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명찰(論諸名刹)' 5선(選) - 2. 청도 운문사
'논제명찰(論諸名刹)' 5선(選) - 2. 청도 운문사
- 유홍준 교수의 ‘논제명찰(論題名刹)’ 5選 -
1. 춘삼월 양지 바른 댓돌 위에서 사당개가 턱을 앞발에 묻고 한가로이 낮잠자는 듯한 절은 서산 개심사(開心寺)이다.
2. 한여름 온 식구가 김매러 간 사이 대청에서 낮잠자던 어린애가 잠이 깨어 엄마를 찾으려고 두리번거리는 듯한 절은 강진 무위사(無爲寺)이다.
3. 늦가을 해질녘 할머니가 툇마루에 앉아 반가운 손님이 올 리도 없건만 산마루 넘어오는 장꾼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듯한 절은 부안 내소사(來蘇寺)이다.
4. 한겨울 폭설이 내린 산골 한 아낙네가 솔밭에서 바람이 부는 대로 굴러가는 솔방울을 줍고 있는 듯한 절은 청도 운문사(雲門寺)이다.
5. 몇날 며칠을 두고 비만 내리는 지루한 장마 끝에 홀연히 먹구름이 가시면서 밝은 햇살이 쨍쨍 내리쬐는 듯한 절은 영주 부석사(浮石寺)이다.
위의 글은 조선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경산 정원용의 ‘논제필가(論諸筆家)’에서 영감을 얻어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2권에서 전국 5개 명찰을 논한 글, 이른바 ‘논제명찰(論諸名刹)’이다. <한국문원>에서 편집한 [명찰(名刹)]을 보면, 1995년 말 기준으로 우리 국보와 보물 문화재는 1,466점이라고 하는데 이 중 불교문화재가 총900점에 달하는 바, 이들 불교문화재들을 품고 있는 곳이 대부분 사찰이다. 1995년 말 기준 282점 국보 가운데 147점, 1,184점의 보물 가운데 753점을 차지하는 불교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의 사찰이야 말로 가히 우리 문화재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역사의 숨결을 음미하고자 오래된 절을 찾아가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
2. 경북 청도 호거산 운문사 (虎踞山雲門寺)
호거산 운문사(虎踞山 雲門寺)는 호랑이가 의연하게 앉아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고 하여 이름지어진 호거산 아래 자락 넓은 마당에 자리한 평지사찰인데, 산을 등지고 있는 다른 사찰들과는 다르게 호거산을 마주보고 있다. 운문사로 가는 길 왼쪽의 깎아지른 절벽 위 ‘지룡산’이라는 바위산이 있는데, 그 꼭대기 호거산성은 성터만 남아있다고 한다. 축성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신라 경애왕 4년에 후백제 견훤이 신라를 침공하기 위해 세운 기지라고 전해진다. ‘지룡산성’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견훤이 지렁이 아들이라는 전설 때문이라고 하며, 지룡산성은 호거산성 또는 운문산성이라고도 불린다. 오랜 역사에 비해 성내에 물이 적어 많은 군사들이 머물기는 부적당한 산성이지만, 사방이 절벽이어서 수비하기 쉬워 임진왜란 때 박경전이라는 사람이 이끌던 청도 의병들이 유격 거점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18년 ~ 진흥왕 21년(557년 ~ 560년) 이름을 알 수 없는 한 신승(神僧)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이후 원광(圓光)법사가 세속오계(世俗五戒)를 내린 곳으로 전해지며, 후삼국 시기 왕건의 신라 정벌에 도움을 주었던 보양(寶壤)국사가 중창한 절로서, 고려를 건국한 왕건이 태조 20년인 937년 보양국사에 대한 보답으로 토지 500결을 내렸다는 절이다.
