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은WhtDrgon Aug 22. 2024

BM북 제6장 음악산업BM-6.10 협업,지분,분배

김동은WhtDrgon. 240822

6.10 협업, 지분, 분배

6.10.1 “만원짜리 1장의 앨범 안에!”

판매점 및 배급사  

    판매점: 2,500원  

    배급사: 1,000원  

메인 레이블 및 1차 분배  

    메인 레이블/엔터사 : 3,250원  

    프로모션 에이전시: 130원  

    아티스트: 650원  

    작곡가/작사가: 195원  

    프로듀서: 130원  

    세션 뮤지션: 32.5원  

기타 부가 이해관계자  

    사운드 엔지니어: 32.5원  

    포토그래퍼: 32.5원  

    앨범 아트 디자이너: 32.5원  

    리믹스 프로듀서: 65원  

    기타 참여 아티스트(피처링): 65원  

희귀 및 기타 수익자  

    컬래버레이션 아티스트: 65원  

    메타데이터 제작자: 6.5원  

    폰트 디자이너: 6.5원  

    라이센싱 에이전시: 65원  

주의: 각종 수치는 공부/기획을 위한 임의 예시입니다.


1. 아티스트 및 주요 창작자


아티스트 (보컬/밴드): 아티스트는 음악 제작, 공연, 홍보 활동을 주도하며, 앨범의 핵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앨범 판매 수익의 약 10%를 받습니다. 인기와 협상력에 따라 수익 비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탈리카(Metallica)는 앨범 판매 수익의 15% 이상의 로열티를 받는 계약을 체결한 적이 있습니다.

작곡가/작사가: 작곡가와 작사가는 음악과 가사를 창작하여 곡의 기본 틀을 제공합니다. 퍼블리싱 로열티로 앨범 수익의 3% 정도를 받습니다. 아티스트 본인이 작곡가나 작사가일 경우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는 자신의 곡에 대한 퍼블리싱 로열티로 큰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자신의 곡을 재녹음하여 저작권을 회수한 사례가 있습니다.

프로듀서: 프로듀서는 앨범 제작을 총괄하며, 아티스트와 협력하여 곡의 편곡, 녹음, 믹싱 등의 과정을 관리합니다. 제작 기여도에 따라 앨범 수익의 2%가량을 받습니다. 성공한 앨범의 경우 추가 보너스를 받을 수 있으며, 퀸시 존스(Quincy Jones)는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의 앨범 Thriller를 제작하면서 수익의 2%를 받았고, 이 앨범의 엄청난 성공으로 상당한 추가 수익을 얻었습니다.

세션 뮤지션: 세션 뮤지션은 녹음 과정에서 연주를 담당하며, 아티스트와 함께 작업하여 곡을 완성합니다. 주로 고정 수수료를 받지만, 간혹 앨범 판매 수익의 0.5% 이하를 배분받기도 합니다. 짐 켈트너(Jim Keltner)는 존 레논(John Lennon)의 앨범에 연주자로 참여하며 고정 수수료 외에도 앨범 판매 수익의 일부를 받았습니다.


2. 레이블 및 배급사


메인 레이블: 메인 레이블은 음반 제작, 마케팅, 배급, 홍보 등을 담당하며, 아티스트의 앨범 성공을 위한 주요 업무를 수행합니다. 앨범 제작, 마케팅, 배급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전체 수익의 50% 정도를 가져갑니다. 소니 뮤직(Sony Music)은 신인 아티스트와의 계약에서 50% 이상의 수익을 차지한 적이 있으며, 이는 아티스트가 초기 단계일 때 일반적인 계약 조건입니다.

배급사: 배급사는 음반의 유통을 담당하며, 스트리밍 플랫폼과 협력하여 음악을 배급합니다. 유통을 담당하며 앨범 판매 수익의 10% 내외를 유통 수수료로 가져갑니다. 유니버설 뮤직(Universal Music)은 글로벌 배급망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앨범을 유통하며 수익의 10%가량을 유통 수수료로 책정한 적이 있습니다.


3. 비주얼 및 디자인


앨범 아트 디자이너: 앨범 아트 디자이너는 앨범 커버와 관련된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여 앨범의 첫 인상을 결정합니다. 보통 고정 수수료를 받으나, 간혹 앨범 판매 수익의 0.5% 정도를 배분받기도 합니다. 피터 새빌(Peter Saville)은 조이 디비전(Joy Division)의 앨범 Unknown Pleasures의 커버 디자인으로 앨범 판매 수익의 일부를 받았고, 이 앨범은 시간이 지나면서도 꾸준히 판매되며 디자이너에게 추가적인 수익을 안겨주었습니다.

포토그래퍼: 포토그래퍼는 앨범 커버나 내부 북클릿에 사용될 사진을 촬영합니다. 앨범 내 사진 제공을 통해 수익의 0.5% 가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티븐 카버(Stephen Carver)는 U2의 앨범 The Joshua Tree 커버를 촬영하며, 앨범의 상업적 성공으로 추가 수익을 얻었습니다.

