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ourmond Jul 21. 2021

우리 능력은 끝이 없어요

2021년 7월 9일 금요일 편집자의 일기


제목을 짜다보면 어느 날은 이상한 심술이 드는 날이 있다. 제목에 들어가야 할 중요한 단어나 주체를 굳이 드러내고 싶지 않은 날. 특정한 지표 없이 기사의 주인공을 사람들에게 소개해주고 싶을 때가. 신문 제목은 특히 인물의 핸디캡을 좋아한다. 그게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으니까. 그런데 그 핸디캡이 사람들의 시선을 잡아 끄는 만큼 내가 더 소개해주고 싶은 면은 감춰지고 만다. 


오늘 ‘사람들’ 지면의 톱기사는 시각장애인 조향사 양성을 처음 제안해낸 장애인복지관 관장의 인터뷰가 실렸다. 그는 시각장애인의 직업이 안마사처럼 특정 직군에 한정된 게 안타까웠다고 했다. 그는 시각장애인이 후각이 발달했다는 장점을 조향사와 연결했다. 올해 자격증을 딴 교육생이 세 명이나 된다. 


 향수 공방에 간 적이 있다. 향수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시향을 수차례 반복하며 각각의 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물안개 향, 시트러스 향, 우거진 숲 향, 코튼 향 …. 이 정도로 표현할 수 있으면 다행인데 정말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향들도 있다. 이럴 땐 시각적 표현을 빌려온다. 노란색 향, 보라색 꽃 향, 푸른 바다 향…. 시각적 심상에 기대 향을 표현한다는 것은 자신에게 익숙한 시각 안에 갇혀 향기의 세계를 제대로 느낄 수 없다는 핸디캡이기도 하다. 시각은 ‘비非 시각장애인’이 지닌 핸디캡이라고 할 수 있다. 보이는 대로만 세상을 알고 있으니까.  


[“향은 보는 게 아니니까… 우리 능력은 끝이 없어요”]


이렇게 처음 제목을 뽑았다. 기사 맨 처음에 “시각장애인에게 직업의 한계가 없다는 걸 보여주고 싶습니다”라는 멘트를 가만히 곱씹었다. 직업의 한계가 없다는 것보다 이들이 가진 능력의 한계가 없다는 걸 표현하고 싶었다. 이원하의 시구가 떠올랐다. “나의 정체는 끝이 없어요” 능력이란 곧 그 사람의 정체성이기도 하다. 사람은 그가 지닌 능력에 따라 수없이 많은 ‘정체’를 지닌다. 시각에서 벗어났기에 비로소 ‘향’ 그 자체로 향기를 대할 수 있는 그 능력, 비非 시각장애인은 갖고 있지 않은 그 능력엔 끝이 없으리라고 생각했다. 


아쉽게 데스킹에서 제목은 수정됐지만 오랜만에 이원하의 시집을 다시 꺼내봤다. 코로나라 해외여행 대신 다 제주도로 향하던데, 나도 그 인파를 따라 제주도로 가게 된다면 꼭 들고 가게 될 시집. 누구든 끝없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만큼 빼곡한 우리의 정체.  




유월의 제주 

종달리에 핀 수국이 살이 찌면 

그리고 밤이 오면 수국 한 알을 따서 

착즙기에 넣고 즙을 짜서 마실 거예요 

수국의 즙 같은 말투를 가지고 싶거든요 

그러기 위해서 매일 수국을 감시합니다 


나에게 바짝 다가오세요 


혼자 살면서 나를 빼곡히 알게 되었어요 

화가의 기질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매일 큰 그림을 그리거든요 

그래서 애인이 없나봐요 


나의 정체는 끝이 없어요 


- 이원하,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일부  

이전 21화 유일한, 영원한 자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