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얀술 Nov 12. 2019

하얀술 귀밝이술

18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 한글로는 귀밝이술이라 하며, 한자어로는  이명주(耳明酒) 총이주(明耳酒)  유롱주(牖聾酒)  치롱주(治聾酒) 이총주(耳聰酒) 등으로 부른다.


귀밝이술 풍속은 제화초복(除禍招福)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하나이다. 조선시대에는 청주를 마실 때 보통 더운 물에 술 국자를 넣고 중탕(重湯)을 해서 마셨는데,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신다는 점에서 보통 때 마시는 청주와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귀밝이술을 차게 해서 마시는 이유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서의 귀밝이술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해 일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마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한자어로 유롱주라고 했으며, 중국의 『해록쇄사(海錄碎事)』에 나오는 치롱주와 유사하다고 하였다. 김안국(金安國)은 『모재집(慕齋集)』에서 상원절에 이천(利川)의 류희령(柳希齡)에게 찹쌀과 술을 선물로 보냈다고 하면서, 찹쌀은 신라 때부터 유래한 까마귀 전설과 관련된 약밥을 짓는 데 필요하다고 하였다. 아마도 보내준 술은 귀밝이술인 것으로 여겨진다. 조희일(趙希逸)은 『죽음집(竹陰集)』에서 상원에 치롱일배주(治聾一杯酒)를 홀로 마시는 감회를 시로 적었다. 고상안(高尙顔) 역시 『태촌집(泰村集)』에서 상원일에 친구가 술을 보내 와서 감사하게 마시면서 치롱을 해 보려 하였지만, 귀머거리는 더욱 심하여 취해 자면서도 천둥소리를 듣지 못했다고 시로 읊었다. 즉, 치롱(治聾)은 성리학의 도학(道學)과 관련된 것으로 세상의 번잡함 중에서도 도리를 옳게 들으려는 의지가 담겨 있는 말이다. 이것이 민간에 전해져서 귀밝이술로 전승되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지역에서는 귀밝이술을 도소주(屠蘇酒)와 혼동하여 부르는 경우도 있다. 도소주는 중국의 신화적인 한의사인 후한(後漢)의 화타(華陀)가 만들었다고도 하고, 당나라 사람 손사막(孫思邈)이 처음으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보통 산초(山椒)·방풍(防風)·도라지·밀감 껍질·계피 등을 섞어서 만든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반드시 이들 재료로 도소주를 만들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원단(元旦)에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마셨던 청주를 도소주로 여겼을 것으로 보인다.


준비

1. 10리터 용기(유리병이나 스테인레스 추천)

2. 하얀술 1팩

3. 물 4L

4. 도소주 약재

5. 휘핑기

6. 랩(또는 면보)


만들기

1. 용기와 도구를 세척한다. 원하는 미생물 이외의 미생물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2. 용기에 물 4L를 넣어준다.

3. 2에 하얀술 1팩을 휘핑기로 저어가며 서서히 넣어고루 섞어준다.

4. 용기를 랩으로 밀봉한 후 이쑤시개로 작은 구멍을 여러개 뚫어준다. 알콜발효 부산물인 탄산가스 배출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6. 실온에서 24시간 발효 후  냉장보관한 후  층분리가 되면 맑은 술을 떠 맑은술 귀밝이술을 얻는다.


이전 17화 하얀술 도소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