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용원 Mar 31. 2020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1994) - 유홍준

'논제명찰(論題名刹)’ 5選 - 1. 영주 부석사

'논제명찰(論諸名刹)' 5선(選) - 1. 영주 부석사
- 유홍준 교수의 ‘논제명찰(論題名刹)’ 5選 -

 
1. 춘삼월 양지 바른 댓돌 위에서 사당개가 턱을 앞발에 묻고 한가로이 낮잠자는 듯한 절은 서산 개심사(開心寺)이다.

2. 한여름 온 식구가 김매러 간 사이 대청에서 낮잠자던 어린애가 잠이 깨어 엄마를 찾으려고 두리번거리는 듯한 절은 강진 무위사(無爲寺)이다.

3. 늦가을 해질녘 할머니가 툇마루에 앉아 반가운 손님이 올 리도 없건만 산마루 넘어오는 장꾼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듯한 절은 부안 내소사(來蘇寺)이다.

4. 한겨울 폭설이 내린 산골 한 아낙네가 솔밭에서 바람이 부는 대로 굴러가는 솔방울을 줍고 있는 듯한 절은 청도 운문사(雲門寺)이다.

5. 몇날 며칠을 두고 비만 내리는 지루한 장마 끝에 홀연히 먹구름이 가시면서 밝은 햇살이 쨍쨍 내리쬐는 듯한 절은 영주 부석사(浮石寺)이다.

 
위의 글은 조선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경산 정원용의 ‘논제필가(論諸筆家)’에서 영감을 얻어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2권에서 전국 5개 명찰을 논한 글, 이른바 ‘논제명찰(論諸名刹)’이다. <한국문원>에서 편집한 [명찰(名刹)]을 보면, 1995년 말 기준으로 우리 국보와 보물 문화재는 1,466점이라고 하는데 이 중 불교문화재가 총900점에 달하는 바, 이들 불교문화재들을 품고 있는 곳이 대부분 사찰이다. 1995년 말 기준 282점 국보 가운데 147점, 1,184점의 보물 가운데 753점을 차지하는 불교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의 사찰이야 말로 가히 우리 문화재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역사의 숨결을 음미하고자 오래된 절을 찾아가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

1. 경북 영주 봉황산 부석사 (鳳凰山浮石寺)

경북 영주 봉황산 부석사(鳳凰山 浮石寺)는 유홍준 교수가 ‘가장 아름다운 절집’, ‘위대한 건축’이라 부르며 으뜸으로 꼽는 유명한 사찰이다.

태백산맥이 두 줄기로 나뉘는 양백지간,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에 자리잡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부석사(鳳凰山浮石寺)는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근본도량으로 신라 문무왕 16년인 서기676년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온 의상(義湘)대사가 왕명에 의해 창건하여 화엄의 대교를 펼치던 곳이라고 한다. 의상대사가 당나라 유학 중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을 듣고 급히 돌아오던 중에 한 신도의 집에서 선묘(善妙)라는 이름의 딸이 의상을 깊이 사모하게 되었는데 나라를 구할 마음에 이를 외면하고 돌아오는 의상을 바라보며 선묘 여인은 용이 되어서라도 의상을 지키겠다는 결심으로 바다에 몸을 던지고 이후 의상이 외지에서 화엄사상을 설교할 때 이를 위협하는 도당들에게 거대한 바윗돌이 되어 그 사교집단의 머리 위에서 위협함으로써 의상을 지켜내기도 하였다는 설화 등을 바탕으로 부석사에는 말 그대로 ‘부석’, ‘뜬 돌’로 이루어진 바위가 있기로도 유명하다. 이는 절 이름이 ‘부석사’가 된 유래이기도 하다. 부석사의 고려시대 명칭은 선달사(善達寺)로서 선달이란 ‘선돌’의 음역으로 부석의 향음이라고 하는데, [택리지]를 쓴 은자 이중환은 1723년 가을 어느 날 부석사를 답사하며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고 한다.

"불전 뒤에 한 큰 바위가 가로질러 서 있고 그 위에 또 하나의 큰 돌이 내려 덮여 있다. 언뜻 보아 위아래가 서로 이어 붙은 것 같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두 돌 사이가 서로 붙어 있지 않고 약간의 틈이 있다. 노끈을 넣어보면 거침없이 드나들어 비로소 그것이 뜬 돌인 줄 알 수 있다. 절은 이것으로써 이름을 얻었는데 그 이치는 전혀 이해할 수 없다."
- 이중환, [택리지], 1723.

부석사에서 가장 유명한 무량수전(無量壽殿)은 국보 제18호로서 기둥의 배가 불룩한 배흘림 기둥으로 유명한데, 고려 현종 7년인 1016년 원융(圓融)국사가 이를 중창한 이후 계속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후 고려 우왕 2년인 1376년에 원응국사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국보 제19호인 의상대사를 기리는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고 한다. 무량수전의 현판글씨는 고려 말 중국 홍건적이 내침했을 당시 안동까지 피난 온 고려 공민왕이 쓴 글씨로서, 무량수전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1916년에 해체 수리를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외에도 무량수전과 함께 유명한 국보 제17호인 무량수전 앞 석등과 국보 제45호로서 무량수전에 모셔서 있는 금으로 도금한 고려시대 소조여래좌상(테라코타 형식으로 빚은 부처상), 지금은 유리상자에 담아 역시 무량수전 안에 보관하고 복사본만 조사당에 비치한 국보 제46호 조사당 벽화 등이 있다. 또한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으로 오르는 길 중턱 왼편의 당간지주와 석조여래좌상, 무량수전에서 조사당 올라가는 길에 있는 3층 석탑 등은 우리 나라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융국사비와 불사리탑 등의 지방문화재를 비롯, 삼성각, 취현암, 범종루, 안양루(문), 응향각 등 영주 부석사는 수많은 문화재의 보고이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어서’ 바라보는 소백산맥 전경은 유홍준 교수가 ‘국보 제0호’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로 우리 시야를 확 트이게 해주는 시원한 절경이기도 하다.

