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짱짱이 Jul 02. 2023

공무원은 다 같지 않다.

일반직과 비일반직

공무원(公務員, public servant) 공무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공무에 종사하는 사람을 쉽게 우리는 공무원이라고 한다.

나도 공무원이 되기 전에는 관공서에서 일하는 사람은 모두 다 같은 업무 강도와 책임이 있는 줄 알았는데 내부인이 되어 보니 아니었다.


지금 근무하고 있는 부서에는 일반직 공무원과 임기제 공무원, 공무직이 같이 근무하고 다.


일반공무원은 임용시험을 보고 합격하면 발령은 받아 스스로 퇴직하기 전까지 다닐 수 있다.

인사권자의 명령에 따라 부서를 이동하고 업무에 따른 책임을 지고 온갖 행사에 동원, 착출 되어도 불평을 이야기할 수 없다. 그들이 하는 모든 업무는 공무이기 때문이다.

평균 2년마다 부서를 옮겨 다니며 새로운 업무를 주야장천 평균 30년을 해야 한다.


임기제공무원의 경우 종류가 많지만 주로 공무원이 하기 어려운 전문 분야의 경력자를 채용하여 특정 업무만 맡긴다. 일반적으로 5년 계약을 하고 5년 동안 한자리에 그 업무만 한다.

5년이란 시간을 그 업무만 한다고 생각하면 끔찍하지만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라서 어쩔 수 없다.

진상민원인을 한 번 만나면 5년을 봐야 한다.... 본인의 계약기간이 끝날 때까지

임기제공무원의 경우 뽑히는 분들의 성향은 두 가지 부류인 것 같다.

일반직원보다 더 책임감이 있어 본인의 영혼까지 갈아 넣어서 일하는 분과 적당히 있다가 계약기간 채워 다른 곳으로 가는 분들......

내가 만난 분들은 전자..... 영혼을 갈아 넣고 다들 나를 떠났다.


흔히 공무원으로 알고 있는데 공무직(사무직)이 있다.

무기계약직 신분으로 공무원을 보조하는 민간근로자로 근로기준법을 적용받는 분들이다.

솔직히 말하면 기회가 된다면 나는 공무직으로 다시 들어오고 싶다.

단순 업무에 책임 질 일도 없고 해마다 월급은 오른다.

국민연금을 납부하는 점이 단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의 차이가 이제는 없기 때문에 그것은 단점이 될 수 없는 것 같다.

그 분들의 입장에서 단점도 있겠지만 일반직인 내가 보기에 너무 부러운 근로자이다.

얼마 전 공무직 신규 임용 공람을 봤는데 너무 격하게 부러웠다.




 

이전 04화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