폰트/심볼 디자이너: 폰트 디자이너는 앨범 디자인에 사용될 폰트를 개발하거나, 저작권을 소유한 폰트를 제공합니다. 앨범 수익의 0.1% 미만을 받을 수 있으며, 특정 폰트가 앨범의 시각적 아이덴티티에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때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제작 및 기술 스태프


사운드 엔지니어: 사운드 엔지니어는 믹싱, 마스터링 등을 담당하며, 음질을 최적화하여 최종 음반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고정 수수료 외에 앨범 판매 수익의 0.5% 내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알 쉐미(Al Schmitt)는 여러 유명 앨범의 믹싱을 담당하면서 추가적인 수익 배분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녹음과 믹싱을 위한 시설을 제공하며, 음반 제작의 기술적 지원을 담당합니다. 대부분 고정 비용으로 처리되며, 앨범 판매 수익에서 추가적인 분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5. 마케팅 및 프로모션


프로모션 에이전시: 프로모션 에이전시는 앨범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며, 홍보 활동을 담당합니다. 계약에 따라 앨범 판매 수익의 2%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콜롬비아 레코드(Columbia Records)는 브루노 마스(Bruno Mars)의 앨범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계약에 따른 수익 배분 외에도 추가 보너스를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광고 캠페인 매니저: 광고 캠페인 매니저는 앨범이나 아티스트의 광고 캠페인을 기획하고 관리합니다. 주로 고정 수수료를 받으며, 수익 배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예외적으로, 성공적인 광고 캠페인을 통해 추가 보너스를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6. 부가 권리자


리믹스 프로듀서: 리믹스 프로듀서는 기존 트랙을 리믹스하여 새로운 버전을 제작합니다. 리믹스 트랙이 앨범에 포함된 경우, 수익의 1% 안팎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돈나(Madonna)의 리믹스 앨범에서 리믹스 프로듀서들은 트랙의 인기에 따라 수익의 1% 정도를 배분받았습니다.

기타 참여 아티스트(피처링): 피처링 아티스트는 다른 아티스트의 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하여 추가적인 음악적 요소를 제공합니다. 피처링 아티스트가 참여한 경우, 그들에게 수익의 1% 내외가 분배될 수 있습니다. 칸예 웨스트(Kanye West)는 자신의 곡에 피처링한 아티스트들과 수익을 분배했으며, 이는 아티스트 간 협력의 좋은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7. 법적 및 계약적 요소


계약 중개인(엔터테인먼트 변호사): 계약 중개인(엔터테인먼트 변호사)은 계약서 검토, 협상, 법률 자문을 제공하며, 계약이 적법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합니다. 계약 체결 시 고정 수수료를 받으며, 앨범 판매 수익에서 추가적인 분배를 받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특정 변호사가 성공적인 계약 체결 후, 성과에 따라 추가 보너스를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저작권 관리 단체: 저작권 관리 단체는 음악 저작권을 관리하고 로열티를 수집하여 권리자에게 분배합니다. 수집된 로열티에서 관리 수수료로 2% 정도를 가져갑니다. ASCAP, BMI와 같은 저작권 관리 단체는 주요 히트곡의 로열티를 관리하며, 관리 수수료로 수익의 일정 부분을 가져갑니다.


8. 기타/추가적/비주류 수익자


컬래버레이션 아티스트: 컬래버레이션 아티스트는 앨범 제작에 참여하여 독특한 시각적 또는 음악적 요소를 제공하며, 다른 예술 분야와 협업합니다. 수익의 1% 정도를 받을 수 있으며, 앤디 워홀(Andy Warhol)은 벨벳 언더그라운드(The Velvet Underground)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하며 추가적인 수익 배분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메타데이터 제작자: 메타데이터 제작자는 앨범의 메타데이터 제작 및 관리를 담당하여,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음악 검색 및 분류를 최적화합니다. 수익의 일부를 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익의 0.1% 이하를 차지합니다. 디지털 플랫폼에서 메타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담당하는 인력에게 추가적인 수익 배분이 이루어진 사례가 있습니다.

라이센싱 에이전시: 라이센싱 에이전시는 음악의 영화, TV, 광고, 게임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합니다. 특정 곡이나 이미지 사용 수익이 발생할 경우, 라이센싱 에이전시가 수익의 1% 정도를 가져갑니다. 영화나 광고에서 특정 곡이 사용될 때, 라이센싱 에이전시가 수익의 1%가량을 가져간 사례가 있습니다.


6.10.2 비율의 조정 고려 요인.

물론 비율은 현장의 정확한 데이터나 정해진 법률이 아닌 비즈니스모델 기획의 구상을 위한 예시입니다. 수천건 이상을 계약하는 메이저 회사의 경우 표준적 관례가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초기 소규모회사는 문자 그대로 ‘계약하기 나름’인 경우가 더 많을 것입니다. 무상으로 사무실을 제공하는 건물주에서 수익의 일정 퍼센트를 제공하겠다는 물적 투자의 계약도 없으리란 법은 없습니다.   


