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J Jan 06. 2021

국수 이야기

당신의 소울푸드는 무엇인가요?




소울푸드가 있으세요?


 당신의 소울푸드는 뭔가요?

  번도 그런 질문을 받아본 적이 없지만  아주 오래전부터 상상했었다. 누가 언제 물어볼지 모르니까 미리 답을 정해놓으면 어떨까. 소울푸드라니 뭐라고 말하면 멋있을까. 그런데 아직도  번도 질문을 받은 적이 었어서, 객쩍게도 그냥 내가 묻고 답하려 한다. 사실 그동안 답안지를 적을 때마다 매번 바뀌고 갈팡질팡했는데, 혼자이면서도 멋쩍은 마음에 세상에는 너무 맛있는 것이 많다고 혼자 변명을 해보았다.


 이런 유의 질문을 생각할 때마다 바로 대답할  있는 사람이 부럽다. 취향이 확고하고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확실한 사람, 누군가 물으면 단번에 대답하고  잘라 말할  있는 사람, 좋아하는 것이 매우 다양한 나머지 취향이랄 것이 없는  아닐까 조바심 나던 나는 그런 사람을 동경했다. 그리고 그중  사람이 우리 아빠였다. 아빠는 소고기보다 돼지고기를 좋아하셨고, 면과 수제비 같은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셨다. 과자나 초콜릿, 사탕 같은 간식류는  번도 입에 대지 않으셨고, 과일 역시  것은 질색하시며 달고 시원한 것들, 수박, 배, 감과 같은 자신이 좋아하는  몇 가지를 빼고는 드시질 않았다.


 그렇게 확고한 취향의 음식들 중에서 아빠의 소울푸드는 무엇이었을까. 알고 싶지만 이제는 물을 수가 없다. 대신 이제  소울 푸드는 알게 되었다. 아빠가 즐겨드셨던 간장 국수다.






 팔팔 끓는 뜨거운 물에 소면을 넣고 젓가락으로 꼭 저어서 뭉치지 않게 해야 한다  풀어진 소면이 끓어오르면 찬물 반 컵을, 다시 끓어오르면 한 번 더 찬물 반 컵을 넣어서 삶아준다. 두 번의 찬물을 넣고 다시 끓어오를 때 불에서 내려 채반에 담아내 찬물에 씻어내면 국수의 쫄깃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


 양념간장은 청양고추와 파를 잘게 썰어 넣고, 고춧가루, 설탕, 깨를 넣은 후 진간장을 자박하게 넣어준다.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조금 넣으면 된다. 다진 마늘을 약간 넣어주면 좀 더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준비물은 단 두 가지다. 건져낸 소면을 간장에 비벼서 먹기만 하면 되는 간단하고도 소박한 한 그릇이다. 아마도 지금보다 훨씬 오래전, 내 부모님도 어리던 즈음 다 같이 어려웠던 시절, 국수 국물 내기도 여유가 없던 때에 후루룩 빨리 먹던 메뉴가 아니었을까 추측해본다.


 어릴  우리 집은 아빠가 좋아해서 이렇게  먹었는데, 내가  크면서 직접 요리를 하기 시작하고는 주로 멸치 국물을 내어 잔치국수를 하게 다. 아빠는 잔치국수도 곧잘 드셨지만 간장은 꼭 필요했다. 독립을 한 후부터는 간장 국수를  먹는 일이 거의 없어졌다. 어쩌다 본가에 가서 밥을 먹게  때면 엄마의 화려한 밥상을 받게 되다 보니 매일 먹는 집밥 대신 별미로 먹는 국수는 잊고 사는 메뉴가 되었다.


 내가 다시 간장 국수를 먹게  것은 아빠가 돌아가시고  후다. 어느  갑자기 다른 것도 아닌  소박하기 그지없는 간장 국수가 먹고 싶어졌다. 거창하게 차려놓고 먹는 것을 좋아하는 나에게 잊혔던  국수가 머리에 떠오른 , 우습게도 소설 속 한 장면처럼 급한 허기가 찾아왔다. 서둘러 국수를 삶아내어 허겁지겁 먹었다. 처음으로 겪어본 육체적인 아닌 정신적인 허기를 채우는 낯선 험이었다.


 이후로는 국수가 떨어지지 않게 집에 사두게 되었다. 그리고 국수라고 하면 잔치국수를 좋아하던  최애 국수 메뉴는 간장 국수로 바뀌게 되었다.

 아빠를 생각하면 국수가 떠오를 정도로 아빠는 국수를 좋아하셨는데, 내가 처음 국수를 끓이던 날도 아빠 때문이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쯤 엄마가 집을 비웠을 때였다. (나이를 기억하는 이유는  이후로  요리가 비상하게 발전했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요리에 관심이 많아서 주방에 자주 들락거리며 사고많이 지만, 그래도 어느새부턴가 자연스럽게 엄마가 자리를 비울  아빠의 식사를 준비하곤 다. 물론 그래 봤자 엄마가 만들어둔 반찬을 담아서 상에 올리는  전부였다. 그날 아빠는 점심으로 내게 국수를 삶아 달라고 하셨는데, 나에게는  미션이나 마찬가지였다. 준비된 것을 차리는 것이 아닌 오롯이 내가 만들어내야 하는 .  번도  해봤는데라는 생각과 함께 약간 흥분도 했던  같다.


 결과적으로 그날 내 국수는 완전한 실패였다. 라면처럼 끓이면 되겠지라며 호기롭게 도전한 나의 국수는 퉁퉁 붇고 여러 줄거리가 엉겨 붙어서 먹기가 좀 그랬는데, 별로 잔소리가 없던 아빠도 한마디를 하셨다. 어린 마음에 억울하고 화가 났는데 돌이켜보면 아빠는 간식을 즐기지 않고 딱 정량의 식사만 하셨던 분인데 좋아하는 국수가 그렇게 엉망이라니 참 탐탁지 않으셨겠다는 생각에 이해도 된다.

 이후로 한동안 아빠는 내게 국수를 시키지 않고 직접 삶으셨다. 먹어보니 내가 먹어본 중에 제일 맛이 있어서 (심지어 엄마보다 잘하셨다) 약간의 배신감과 억울함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후 국수를 삶아야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엄마에게 물어서 조리방법을 완전히 숙지한 후에 아빠는 나의 간장 국수도 맛있게 드셔주셨다.






 소울푸드. 환상을 주는 듯한  단어의 무거움에 예전에는 쉽게 어떤 음식을 선택하지 못했었다. 뭔가  거창하고 대단한 이유가 않을까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러나 어느 휴일 헛헛한 마음에 국수를 삶고 간장에 비벼서 무척 허기진 사람처럼 후루룩 먹으면서, 어릴  가족들이 둘러앉아 국수를 먹던  여상했던 일상을 떠올리고 있을 , 그제야  소울푸드는 국수라는 것을 닫게 되었다.


 내 몸과 영혼의 허기를 달래주던 그 음식, 그리고 가족들. 소울푸드는 사실 그렇게 화려하거나 거창한 이유를 가진 음식이 아니었다는 것을 일상이 깨진 어느 날에 나는 조금 슬픈 기분으로 알게 되었다.


 이 글을 읽는 이들의 소울푸드는 무엇일까. 지구에 4억의 인구가 있다면 4 개의 고독이 있다고  어느 말처럼, 모두 다를 누군가의 소울푸드가 궁금하다.







이전 02화 떡볶이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