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eeza Mar 28. 2024

UXUI 디자인에서의 페르소나(Persona)

당신의 비지니스 페르소나는 누구인가?

페르소나(persona)는 UX/UI 디자인에서 사용자를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입니다. 이는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를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 페르소나는 특정 사용자 그룹을 나타내며, 그들의 성격, 행동, 목표, 요구사항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할 다양한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를 만들 때에는 사용자 리서치,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사용자 그룹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냅니다. 각 페르소나에는 이름, 나이, 직업, 관심사, 특징적인 행동 패턴, 기술 수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기획, 디자인, 테스트 단계에서 사용자 중심의 접근을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는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왜 하는 걸까요?


페르소나의 개념은 1990년대 초에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 분야에서 등장했습니다. 초기에는 앨런 쿠퍼(Alan Cooper)와 그의 동료들이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를 중심에 두는 접근 방식을 개발하면서 페르소나가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페르소나의 개념은 빠르게 확산되어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자인 과정에서 사용자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페로소나를 만드는 프로세스는 어떻게 될까요?


페르소나를 만드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좌) 사진출처: Unsplash의 Christian Buehner / (우) 사진출처: Unsplash의 Michael Dam


1. 사용자 리서치 및 데이터 수집

먼저, 대상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뷰, 설문 조사, 관측,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사용자 그룹 식별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그룹을 식별합니다. 이때 비슷한 특성이나 요구사항을 가진 사용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습니다.


3. 페르소나 정의

각 사용자 그룹에 대한 페르소나를 만듭니다. 페르소나는 가상의 인물로, 그룹을 대표하는 특정한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이름, 나이, 직업, 관심사, 특성,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하여 상세하게 정의합니다.


4. 페르소나 작성

페르소나를 작성하고 문서화합니다. 각 페르소나에는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그들의 환경, 목표, 우려, 욕구 등을 포함하여 가능한 한 상세하게 기술합니다.


5. 페르소나 공유

만들어진 페르소나를 팀 내외에 공유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사용자를 공유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6. 디자인 프로세스에 페르소나 적용

페르소나를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적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페르소나의 요구사항과 우려사항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수립하고,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7. 페르소나 업데이트 (지속적 업데이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이나 욕구가 변할 수 있으므로, 페르소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조정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페르소나를 만들고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가상의 페로소나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페르소나를 만드는 것은 사용자를 이해하는 척도가 되며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도와줍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팀 간의 의사소통을 간소하면서 집중적으로 소비자를 반영한 제품 및 서비스 제공을 도와줍니다.

출처: Ben Diagi / User Personas - 5 free templates

1. 사용자 이해 강화

페르소나를 통해 디자이너와 팀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와 욕구를 더 잘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디자인 결정 지원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디자인 결정을 내릴 때 사용자의 우선순위와 관심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의사소통 간소화

페르소나를 사용하여 팀 간에 사용자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 내외에서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만들어 줍니다.


4. 시장 적응성 강화

페르소나를 활용하여 실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Ben Diagi / User Personas - 5 free templates

만약에 페르소나를 만들지 않는다면?


페르소나가 눈에 보이지 않는 일이기 때문에 생략을 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페르소나는 소비자를 이해하는 척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과정을 놓치게 된다면 소비자 조사를 매번 다시 시행해야하고 업무의 주체에 따라서 페소나는 변경될 가능서잉 커지면서 비지니스 소비자 조사에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즉, 페르소나는 소비자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하나의 카테고리이며, 이 부분은 비지니스가 흔들리지 않는 척도가 되어줄 것입니다. 


1. 사용자 무관심 반영

 사용자의 요구와 욕구를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은 사용자들에게 맞지 않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경쟁력 감소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중요합니다. 페르소나를 만들지 않으면 경쟁사가 사용자를 더 잘 이해하고 고객을 확보하는데 더 성공할 수 있습니다.


3. 디자인 결정의 불확실성

사용자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디자인 결정을 내릴 때 불확실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진행 중에 추가 비용과 지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페르소나를 만들지 않으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결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를 어떻게 만들까? 어떤 양식이 있는 걸까?