    아티스트의 인기와 인지도: 아티스트의 대중성에 따라 수익 비율이 달라집니다. 인지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수익 비율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ROI(투자 대비 수익률)를 기반으로 적절한 수익 분배율을 설정해야 합니다.  

    아티스트 또는 창작자의 협상력: 과거 성과와 평판에 따라 협상력이 높다면, 더 유리한 수익 비율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추가 혜택과 인센티브를 고려해 계약 조건을 유연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투자 금액: 투자 금액이 클수록 수익 비율이 영향을 받습니다. 리스크를 분산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합리적인 분배율을 제시해야 합니다.  

    레코드 레이블 또는 배급사의 협상력: 메이저 레이블과의 계약은 표준 계약에 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추가 혜택 제공 여부를 검토하고, 배급망을 활용할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프로젝트의 리스크와 불확실성: 리스크가 큰 프로젝트는 낮은 수익 비율이 제안될 수 있습니다. 비용 절감과 보호 조항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참여 인원의 숫자와 역할: 참여 인원의 역할과 기여도에 따라 수익 분배율이 결정됩니다. 공정한 분배율을 설정해 팀의 사기를 높이고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라이선스 및 저작권 관련 요건: 라이선스와 저작권 비용이 수익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전 계산을 통해 비용 분배 방식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과 계약 조건: 계약 기간과 조건에 따라 수익 비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수익성을 고려해 재협상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국가별 법률과 세제: 저작권법과 세법에 따라 수익 배분 방식이 달라집니다. 법률 전문가와 협력해 최적의 계약 구조를 설계해야 합니다.  

    기술적 기여와 독창성: 중요한 기술적 기여나 아이디어 제공 시, 추가 수익 배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해 보상을 계약서에 명시해야 합니다.  

    마케팅 및 프로모션의 중요성: 마케팅이 중요한 경우, 해당 에이전시나 매니저의 수익 비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예산을 확보하고 성과에 따른 보상 구조를 마련해야 합니다.  

    시장 트렌드와 경쟁 상황: 시장 트렌드와 경쟁 상황에 따라 수익 비율이 달라집니다. 시장 조사를 통해 유연한 계약 구조를 설계해야 합니다.  

    스튜디오 및 장비 제공 여부: 보통 생산 콘텐츠의 사업적 비중이 달라질 정도의 특별한 스튜디오와 장비 제공 시, 수익 비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자원 제공의 영향을 평가해 계약 조건에 반영해야 합니다.  

    특별 조건이나 인센티브: 특정 목표 달성 시 인센티브로 수익 비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표를 사전에 설정하고 이를 계약서에 반영해야 합니다.  


6.10.3 분배의 순서

돈을 받아야 나눌 수 있습니다. CD 앨범의 판매 수익이 발생하면, 여러 단계에 걸쳐 각 이해관계자에게 수익이 배분됩니다. 각 단계에서 공제되는 순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배분되는 것은 판매점과 유통 단계의 수수료입니다. 그 후로 레이블, 아티스트, 기타 이해관계자들에게 수익이 분배됩니다. 아래는 이 과정을 1차, 2차, 3차, 4차로 나눠 임의로 정리한 것입니다. 세금 제외. (적힌 %는 임의의 숫자입니다.)  

    1차: 판매점 수수료, 배급사 수수료  

    2차: 메인 레이블, 프로모션 에이전시  

    3차: 아티스트, 작곡가/작사가, 프로듀서, 세션 뮤지션  

    4차: 사운드 엔지니어, 포토그래퍼, 앨범 아트 디자이너, 리믹스 프로듀서, 기타 참여 아티스트  

    5차: 컬래버레이션 아티스트, 메타데이터 제작자, 폰트 디자이너, 팬 커뮤니티 운영자, 라이센싱 에이전시  


1차: 판매 수익 공제  

    판매점 수수료: 판매점(레코드샵, 온라인 스토어 등)이 앨범을 판매하며 수익의 일정 부분을 차지. 일반적으로 판매 가격의 20~30%.  

    배급사 수수료: 유통을 담당한 배급사가 판매 수익의 일정 비율(10% 내외)을 공제.  

2차: 레이블 수익 정산  

    메인 레이블: 남은 수익에서 레이블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하며, 대략 50% 정도를 가져감. 이 금액으로 제작비, 마케팅 비용 등을 충당.  

    프로모션 에이전시: 레이블이 계약한 프로모션 에이전시가 2% 정도의 수익을 가져갈 수 있음.  

3차: 아티스트 및 창작자 정산  

    아티스트(보컬/밴드): 메인 레이블에서 아티스트에게 일정 비율의 로열티(10%)를 지급. 이 금액은 아티스트의 수익이 됨.  

    작곡가/작사가: 퍼블리싱 로열티로 수익의 약 3%를 차지.  

    프로듀서: 앨범 제작 기여도에 따라 2% 정도의 수익을 받을 수 있음.  

    세션 뮤지션: 간혹 수익의 0.5% 정도를 정산받음.  