이 장쾌한 전경은 무량수전 뿐만 아니라 안양루에 올라서도 마찬가지인데, 안양루에 걸려 있는 아래와 같은 중수기(重修記)는 옛 선인들의 정취를 알 수 있게 한다.

"몸을 바람 난간에 의지하니 무한강산이 발 아래 다투어 달리고,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르니 넓고 넓은 건곤이 가슴 속으로 거두어 들어오니 가람의 승경이 이와 같음은 없더라"

천하의 방랑시인 김삿갓도 부석사 안양루에 올라서는 그 ‘예리한 풍자를 꺾고’ 다음과 같이 자탄했다고 한다.

"평생에 여가 없어 이름난 곳 못 왔더니
백발이 다 된 오늘에야 안양루에 올랐구나
그림 같은 강산은 동남으로 벌어 있고
천지는 부평같이 밤낮으로 떠 있구나
지나간 모든 일이 말 타고 달려오듯
우주간에 내 한 몸이 오리마냥 헤엄치네
인간 백세에 몇 번이나 이런 경관 보겠는가
세월이 무정하네 나는 벌써 늙어 있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한 故최순우 관장은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라는 글로 유명한데, 유홍준 교수는 그를 기리며 ‘사무치는’ 마음으로 해마다 영주 부석사를 찾는다고 술회하고 있다. 최순우 관장의 ‘사무치는’ 마음을 보자.

"소백산 기슭 부석사의 한낮, 스님도 마을사람도 인기척도 끊어진 마당에는 오색 낙엽이 그림처럼 깔려 초겨울 안개비에 촉촉이 젖고 있다. 무량수전, 안양루, 조사당, 응향각들이 마치도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나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이 아름다움의 뜻을 몇 번이고 자문자답했다.
… 눈길이 가는 데까지 그림보다 더 곱게 겹쳐진 능선들이 모두 이 무량수전을 향해 마련된 듯 싶어진다. 이 대자연 속에 이렇게 아늑하고도 눈맛이 시원한 시야를 터줄 줄 아는 한국인, 높지도 얕지도 않은 이 자리를 점지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한층 그윽하게 빛내주고 부처님의 믿음을 더욱 숭엄한 아름다움으로 이끌어줄 수 있었던 뛰어난 안목의 소유자, 그 한국인, 지금 우리의 머릿속에 빙빙 도는 그 큰 이름은 부석사의 창건주 의상대사이다."
-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1994.
 
또 하나, 부석사 무량수전에서 앞 석등까지는 석룡(石龍)이 깔려 있다고 하는데, [한국의 인간상]을 쓴 불교학자 민영규 선생은 ‘의상’편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한다.

"석룡에 관한 노주지의 설명인 즉 법당 밑 땅 속에 묻힌 석물을 가리킨다고 한다. 무량수전의 미타불 대좌 밑에서 그 머리가 시작되어 S자형으로 몸체를 꿈틀거리며 법당 앞뜰의 석등 밑에서 꼬리가 끝나기까지 10수간 길이의 용형을 조각한 석물이 땅속 깊이 묻혀 있다는 이야기는 사찰자산대장에도 석룡이란 이름이 적혀 있음으로 보아 전승의 유래가 오랜 것임을 알 만하다. 이때부터 30수년 전 경내의 몇몇 건물과 축대가 크게 개수되고 법당 앞뜰도 상당한 깊이로 개굴되었을 때 거대한 석물의 일부가 땅속 깊이 드러나 보였는데, 용의 비늘인 듯한 조각의 세부로 역력히 알아볼 수 있었다는 노주지의 주석이었다.
… 나는 노주지로부터 석룡에 관한 이야기를 좀더 알아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 임란 때 원군 온 명장(明將) 이여송이 팔도강산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명산이 있으면 단맥하는 것이 일이었었는데, 이 태백산에 와서는 석룡의 허리를 잘라놓고 갔다는 것이다. 노주지의 설명은 또 이렇게 덧붙여졌다. 30수년 전 일본인 기술자가 와서 이 절에 크게 개수공사를 할 때, 무량수전 앞뜰의 개굴에서 석룡의 절단된 허리부분이 노출되었었다. 주위 인사들이 이 기회에 절단된 부분의 보수를 희망했으나, 일본인 기술자는 이를 완강히 거부하였다. 마치 옛날 명장이 그러했었던 것처럼, 단맥된 산세의 복구가 이 땅에 영웅의 재생을 가져올까 못내 두려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의상을 사모했던 선묘 여인이 바다에 빠져 의상을 지키는 용이 된 ‘선묘화룡’ 전설과 무량수전 석룡이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다.

우리 절 중 으뜸인 부석사, 유홍준 교수에 따르면 세상사람들은 의상대사를 ‘부석존자’라고 부른다고도 하며, 부석사는 일주문 올라가는 길가의 은행나뭇잎이 노랗게 물드는 가을에 찾아야 제 맛이다.


(계속)


***


1.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2 :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유홍준, <창비>, 1994.
2.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최순우, <학고재>, 1994.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