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버 Oct 22. 2021

살아남기 위해 글을 쓰는 사람


장례식 이후 나는 휴학계를 냈다. 혼자 남은 엄마가 걱정이기도 했고, 흘러가는 삶을 잠시라도 멈추고 싶었다. 다행히 아슬아슬하게 추가 신청 기간을 맞출 수 있었다. 나는 한 달 간격으로 부산과 서울을 오가며 방랑자처럼 생활했다. 엄마와 나는 주말이면 근처 수녀원에서 미사를 드리고, 가끔 공원에서 말없는 산책을 했다. 그 외의 외출은 아빠의 신변 정리에 관련된 행정 처리뿐이었다. 울적하고 조용한 나날이었다.


좀처럼 잠들지 못하는 엄마를 위해 병원에서는 진정제와 수면제를 처방해줬다. 하지만 엄마는 약병을 침실에 두지 않았다. 세상이 유난히 고요한 밤이면 나는 불 꺼진 거실 너머로 엄마의 숨소리를 확인하기 위해 귀를 기울이곤 했다. 그즈음의 공허한 눈빛을 보면 누구라도 엄마가 죽고 싶어 한다는 걸 알 수 있었으니까.




엄마는 거실에 늘어져서 공허한 눈으로 TV를 볼 때 말고는 책상 앞에 앉아서 무서운 기세로 글을 토해냈다. '쓴다'라는 말로는 그 모습을 표현할 수 없다. 그건 정말 속을 꽉 메우고 들어차 있는 무엇을, 온 힘을 다해 게워내는 행위였다. 엄마는 그 시를 엮어서 아빠의 1주기 예식에 와주신 분들께 1권씩 선물했다. 시집을 받아 든 작은 외삼촌은 복잡한 표정으로 큰 이모에게 나직이 말했다.


⌜누나, 이 책 읽을 수 있겠소? 나는 심장이 떨려서...⌟


엄마는 그 시집에 아빠를 떠나보내면서 겪었던 일들을 고스란히 담았다. 의사 선생님의 소견을 듣고 혼자 집으로 돌아온 날 충격으로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던 일, 기적이 일어나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또 기도했던 밤들, 실패할 게 뻔한 마지막 심폐소생술에 동의할지 선택해야 했던 순간까지. 시집은 그해 말에 또 1권이 나왔다. 엄마가 산티아고 순례길을 다녀오고 나서도 1권이 더 나왔다. 엄마는 모든 고통을, 시름을, 후회를 종이 위에 쏟아내고 또 쏟아냈다.


엄마가 온종일 글을 쓰는 동안 나는 한껏 느릿하게 지냈다. 과제, 학점, 동아리, 아르바이트, 대외활동으로 대학 생활 내내 넘치도록 일상을 채워왔지만 그때 돌이켜보니 사실은 다 포기할 수 있는 일들이었다. 햇살이 잘 드는 날이면 베란다에 놓은 작은 테이블에서 책을 읽거나 짧은 글과 그림을 끄적였다. 나는 그 메모를 모아서 작은 책자를 만들었고, 친구들과 독립 전시를 열었다. 모르는 사람들이 내 글을 읽는 뒷모습을 볼 때마다 나는 남몰래 묘한 만족감을 느꼈다.




시간이 많이 지난 뒤 언젠가, 엄마는 자기가 시를 쓰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지 모르겠다는 말을 했다. 나는 속으로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으음, 하는 모호한 소리로 얼버무렸다. 우리는 왜 돈도 안 되는 글을 자꾸만 쓸까. 감당할 수 없을 만큼 팽창하는 복잡한 감성을 어떻게든 처리해야 하니까. 누군가에게 내 고통을 보여주고 싶으니까. 그렇다고 누구를 붙잡고 끝도 없이 이야기할 순 없으니까. 예술은 사실 거창하지도 화려하지도 않다. 그저 살아남기 위한 일이다.





이전 08화 첫째니까, 엄마 잘 챙겨드리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