4차: 기타 부가 이해관계자 정산  

    사운드 엔지니어: 수익의 0.5% 정도를 받을 수 있음.  

    포토그래퍼: 앨범 내 사진 제공으로 0.5% 정도를 가져갈 수 있음.  

    앨범 아트 디자이너: 수익의 0.5% 정도를 분배받는 경우가 있음.  

    리믹스 프로듀서: 리믹스 트랙이 포함된 경우 1%의 수익을 가져갈 수 있음.  

    기타 참여 아티스트(피처링): 피처링 아티스트가 1% 정도를 정산받음.  

5차: 희귀 및 가능성 있는 정산  

    컬래버레이션 아티스트: 앨범 제작에 참여한 예술가가 수익의 1%를 받을 수 있음.  

    메타데이터 제작자: 메타데이터 제작 및 관리자로서 수익의 0.1% 정도를 받을 수 있음.  

    폰트 디자이너: 앨범 디자인에 폰트 저작권이 포함된 경우 0.1%의 수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팬 커뮤니티 운영자: 팬 커뮤니티에서 특별 에디션 앨범 판매를 중개한 경우, 0.2% 정도를 분배받을 수 있음.  

    라이센싱 에이전시: 특정 곡이나 이미지를 활용한 수익이 발생하면 1% 정도를 가져갈 수 있음.  


6.10.4 앨범 외 다른 지분/분배 상품의 리스트


1. 아티스트 굿즈 및 팬 상품  

    예시: 티셔츠, 후드, 포스터, 아트프린트, 한정판 액세서리 (반지, 목걸이 등), 홈 장식품 (쿠션, 담요, 머그컵 등)  

    참여자: 아티스트, 디자이너, 제조사, 유통사  

    특징: 이러한 굿즈들은 주로 아티스트의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으로, 디자인 및 제작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제조사의 역할이 큽니다. 수익은 주로 아티스트와 디자인 및 제조 파트너 간에 배분되며, 굿즈의 대중성이나 한정판 여부에 따라 수익 분배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정판 상품은 높은 판매가로 인해 더 큰 수익 배분이 가능하며, 아티스트와 제조사 간의 협력도 중요합니다.  

2. 한정판 및 수집가 대상 상품  

    예시: 한정판 바이닐 레코드, 아티스트 서명 한정판 상품, 한정판 포토북, 아티스트 피규어 및 콜렉터블 아이템  

    참여자: 아티스트, 제조사, 디자이너, 유통사, 마케팅 팀  

    특징: 한정판 상품은 소장가치를 높이기 위해 제한된 수량으로 제작되며, 주로 수집가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로 인해 높은 단가와 수익이 예상되며, 아티스트의 서명이나 독점적인 디자인 요소가 수익의 주요 요인이 됩니다. 수익 분배는 아티스트, 제조사, 유통사 간에 이루어지며, 특히 제작 비용과 한정판의 가치를 고려해 지분이 나뉩니다.  

3. 디지털 콘텐츠 및 구독 서비스  

    예시: 디지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구독권, 모바일 배경화면, 이모티콘, NFT(Non-Fungible Token) 기반 디지털 콘텐츠  

    참여자: 아티스트, 디지털 디자이너, 플랫폼 운영사, 스마트 계약 전문가(NFT의 경우)  

    특징: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물리적 제조가 필요 없으며, 주로 플랫폼 운영사와의 협업을 통해 수익이 발생합니다.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NFT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플랫폼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는 콘텐츠 제작에 대한 보상을 받습니다. NFT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판매 수익뿐만 아니라 재판매 시에도 수익이 분배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4. 콘서트 및 라이브 관련 상품  

    예시: 콘서트 및 투어 머천다이즈, 라이브 공연 DVD/Blu-ray, 아티스트와의 온라인/오프라인 팬 이벤트, 팬클럽 멤버십 및 팬미팅 티켓  

    참여자: 아티스트, 투어 기획자, 이벤트 기획자, 영상 제작사, 팬클럽 운영사, 마케팅 팀, 티켓 유통사  

    특징: 콘서트 및 라이브 관련 상품은 팬들과의 직접적인 소통과 경험을 바탕으로 수익이 발생합니다. 콘서트 머천다이즈는 현장 판매로 수익을 창출하며, 투어 기획사와 아티스트가 주요 지분을 나눕니다. 라이브 공연 DVD나 팬 이벤트의 경우, 이벤트의 성격에 따라 수익이 아티스트와 기획사, 제작사 간에 배분됩니다. 팬클럽 멤버십의 경우, 독점 콘텐츠 제공과 티켓 우선 구매 등의 혜택이 포함되며, 멤버십 운영사와의 수익 분배가 이루어집니다.  

