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휘남 Sep 06. 2017

시인을 위해 울어줄 사람은 누구인가

김양희 감독의 <시인의 사랑>

스포일러: 보통



 시인은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나약한 존재다. 이들은 내면의 상처를 외면으로 표출하기 위하여 시를 창작한다. 부끄럼 많은 소년이 '이건 친구 얘긴데…'로 운을 떼며 첫사랑에 대해 말하듯, 작가가 자신의 상처를 대신 짊어질 주인공을 만들듯, 시인은 자기 대신 상처를 고백할 화자를 시 속에 심는다. ‘이것은 나의 이야기가 아니다’라는 전제 하에 고백은 비로소 시작된다. 과묵한 시인은 함부로 내색하지 못한다. 그럴수록 시는 그 안에서 더욱더 무르익게 된다.


 그러나 시인 역시 직업이며 이 직업의 일은 시를 쓰는 것이다. 상처를 치유한 다음에도 이들은 필연적으로 창작을 해야만 한다. 자신의 시를 애타게 기다리는 누군가가 있을 때 시인은 공감의 힘을 빌린다. 이때부터 시인은 슬픔을 가진 누군가의 사연을 찾아 나선다. 그다음 그것을 온몸으로 공감하려고 노력한다. <시인의 사랑> 속 대사처럼 슬픔은 시의 재료다. 그래서일까. 영화에서 시인(양익준)은 불운에 처한 소년(정가람)에게 마음을 빼앗긴다. 이에 대해 시인의 아내(전혜진)는 이렇게 말한다.


비극이 필요했겠지.


 아내의 말대로 시인은 정말 비극이 필요했던 걸까. 병상에 누운 소년의 아버지를 본 순간 시인은 소년을 돕기 위해 두 팔을 걷어붙인다. 자신의 집에서 욕창 메트를 가져와 소년의 아버지의 병상에 깔아주는가 하면 밥벌이도 시원찮은 마당에 소년의 집 냉장고에 음식을 채운다. 소년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상담사를 자처하며, 소년이 의지할 수 있는 연인이 되어준다. 이러한 그의 헌신이 단지 시를 위한 투자에 불과하였던 것일까. 시인에게 소년은 정녕 작품을 위한 뮤즈였을 뿐인가.


시인에게 도넛을 건네는 소년

 이전에도 시인은 소년을 바라보며 ‘함부로 아름다운 것들’이라는 구절을 쓴 적이 있었다. 이후 도넛 가게에서 글을 써보기로 한 시인은 화장실 칸막이 안에서 여자와 뒤엉켜있는 소년을 우연히 목격하고, 바로 그 이미지는 결여된 남성성으로 불편을 겪던 시인에게 정체성이 흔들릴 정도의 충격을 안긴다. 그러니까 그가 소년에게 마음을 빼앗긴 것은 소년의 슬픔이나 비극 때문이 아니었다. 게다가 그는 소년을 단 한 순간도 동정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시인은 그의 농담 섞인 말마따나 양성애자였던걸까. 부담 없이 가벼운 이 영화에서 이러한 설정은 결코 무리가 아니지만, 만일 그렇다면 이 영화는 시인에 대한 영화가 아니게 된다. 하지만 영화는 제목에서부터 이것이 시인에 대한 이야기임을 말하고 있다. 퀴어적인 요소는 있지만 사실상 <시인의 사랑>은 퀴어영화가 아니다.


시인은 소년과 함께하기를 택한다

 영화에 의하면 시인이란 누군가를 위하여 대신 울어주는 사람이다. 직접적으로 서술되지는 않지만 시인은 아내를 위해서도 진정으로 눈물을 흘린 적이 있었다. 아내는 그런 그를 진심으로 사랑했고, 그랬기 때문에 그가 떠난다고 했을 때 처절하다 싶을 정도로 매달렸다. 쥐꼬리만도 못한 남편의 월급을 충당하기 위해 제주도 특산물을 팔면서 살아가야 했지만, 사랑했기 때문에 아내는 그마저도 행복했다. 그러나 특산물이 따지고 보면 결코 특별한 게 아니듯 그에게 그녀는 결코 특별한 존재가 아니었다. 시인은 매 순간 누군가의 슬픔과 비극을 포용하는 사람이었고, 지금 그가 대신 울어줘야 할 사람은 아내가 아닌 소년이었다. 결국 그는 가정을 꾸리는 일 대신 소년을 돕는 일을 택한다. 그것이 시인으로서 그가 해야 할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시인을 위하여 울어줄 사람은 어디에 있는가. 동창생에 의하면 그는 학창 시절 때부터 줄곧 남 모를 고민을 끌어안고 살아왔다. '도움이 되는 말'이라는 핑계로 비아냥을 서슴지 않는 낭송회 회원들 앞에서도 시인은 남몰래 아파하고 있었다. 시인의 주변엔 자신의 아픔과 결핍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사람은 많았지만 시인의 상처에 대하여 물어보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결국 그는 고독해졌고, 요구하기 바쁜 사람들 앞에 ‘나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겨우 이거냐’며 소리칠 수밖에 없었다.


시인의 생채기를 바라보지 않는 아내


안부가 슬픔을 깨울 테니까요
슬픔은 또 다시 나를 살아 있게 할 테니까요


 시인은 소년에게 문학상 상금 3000만 원이 든 카드를 건네며 ‘너를 이용했다’고 말한다. 그 시절의 기억을 자조(自照)한 채 살아가던 시인은 어느 날 아기의 기저귀를 살펴보다 쥐약을 먹은 소년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떠올린다. 자신의 상처를 표출하기 위해 또 한 번 화자를 만들어낸 시인은 ‘더 이상 아무 때나 울지 않는다’는 구절과는 반대로 또다시 눈물을 흘린다.




 작중 인물들(아내, 소년)은 모두 시인의 관용과 사랑에 빠진다. 그들은 치유받았고 극복했으며 이제는 그 관용을 도구로써 이용하려고 들었다. 아내는 ‘남들 다 하는 것 보란 듯이 나도 하’기 위해 시인의 정자를 요구했고, 소년은 ‘돈 줘요’라는 농담의 끝에 시인의 카드를 받아 들었다. 시인은 그들에게 모든 것을 바친다. 그렇다면 그는 무엇을 위하여 이토록 희생하고 헌신하는가. 시인의 사랑은 무엇인가.



 어쩌면 그가 진정 사랑하고 싶었던 것은 작품이라는 가면 속에 숨어있는 자기 자신이었는지도 모른다. 아무도 보듬어주지 않는 내면의 생채기를 시인은 매 순간 스스로 치유하며 버티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 터벅이는 시인의 그림자가 더욱 외롭고 쓸쓸하게 보인다.




이미지 출처: Daum 영화

이전 12화 만인의 꿈에 가려진 사람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