유홍준 교수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2권에서 ‘운문사의 아름다움 다섯’을 다음과 같이 꼽고 있다. 첫째250여명의 비구니 승가대학 여승들의 모습, 둘째 비구니 승가대학에서 열리는 장염한 새벽 예불, 셋째 운문사 입구의 조선 소나무밭길, 넷째 높고 깊은 산속에 위치하면서도 평지에 지은 사찰로서의 평온함, 다섯째 우리 역사의 뛰어난 유산인 [삼국유사]가 쓰여진 절이라는 점 등이 그것이다.
운문사를 창건한 신승은 북대암 옆 금수동(金水洞) 계곡에 작은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수도하여 도를 깨달은 후10여 명의 도움을 받아 7년 동안 다섯 개의 절인 ‘오갑사’를 지었으며 지금 남아있는 것은 현재 운문사로 불리는 대작갑사와 대비사로 불리는 대비갑사라고 하는데, 이후 진평왕대에 이르러 원광(圓光)법사가 중창했다고 한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보자.
"오갑사의 첫 번째 중창자는 원광법사였다. 일연스님은 [삼국유사] 제5권<의해(義解)> 편에서 첫머리에 원광법사를 논하면서… 일연스님에 의하건대, 원광법사는 진평왕 22년(600년) 귀국하여 경주 황룡사에 있다가 대작갑사에 와서 3년 간 머문 뒤 가슬갑사로 옮겨갔다. 원광법사는 이 가슬갑사에서 화랑 귀산과 추항에게 저 유명한 ‘세속오계’를 내려 주었다."
본래 다섯 개의 갑사 중 하나로 지어져 대작갑사(大鵲岬寺)라 불린 운문사는 보양국사에 의해 재중창되며 작갑사(鵲岬寺)라 이름을 고쳤고, 고려 태조 왕건이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한 뒤부터 지금의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보양국사의 2차 중창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는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보양이 폐사를 일으키려고 산 북쪽에 올라가 살펴보니 뜰에 오층 황탑이 보였다. 그래서 뜰로 내려 왔는데 황탑은 자취없이 사라진다. 보양이 다시 산으로 올라가 탑이 있던 자리를 내려다 보니 까치들이 땅을 쪼고 있었다. 이때 보양은 ‘작갑(鵲岬)’이 곧 ‘까치곶’이라는 사실이 생각났다. 다시 내려와 까치가 있던 곳을 파보니 무수한 전돌이 나오는데 그것으로 탑을 쌓으니 한 장도 남음이 없었다. 이리하여 보양은 여기에 절을 짓고 작갑사라 하였으며, 얼마 후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였는데…"
이렇게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한 왕건이 태조20년에 이르러 사액을 하고 절의 이름으로 운문사로 지었다는 것이다. 운문사라 한 것은 “만약에 석가모니가 내 앞에서 다시 한 번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이라는 오만을 부린다면 다리 몽둥이를 분질러 놓겠다”고 호언할 정도로 대단한 스님이었다는 당나라 고승 운문문언(雲門文偃)을 기리기 위함이라고 한다.
운문사는 이후 고려 인종 7년인 1129년 원융국사가 3차 중창을 한 후 토지 2백결과 국노비 500명을 거느리는 등 사세(寺勢)가 절정에 이르렀고 운문사에는 보물 제316호로 지정된 원융국사비를 통해 이를 기리고 있다.
운문사는 이후 12세기 말 고려 명종 무신정변기였던1176년 공주의 ‘망이·망소이 반란’으로 시작되어 체제에 억압받던 농민과 천민들의 반란이 들끓던 시기 영남지역에서 중앙권력에 대항할 만큼 힘이 컸던 ‘김사미 반란’의 거점이었다. 김사미는 사람의 이름이라기 보다는 김씨 성을 지닌 사미승이라는 설이 있기도 하다.
운문사가 있는 운문산(雲門山)은 이후로도 지역 농민 반란의 주요 본거지로서 역사에서는 ‘운문적(雲門賊)’으로 불린 적도 있는데, ‘운문적’에 대하여는 [고려사] 명종 23년7월조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고 한다.
"남적(南賊)이 봉기하였다. 그 중 극심한 자는 운문에 거점을 둔 김사미와 초전(밀양)에 거점을 둔 효심이다. 이들은 떠돌아 다니는 자를 불러모아 주현을 공격하였다."