5. 콜라보레이션 및 브랜디드 상품  

    예시: 콜라보레이션 상품 (브랜드와의 협업), 브랜드 협업 및 스폰서십 수익 관리  

    참여자: 아티스트, 브랜드, 디자이너, 마케팅 팀, 제조사  

    특징: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상품은 아티스트와 브랜드 간의 협력으로 만들어지며,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수익이 크게 좌우됩니다. 이러한 상품의 경우, 브랜드가 제품 제작과 마케팅을 담당하며, 아티스트는 이미지 사용과 홍보 활동으로 수익을 나눕니다. 수익 배분은 계약에 따라 아티스트와 브랜드 간에 이루어지며, 보통 아티스트는 브랜드 가치 상승에 기여한 만큼의 지분을 갖게 됩니다.  

6. 음반 리마스터링 및 리패키지 앨범  

    예시: 음반 리마스터링 및 리패키지 앨범  

    참여자: 아티스트, 레이블, 리마스터링 엔지니어, 디자이너, 유통사, 마케팅 팀  

    특징: 기존 앨범을 리마스터링하거나 새로운 패키지로 재발매하는 경우, 원본 제작에 참여한 아티스트와 레이블이 주요 지분을 갖습니다. 리마스터링 과정에서는 엔지니어가 추가로 참여하여 음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앨범의 가치를 높입니다. 수익은 아티스트, 레이블, 엔지니어, 디자이너 간에 재분배됩니다.  

7. 음악 라이선싱 및 동기화(Sync) 서비스  

    예시: 영화, TV 쇼, 광고 라이선싱, 비디오 게임 사운드트랙 제공  

    참여자: 아티스트, 퍼블리셔, 라이선싱 에이전시, 프로덕션 회사, 음악 감독  

    특징: 라이선스 사용료는 계약 조건에 따라 일시금으로 지급되거나 사용 빈도에 따라 로열티 형태로 지급됩니다. 수익은 아티스트와 퍼블리셔, 에이전시 간에 사전에 합의된 비율로 분배되며, 사용 매체와 범위에 따라 금액이 크게 변동됩니다.  

8. 교육 및 콘텐츠 서비스  

    예시: 마스터클래스 및 워크숍, 튜토리얼 비디오 및 온라인 코스  

    참여자: 아티스트, 교육 플랫폼, 콘텐츠 제작팀, 마케팅 팀  

    특징: 수익은 플랫폼과 아티스트 간에 분배되며, 콘텐츠 제작에 참여한 팀원들에게도 일정한 보상이 지급됩니다. 구독자 수나 판매량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며, 플랫폼의 수수료 구조에 따라 분배 비율이 달라집니다.  

9. 브랜드 스폰서십 및 광고 캠페인  

    예시: 브랜드 앰버서더 활동, 소셜 미디어 프로모션  

    참여자: 아티스트, 브랜드, 마케팅 에이전시, 소셜 미디어 매니저  

    특징: 수익은 주로 계약을 통해 정해진 금액으로 지급되며, 캠페인의 규모와 범위, 아티스트의 영향력에 따라 보상 수준이 결정됩니다. 마케팅 에이전시는 계약 중개 및 캠페인 관리를 통해 수수료를 받습니다.  

10. 모바일 앱 및 게임 개발  

    예시: 아티스트 테마 모바일 앱, 음악 리듬 게임  

    참여자: 아티스트, 개발사, 디자이너, 앱 스토어 플랫폼, 마케팅 팀  

    특징: 수익은 인앱 구매, 광고 수익, 유료 다운로드 등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아티스트와 개발사 간에 계약된 비율로 분배됩니다. 앱 스토어 플랫폼은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가져갑니다.  

11. 서적 및 출판물  

    예시: 자서전 및 회고록, 사진집 및 아트북  

    참여자: 아티스트, 작가, 출판사, 사진작가, 마케팅 팀  

    특징: 책 판매를 통한 수익은 출판사와 아티스트, 작가, 사진작가 간에 분배됩니다. 선인세와 판매량에 따른 로열티 형태로 수익이 지급되며, 출판 계약 조건에 따라 분배율이 결정됩니다.  

12. 음악 장비 및 악기 콜라보레이션  

    예시: 시그니처 악기 및 장비, 음악 소프트웨어 및 플러그인  

    참여자: 아티스트, 제조사, 엔지니어, 디자이너, 마케팅 팀  

    특징: 제품 판매를 통한 수익은 아티스트와 제조사 간에 계약된 로열티 비율로 분배됩니다. 제품의 개발 및 마케팅 비용도 수익 분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3. 커스텀 음원 제작 서비스  

    예시: 맞춤형 송라이팅 및 프로듀싱, 광고 및 기업용 테마송 제작  

    참여자: 아티스트, 작곡가, 프로듀서, 클라이언트, 레코딩 엔지니어, 마케팅 팀  

    특징: 수익은 주로 프로젝트 단위로 지급되며, 참여한 인원들의 역할과 기여도에 따라 분배됩니다. 완성된 음악의 사용 권한과 라이선싱 조건은 계약을 통해 명시되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4. 팬 참여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예시: 앨범 제작 크라우드펀딩, 콘서트 및 이벤트 펀딩  

    참여자: 아티스트, 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이벤트 기획자, 제작사  

    특징: 모금된 자금은 프로젝트 실행에 사용되며, 플랫폼은 수수료를 취합니다. 후원자들은 금액에 따라 다양한 보상을 받으며, 수익 분배보다는 프로젝트 지원과 보상 제공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15. 퍼스널라이즈드 메시지 및 인사 서비스  

    예시: 비디오 메시지 서비스, 라이브 Q&A 세션  

    참여자: 아티스트, 플랫폼 운영사, 이벤트 기획자  

    특징: 서비스 이용료는 아티스트와 플랫폼 간에 분배되며, 아티스트의 참여 시간과 인기 정도에 따라 수익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팬들과의 개인적인 소통을 강조하며, 비교적 직접적인 수익 창출 방법입니다.  

