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은선 Jun 03. 2024

LA여행 5. 미국의 핫한 트렌드 조사 Feat. 불닭

에레혼, 카바, 호카 등



여행을 준비하면서 미국의 트렌드 조사를 해봤다.

짧은 기간이지만 핫하다는 것들은 모조리 경험하고 오고 싶은 욕심이 그득했다.


그렇게 열심히 서칭을 통해 발견한 몇 가지 트렌드를 풀어본다.



1. 까르보불닭볶음면



미국 래퍼 카디비가 30분동안 운전해서 까르보불닭볶음면을 구했다며 먹는 영상을 틱톡에 올리고

어떤 아이는 까르보불닭을 선물로 받고 좋아하며 눈물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조사를 해보니 아마존, 월마트, 한인마트 등 제품이 품귀현상을 빗고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즈는 인기 요인으로 세가지를 꼽았다. '까르보나라'라는 고급스러운 맛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자유로운 레시피 변형, 사진을 남기기 좋다는 것이다.


나는 5월 초에 이런 현상을 확인하고 삼양식품 주식을 매입했다.


그리고 약 2주가 지난 5월 17일, 삼양식품은 상한가를 쳤고 나는 50% 상당의 수익실현을 했다. 여행자금이 덕분에 좀 넉넉해졌다. 고맙다 불닭! ;)






2. 에레혼 (Erewhon)

https://erewhon.com/


미국 고급 식료품 체인 에레혼은 물 한병이 30달러, 스무디 한 잔에 20달러로 기본 마트에 비해 가격이 기본적으로 2~3배가량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타들이 찾으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현재 LA에만 10개 매장이 있는데 매장간 주간 평균 매출이 100만달러에 달한다고..



에레혼이 이렇게 인기가 있는 이유는 까다로운 심사를 통과한 최고 품질의 유기농 식재료는 기본, 단순 상품을 판매하는 '마트'를 넘어서 비건 라이프를 트렌디하게 즐길 수 있게 하는 곳이라는 점이다.


야채도 저렇게 예쁘게 진열해놓는 것은 기본, 인테리어와 여러 감각적인 구성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보는 재미를 선사한다.


하지만 대부분 구경을 올 뿐 막상 제품 가격이 비싸서 선뜻 구매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는..


어쨌든 나도 이번 여행에서 방문해 볼 예정이다.





3. 카바 (CAVA)

https://www.instagram.com/cava


 ‘치폴레 건강 버전’이라고 불리는 카바는 미국 전역에 지점을 두고 있는 지중해식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 체인이라고 한다.


 카바는 그리스식 빵 피타(Pitta)와 샐러드 보울(Bowl) 요리를 주력으로 하며, 고객이 취향에 따라 검은 콩, 현미, 양상추 등 총 38가지 재료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스프레드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구성된 포장 소비재(CPG, Consumer Packaged Goods-Retail) 라인을 구축해 전국 650개 이상의 식료품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저렴하고 건강을 고려한 식품으로 미국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2023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2024년 4월 기준으로 263개의 매장을 운영 중으로 2032년까지 1,000개 이상의 매장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치폴레 좋아하는데 치폴레의 건강버전이라니.. 이번에 가서 꼭 먹어봐야겠다!










4. 호카 (HOKA)

https://www.hoka.com/en/us/


 신발 바닥과 안창 사이 중창(midsole)이 유독 넓적하고 두툼한 디자인 탓에 ‘못생긴 신발’로 불리는 호카(Hoka)는 발이 편하다는 소문이 퍼지며 미국인들을 사로잡았다. 2009년 사업을 시작할 때 정한 브랜드 이름인 ‘호카 오네 오네(Hoka One One)’는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 말로 “땅 위를 날다”라는 의미다. 달리기 동호인들을 시작으로 간호사나 식당 종업원처럼 오래 서서 일하는 사람들이 호카의 진가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호카의 인기 이유


1. 발이 편한 운동화를 만드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았다.


호카 특유의 두껍고 넓은 중창은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해준다. 신발이 전체적으로 발을 잘 감싸도록 설계해 안정감을 더했다. 덕분에 발은 편하고, 부상 위험은 줄어든다. 또한 바닥면이 완만한 곡선 형태라 바퀴가 굴러가듯 부드럽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간결한 디자인이 인기를 끄는 미니멀리즘의 시대에 반대로 풍성한 부피감을 강조하는 맥시멀리즘으로 승부해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2. 남다른 판매 전략도 성공 요인이다.


충분히 인지도를 쌓기 전까지는 쉽게 구할 수 있는 ‘흔한’ 신발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우선 항상 수요에 비해서 더 적은 물량을 공급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흔한 운동화가 되기보다는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만 어렵게 구할 수 있는 상품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줬다. 이들은 운동화 공급을 급격히 늘리면 당장의 매출을 늘릴 수는 있지만, 브랜드의 장기적인 가치 제고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봤다.


3. 125달러 이상 가격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유명 운동화 판매점에 입점할 기회가 있었지만 제안을 모두 거절했다. 대형 매장을 통해 운동화가 대량 공급되기 시작하면 가격을 무리하게 낮춰야 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호카 경영진은 마치 마라톤을 하는 것처럼 길게 보고 사업을 했다”며 “모든 소비자를 사로잡으려다 브랜드의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것을 경계했다”고 했다.



호카는 이미 성수동에서 팝업을 할만큼 한국에서도 핫한 브랜드. 미국에서 신어보고 편하면 이것도 사야지!








이전 04화 LA여행 4. 미국여행 전 준비할 체크리스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