또한 운문사는 13세기 고려시대 일연(一然)선사의[삼국유사]와 인연이 있다고 하는데, [삼국유사]는 이후에 일연선사가 입적한 경북 군위 인각사에서 발간되었지만 실제 집필한 시기는 농민항쟁이 끝나고 몽골간섭기로 접어드는 1277년 72세의 일연선사가 운문사 주지로 임명되어 머물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현재 운문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조선 영조30년인 1754년에 설송(雪松)대사가 중건하였다고 하며, 1958년에 비구니 전문강원이 설립되었다가 1977년 4년제 승가대학으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경내에는 보물 제835호로 지정된 비로전이 있는데, 비로전은 원래 대웅보전이었다가 얼마 전 전각의 이름을 비로전이라 개칭했다고 한다. 운문사에는 대웅보전이 두 개인데 고려 숙종 10년인 1105년, 원응국사에 의해 건립된 후 수차례 중창된 대웅보전은 ‘고해의 바다를 건너는 중생들을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다 준다는 자비스런 배’를 뜻하는 반야용선(般若龍船)으로 그 천장에 떠나려는 배에 악착같이 매달려 있는 ‘악착보살’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 대웅보전 말고도 하나가 더 있는데 만세루 앞 대웅보전이 그것이다. 불가에서는 법당에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시면 대웅보전이라 하고,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시면 대적광전 또는 비로전이라 하며, 아미타불을 모시면 무량수전, 미륵불을 모시면 미륵전으로 법당의 이름을 달리 하는데, 운문사 만세루 앞 대웅보전이 1994년에 신축되면서 원래 대웅보전은 비로전으로 현판을 바꿔달게 되었다고 하는데, 문화재청에서는 대웅보전이 이미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현판을 바꿔달면 안된다고 하여 현재 운문사에는 두 개의 대웅보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2권에서 유홍준 교수는 이와 관련하여 제자와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샌님여, 운문사 대웅보전에 모셔진 불상은 비로자나불 맞지예?”
“그렇지 지권인(知券印)을 하고 잇으니 비로자나불이지.”
“그란데 와 대웅보전이라 캅니까? 대웅보전은 석가모니가 모셔진다고 안했습니까?”
“그러니까 우습지. 조선후기 들어서면 중들이 계율보다 참선을 중시한다고 불가의 율법을 등한시 했어요. 그 바람에 저렇게 잘못된 것이 많아요. 굳이 해석하자면 본래는 석가모니 집인데 비로자나불이 전세 살고 있는 것이라고나 해야 될까보다.”
이 두 개의 대웅보전 외에 운문사에는 작압전(鵲鴨殿), 미륵전, 오백전, 만세루, 관음전, 명부전 등이 있고, 이 중 작압전 안에는 보물 제317호로 지정된 통일신라 말기의 석조여래좌상이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춘 완전한 모습으로 모셔져 있으며 그 좌우에는 보물 제318호인 사천왕석주가 두 개씩 서 있다.
운문사를 찾기 위해 걸어왔고 또 다시 경내를 돌아 바깥 세상으로 나가는 길, 늘씬한 조선 소나무 숲길로 이어진 운문사 입구 역시 장관이다. 오대산 월정사, 능가산 내소사의 전나무 숲길도 유명하지만 운문사의 소나무 길 또한 그 나름의 정취가 있다. 하늘 높이 뻗어 있는 소나무들의 껍질이 많이 손상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일제강점 말기 송진으로 송탄유(松炭油)를 만들어 전쟁용으로 쓰기 위해 송진을 공출하려고 일본 군국주의자들에 의해 벗겨진 흔적이라 하니 가히 우리의 슬픈 현대사까지 품고 있는 곳이 운문사이다.
겨울의 눈덮인 운문사가 운치가 있다고 하니, 운문사는 눈이 오면 찾아갈 만 한 사찰로 꼽을 수 있겠다.
(계속)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유홍준, <창비>,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