16. 음악 관련 팟캐스트 및 방송 출연  

    예시: 독자적인 팟캐스트 운영, 게스트 출연 및 인터뷰  

    참여자: 아티스트, 프로듀서, 플랫폼, 스폰서, 마케팅 팀  

    특징: 자체 제작 팟캐스트의 경우 광고 및 스폰서십 수익이 주요하며, 이는 참여자들 간에 분배됩니다. 게스트 출연의 경우 출연료가 지급되거나 홍보 목적으로 무상 출연하기도 합니다.  


6.10.5 수익 배분 구조와 관련된 파생 사업 모델의 종류와 예시

인디레이블은 마치 OTT 플랫폼 시장확장 전성기의 한국 드라마처럼 투자 수집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런면에서 한국의 인디 음악은 큰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보지만, 이에 따른 연결, 큐레이션, 소개, 관리하는 중간 서비스가 국내에는 사례를 찾기 힘든 편이어서 비즈니스 모델 설계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로열티 관리 및 수익 배분 플랫폼: 다양한 스트리밍 플랫폼 및 유통 채널에서 발생한 로열티를 수집, 관리하고, 이를 아티스트와 권리자들에게 자동으로 배분하는 플랫폼. 정확한 수익 배분을 위해 투명한 데이터 제공과 계약 관리 기능 포함. Kobalt, Songtrust, 뮤직카우(Musicow) 

2. 수익 최적화 및 재분배 서비스: 아티스트와 레이블의 수익 구조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서비스. 로열티 수익을 정확히 추적하고, 재분배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솔루션 제공. Audiam, Stem, 사운드리퍼블리카(Sound Republica)

3. 음악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제공 플랫폼: 스트리밍 데이터, 소셜 미디어 반응, 팬덤 활동 등을 분석하여 수익 배분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 데이터에 기반한 수익 배분 구조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 Chartmetric, Soundcharts, 케이팝레이더(K-Pop Radar)

4. 스마트 계약 기반의 블록체인 수익 배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로열티 및 수익 배분을 자동화하고 투명하게 관리하는 플랫폼. 스마트 계약을 통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익 분배.  Opulous, Audius

5. 퍼블리싱 관리 및 저작권 보호 플랫폼: 작곡가와 퍼블리셔가 저작권을 보호하고, 퍼블리싱 로열티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수익을 수집하고 정확히 배분. Songtrust, Sentric Music, 뮤직스프레이(Music Spray)

6. 글로벌 수익 정산 및 환전 서비스: 여러 국가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통합 관리하고, 환전 및 정산 과정을 간소화하는 서비스. 로열티 수익이 다양한 통화로 발생하는 경우, 효율적인 환전과 글로벌 수익 배분을 지원.  Wise, Payoneer, 뮤직플랫폼

7. 오프라인/온라인 티켓 판매 수익 배분 플랫폼: 공연 티켓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기획사 등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자동으로 배분하는 플랫폼. 티켓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을 정산하고, 실시간 보고서 제공. Eventbrite, Ticketmaster, 인터파크 티켓(Interpark Ticket)

8. 라이센싱 및 동기화(Sync) 관리 서비스: 음악이 영화, 광고, 게임 등에서 사용될 때 발생하는 라이센싱 수익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서비스. 동기화(Sync) 라이센스 수익을 권리자에게 정확히 배분.  Bopper,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9. 광고 기반 음악 스트리밍 수익 관리: 광고 기반으로 발생하는 스트리밍 수익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플랫폼. 각 스트리밍 및 광고 수익이 아티스트와 권리자들에게 정확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관리.  Spotify for Artists, YouTube Content ID

10. 크라우드펀딩 및 후원 수익 배분 플랫폼: 팬들이 직접 아티스트의 프로젝트에 후원한 수익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플랫폼. 크라우드펀딩으로 모인 자금을 투명하게 분배하고, 후원자에게 리워드를 제공. Patreon, Kickstarter, 텀블벅

11. 팬 주도 콘텐츠 및 굿즈 판매 수익 배분: 팬들이 직접 구매한 음반, 굿즈 등의 판매 수익을 아티스트와 관련 파트너들에게 배분하는 플랫폼.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한 수익 분배 구조를 지원. Bandcamp, Merchbar

