

 연애/결혼/출산에 미친 대한민국을 비꼰 것이다.


더 이상 아이를 낳지 않는,

멸종하고 있는 한국인의 연애란 무엇일까 되묻기 위해서다.


그리고 

이같은 고민들이 해결되어야

연애하고 싶은 세상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의 오늘도 평화롭기를!

다음 주 금요일에 글로 만나 뵙겠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