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플레인베이글 Sep 01. 2019

수많은 선배 퇴사자들에게 감사를

퇴사 두 달 전의 상념들

도저히 안 될 것 같아 퇴사를 결심했다. 회사에도 이야기를 했고 정확히 10월 31일이면 나는 실업자 혹은 자유인이 된다. 내 나이에 퇴사자가 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44세. 어정쩡한 나이다. 정년퇴직을 하기엔 이른 나이고 뭔가 새로운 시작을 하기엔 늦은 나이다. 그럼에도 퇴사를 결심할 수 있었던 건 동시대의 선배 퇴사자들이 보여준 퇴사 그 후의 인생 덕분이다. 돈은 조금 덜 벌더라도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친구를 만나 조금은 여유롭고 마음 편하게 점심을 먹고, 선택과 집중이 있는 삶. 더 늦기 전에 나도 그렇게 살고 싶었다.



퇴사를 결심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주말 같지 않은 주말, 휴가 같지 않은 휴가 때문이었다. 겨우 그 정도로 퇴사를 결심하다니 인내심도, 책임감도 없는 사람처럼 비칠 수 있겠다. 어쩔 수 없다. 그 세세한 속사정을 설명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오랫동안 내게 주말과 휴가는 평일을, 아니 일상 전체를 또렷한 정신과 온전한 체력으로 보낼 수 있게 하는 바탕 같은 것이었다. 주말에도, 휴가에도 계속 체크해야 할 것이 생기고, 불쑥불쑥 카톡이 날아오는 상황은 나를 지치게 했다. 달리기 후 숨을 고르지 못하고 다시 또 트랙에 나서야 하는 사람처럼 몸에 힘이 없었다. 주말만 기다리는 평일이, 그렇게 평일을 보내야 한다는 사실이 슬펐다. 선택과 집중을 하고 싶은 마음도 컸다. 보고서를 만들고 회의를 하는 그 모든 것이 월급에 포함돼 있다지만 진이 빠지는 그 작업 대신 내가 하고 싶은 것에 온전히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싶었다.  



그렇게 나는 퇴사를 한다. 나처럼 귀가 얇고 줏대가 약한 사람에게 퇴사는 뭉근하고 집요한 스트레스다. 운전을 할 때도, 애들과 놀아줄 때도, 밤에 잠자리에 누울 때도 이제 오롯이 혼자 헤쳐가야 할 일에 대한 생각이 끊이지 않는다. 일희일비를 제대로 겪고 있다. 일의 구조를 만들어 보며 밤에는 불끈 생기가 넘쳤다가 아침이 되면 그게 될까? 그 바닥엔 이미 선수들이 넘치고, 내겐 다른 플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인맥도 없는 것 같은데…하는 생각이 들며 금세 의기소침해진다. 그러다 또 골몰을 하다 보면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고 다시 파이팅 하는 마음이 됐다가 몇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기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아이템이 우수수 떨어지며 우울한 기분이 된다. 나이키가 저스트 두 잇을 캐치프레이즈처럼 외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었다. 이 생각 저 생각 하다 보면 달리지 못할 이유만 떠오르는 것이다.



그럼에도 사표를 던진 데 대해 후회보다는 희망이 꿈틀대는 이유는 선배 퇴사자들이 보여준 제 2의 인생 덕분이다. 최근 한 사진가 그룹을 인터뷰했다. 한참 잘 나가는 창작 그룹인데 그들의 시작이 재미있었다. 한 명이 건축사무소를 다니다 그만두고 서촌에 펍을 낸다. UI 디자인을 하다 역시 그만 둔 또 한 명이 그곳을 드나들다 자연스레 단골이 된다. 그렇게 둘은 함께 해볼까? 하고 의기투합하고 자신들의 브랜드를 만든다. 이제 그곳은 사진업계, 창작업계에서는 이름만 대면 알 만큼 유명한 곳이 되었고, 최근에는 한 명이 추가로 들어오며 더 탄탄한 조직이 되었다.



그들의 이야기는 내게 말하는 듯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된다고. 지금 길에서 내려 오면 모든 것이 끝나는 것 같지만 길은 다시 이어진다고. 끝난 길을 억지로 억지로 힘겹게 이어 붙이는 순간에 다른 기회의 순간들이 훌훌 날아가 버릴 수도 있다고.


20년 가까이 알고 지내는 한 선배는 최근 유리공예가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많은 날들, 특히 회사를 그만두던 시점에 특히 힘들고 피곤해 보였는데 요즘엔 얼굴에 생기가 돈다. 선배가 그랬다. “45세는 마지노선 같은 거다. 더 늦으면 안 된다. 내가 50 넘어 퇴직하지 않았느냐. 아무도 안 찾아주는데 그것이 새삼 또 놀랍고 좌절스러워 새로운 시작을 하는데 그만큼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 퇴사는 끝이 아닌 시작 같았다.



다시 생각한다. 내가 정말 잘 하는 건 뭘까.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건 뭘까. 이 질문에 바로 대답을 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지금 당장 퇴사를 해도 될 터인데 나는 여전히 혼란스럽고 잘 모르겠다. 하지만 아예 절망적이진 않다. 10번 생각하면 그 키워드가 4~5번쯤 떠오른다. 그렇게 아무리 주판을 두드려도 답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저스트 두 잇! 일단 하자!”하는 마음이 든다. 그들처럼 걷던 길에서 내려오는 것, 그것만으로 시작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불투명한 유리처럼 모든 것이 막연하고 흐릿하지만 그 너머 뭔가 좋은 것이 아른거리고 있을 것 같아 긍정적인 기분이 된다.  


예전에만 해도 가장이 퇴사를 한다는 건 무책임하고 무능력하다는 비난을 받을 일이었지만 사회가 변하고 자기의 길을 가는 수많은 선배 퇴사자들의 영향으로 '음 뭔가 안 맞았나보네', '새로운 걸 해보고 싶은가보네' 하는 분위기가 된 듯 하다. 퇴사를 앞두고 어머니보다 장모님이 더 신경 쓰였는데 뜻밖에 "잘했네! 집에서 애들만 잘 키워도 돼지. 그게 돈 버는 거야" 하신다. 감사한 마음...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것이 인생, 이라는 말은 40대가 넘어서야 이런저런 계기와 사건으로 비로소  실감하게 되는 것. 어떻게 살아야 할까 생각이 많은 날들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겸손했어야 해, 이제 말을 아끼련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