12. 메타데이터 최적화 및 수익 회수 서비스: 디지털 플랫폼에서 메타데이터를 최적화하여 음악의 검색 노출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발생한 추가 수익을 권리자에게 배분하는 서비스. 메타데이터 오류로 인한 수익 손실을 방지.  Vydia, Gracenote

13. 비디오 콘텐츠 수익 관리 및 배분 플랫폼: 뮤직비디오, 라이브 공연 영상 등 비디오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플랫폼. 광고 수익, 스트리밍 수익 등을 권리자들에게 정산. VEVO, YouTube Studio

14. 마이크로로열티 수익 배분 서비스: 소규모 스트리밍, 라디오 방송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로열티 수익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배분하는 서비스. 작은 단위의 수익도 투명하게 관리.  Centrifuge, Revelator

15. 오디오 광고 및 브랜디드 콘텐츠 수익 배분: 팟캐스트 및 오디오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관리하고 배분하는 플랫폼. 브랜드와 협업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제작자 및 참여자들에게 분배.  Acast, Megaphone, 팟빵(Podbbang)

16. AI 기반 수익 예측 및 분배 솔루션: AI를 활용해 미래의 수익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수익 배분 구조를 설계하는 솔루션. 수익 예측을 통해 재투자 계획 수립 가능.  Amuse

17.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 수익 배분 플랫폼: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에서 발생하는 티켓 판매, 후원, 광고 수익을 아티스트와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배분하는 플랫폼. 글로벌 팬층을 대상으로 실시간 공연 수익 관리. Stageit, Veeps

18. 글로벌 시장 로열티 수익 통합 관리: 여러 국가에서 발생하는 로열티 수익을 통합 관리하고, 다국적 이해관계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서비스.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수익 구조를 단순화.  Fintage House, Songtradr,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19. 브랜드 협업 및 스폰서십 수익 관리: 브랜드와 아티스트의 협업을 통해 발생하는 스폰서십 및 광고 수익을 관리하고, 공정하게 배분하는 플랫폼. 아티스트의 브랜드 가치 극대화를 위한 협업 관리.  Branded Entertainment Network (BEN), William Morris Endeavor (WME)

20. 스트리밍 플랫폼 내 음원 사용 데이터 분석: 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음원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열티 수익 배분을 최적화하는 솔루션. 데이터 기반으로 정확한 수익 배분을 지원. Soundcharts, Beatdapp


6.10.6 파격적 비즈니스모델 수립을 위한 비판적 시각  



'모두를 위한 분배'라는 말, 실제로는 '누군가의 희생'을 의미한다.  

    새로운 니즈: 투명하고 공정한 분배 시스템. 모든 이해관계자가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분배 방식을 제공하는 플랫폼 또는 서비스의 필요성.  

    비즈니스 기회: 블록체인 기반의 완전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수익 분배 플랫폼.  

앨범 한 장의 수익이 열 명의 손을 거치는 동안, 그 돈은 어디로 사라질까?  

    새로운 니즈: 중간 단계를 최소화하거나 생략할 수 있는 직거래 방식의 유통 모델.  

    비즈니스 기회: 아티스트가 직접 팬들에게 콘텐츠를 판매하고 수익을 더 많이 가져갈 수 있는 디지털 마켓플레이스.  

한정판은 결국 '당신만 특별하다'고 속삭이는 대량 생산품일 뿐이다.  

    새로운 니즈: 진정한 희소성을 가진 상품, 단순한 마케팅 기법을 넘어 진짜로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한정판 상품.  

    비즈니스 기회: 고객 맞춤형 굿즈 제작, 1:1 맞춤형 아티스트 경험 제공 등 진정한 의미의 희소성 창출.  

디지털 콘텐츠? 한 번 만들면 영원히 팔아먹는, '투자 대비 최고의 효율'이자 팬덤 착취의 상징.  

    새로운 니즈: 디지털 콘텐츠의 진정한 가치와 팬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보상하는 시스템.  

    비즈니스 기회: 팬들이 직접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거나 큐레이션할 수 있는 플랫폼, 그에 따른 보상 체계 제공.  

블록체인 기반 수익 배분? 기술로 투명하게 분배에 새로 끼는 새로운 방법일 뿐.  

    새로운 니즈: 블록체인 기술을 단순히 수익 분배가 아닌, 팬과 아티스트 간의 직접적이고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도구로 활용.  

    비즈니스 기회: 블록체인 기반의 팬 참여형 콘텐츠 개발 플랫폼, 팬 참여 보상 체계 등.  

프로모션은 '앨범을 팔기 위해 돈을 태우는 예술'이자, 결국 또 다른 착취 구조.  

    새로운 니즈: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높은 ROI를 보장하는 마케팅 전략.  

    비즈니스 기회: 소셜 미디어 기반의 바이럴 마케팅 플랫폼, 팬 커뮤니티를 활용한 자연스러운 프로모션 시스템.  

팬 굿즈의 진짜 가치? '유행 지나면 먼지 쌓이는 쓰레기'에 불과할지도.  

    새로운 니즈: 지속 가능하고 가치 있는 팬 굿즈.  

    비즈니스 기회: 재활용 가능하거나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굿즈, DIY 팬 참여형 굿즈 제작.  

NFT? 디지털 자산이라는 이름으로 팬덤을 빨아먹는 무한 사기극.  

    새로운 니즈: 팬덤과 아티스트 모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NFT 활용법.  

    비즈니스 기회: 팬 참여를 통한 창작과 수익 분배가 이루어지는 NFT 마켓플레이스.  

크라우드펀딩은 '돈이 많으면 팬, 없으면 관객'이라는 신자본주의적 팬 구별법.  

    새로운 니즈: 모든 팬이 공평하게 참여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 모델.  

    비즈니스 기회: 기여도에 따른 리워드 분배, 기부금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참여자가 의미 있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  

AI 기반 수익 예측? 인간보다 차가운 기계가 미래를 '팔아먹는' 시대의 도래.  

    새로운 니즈: 인간의 감성과 예술성을 반영한 수익 예측 모델.  

    비즈니스 기회: 아티스트와 팬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AI 기반 수익 예측 및 최적화 플랫폼.  

한정판 앨범? '수집가들만을 위한 사기극'에 불과한데, 마케팅이 이를 '예술'로 둔갑시킨다.  

    새로운 니즈: 마케팅보다 콘텐츠의 가치에 중점을 둔 진정한 한정판.  

    비즈니스 기회: 아티스트가 직접 팬들과 소통하며 제작하는 한정판 앨범, 팬이 참여하는 제작 과정.  

팬클럽 멤버십? 팬이라 쓰고, '돈 내고 특권 구매하기'라 읽는다.  

    새로운 니즈: 경제적 부담 없이 팬들이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기회: 무료 혹은 낮은 가격으로 접근 가능한 팬클럽 모델, 팬들이 콘텐츠 기여를 통해 얻는 리워드 시스템.  

앱 내 구매? '최대한 오래 붙잡아두고 더 많이 긁어내기'를 목표로 한 완벽한 심리 게임.  

    새로운 니즈: 유저 친화적이고 정직한 앱 내 구매 모델.  

    비즈니스 기회: 사용자가 직접 구매를 통해 콘텐츠 개발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보상받는 앱 내 경제 시스템.  

광고 수익 기반 스트리밍? 음악은 배경음에 불과하고, 광고가 주인공이 된 세계.  

    새로운 니즈: 광고 없이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스트리밍 모델.  

    비즈니스 기회: 팬들이 직접 아티스트를 후원하는 구독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브랜드 콜라보? 아티스트의 개성은 '브랜드 이미지 세탁'에 쓰이는 도구일 뿐.  

    새로운 니즈: 아티스트의 진정성을 해치지 않는 콜라보레이션.  

    비즈니스 기회: 아티스트의 가치와 일치하는 브랜드와의 진정성 있는 협업 프로젝트.  

비디오 콘텐츠? '무료 배포'라 쓰고 '광고 수익'으로 빨아먹는 예술적 거짓말.  

    새로운 니즈: 광고 없이도 지속 가능한 비디오 콘텐츠 수익 모델.  

    비즈니스 기회: 팬들의 자발적 기부 또는 구독으로 운영되는 광고 없는 비디오 플랫폼.  

출판물 수익? '종이 더미'에 불과한 책으로, 아티스트의 인생을 팔아먹는 출판사의 잔혹한 게임.  

    새로운 니즈: 아티스트의 스토리를 진정성 있게 담아내는 출판물.  

    비즈니스 기회: 독립 출판 플랫폼, 팬과 아티스트가 직접 교류하며 제작하는 자서전, 사진집 등.  

라이브 스트리밍? '현장감' 없는 라이브는 '팬심'을 '현금'으로 바꾸는 또 하나의 트릭.  

    새로운 니즈: 진정성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경험.  

    비즈니스 기회: 팬들과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팬 메시지 서비스? '개인적 소통'이라며 돈을 받고 파는 새로운 종류의 상품화.  

    새로운 니즈: 진정한 소통을 기반으로 한 팬-아티스트 연결.  

    비즈니스 기회: 팬들의 자발적 참여와 진정성을 중심으로 한 팬 메시지 서비스.  

메타데이터 최적화? '정보 조작'이라 쓰고, '검색 엔진 최적화'라 읽는다.  

    새로운 니즈: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관리.  

    비즈니스 기회: 아티스트의 의도와 콘텐츠가 정확하게 반영된 메타데이터 관리 서비스.  

스마트 계약? 더 정교하게 착취할 방법을 기술적으로 완벽히 설계한 시스템.  

    새로운 니즈: 모든 이해관계자가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시스템.  

비즈니스 기회: 이해관계자의 공정한 이익 분배를 보장하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



6장 음악산업BM은 이번편으로 끝입니다. 7장은 영상산업BM입니다.


240822 김동은WhtDrgon. (주)메타버스제작사

Copyright 2024. 김동은WhtDrgon. all rights reserved.

https://brunch.co.kr/brunchbook/bmbook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