페로소나를 구성할 때는 비지니스를 대표할 만한 그룹(그룹 세그먼트)을 찾습니다. 나이대, 직업, 관심사 등등을 좁혀나갑니다. 그리고 비지니스를 사용할 페르소나의 특징과 행동양식을 찾아냅니다.(개인화과정) 이렇게 좁혀나가다 보면 브랜드 페르소나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양식은 가상의 비지니스 페르소나를 구성한 예시입니다.


1. 온라인 쇼핑 앱을 위한 페르소나 -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

이름: 성진

나이: 32세

 직업: 금융업 종사자

 관심사: 편의성, 시간 절약

 특징 및 행동: 바쁜 일정으로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 주로 출근 시간 이후에 온라인 쇼핑을 하며,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제품을 찾고 구매합니다. 할인 이벤트에 민감하며, 빠른 배송 서비스를 선호합니다.


2. 건강 앱을 위한 페르소나 - "운동을 즐기는 건강 마니아"

이름: 지현

나이: 28세

직업: 자유직업 (프리랜서)

관심사: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운동

특징 및 행동: 건강을 중요시 여기며, 운동을 즐기는 건강 마니아. 다양한 운동을 즐기며, 앱을 통해 운동 일지를 기록하고, 식단 및 운동 계획을 관리합니다. 커뮤니티 기능을 활용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운동 팁을 공유하고 소통합니다.


3. 금융 앱을 위한 페르소나 - "재테크를 고려하는 청년"

이름: 세은

나이: 26세

직업: IT 기업 개발자

관심사: 투자, 재테크, 금융 상품

특징 및 행동: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청년. 금융 앱을 통해 주식 시장분석,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등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금융 상품 및 투자 기회를 탐색하고, 금융 지식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금융 뉴스와 자료를 찾아봅니다.


페르소나를 설정했다면, 사용자 저니맵등에 대입하여 상황별 소비자의 문제점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하기위해 소비자를 구체적으로 세우고 진행한다면 여러가지 측면의 니즈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시용자 저니맵  User Journey Map Templates / Geetanjoli Chaliha


이러한 페르소나들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을 대표하며,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 설정으로 흔들리지 않는 방향성 및 서비스 및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



실제 비지니스에서 어떻게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있을까?



설정한 페르소나는 각각의 비지니스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한 사용자 그룹을 대표하며, 해당 비지니스의 마케팅 전략과 제품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비지니스를 대표하는 페르소나를 만들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할 예상 사용자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 그들의 요구와 욕구를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즈니스의 목표와 사용자의 필요 사항을 맞추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성과를 향상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후, 팀 간에 사용자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형성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젝트의 성공을 이끌어내는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amazonads_페르소나 예시 (좌)완구 구매 소비자 인사이트 (우) 소형 주방 가전제품 구매 소비자 인사이트


아래에서는 비지니스에서 생각하는 가상의 페르소나 설정 하여서 설명합니다. 설정된 페르소나는 비지니스의 서비스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아래로 보여드리는 예시는 가상의 페소나이며 브랜드에서 만들어진 페르소나는 아닙니다. 기업의 페르소나는 비공개일 경우가 많아 브랜드별 가상 페르소나를 작성하였으니 이점 참고 바랍니다. 


1. 아마존 (Amazon)

    - 페르소나: "바쁜 직장인 마이클"

이름: 마이클

나이: 35세

직업: 금융 업계 종사자

관심사: 시간 절약, 편의성

특징 및 행동: 바쁜 직장인으로 시간이 부족한 마이클은 온라인 쇼핑을 선호합니다. 아마존을 통해 간편하게 제품을 찾고, 빠른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상품을 빠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

- 제품 및 서비스 방향성 >> 당장 필요한 제품을 더 쉽고 빠르게 배송받는다 / 아마존 1시간 배송



2. 스타벅스 (Starbucks)

   - 페르소나: "커피 마니아 리사"

이름: 리사

나이: 28세

직업: 마케팅 전문가

관심사: 커피, 커피 문화

특징 및 행동: 커피를 사랑하는 리사는 스타벅스를 자주 이용합니다. 아침에는 휴대폰 앱을 통해 커피를 주문하고, 오후에는 스타벅스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업무를 보완합니다.

- 제품 및 서비스 방향성 >> 방문하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 바쁜 시간대에 빠르고 편리하게 서비스 제공 / 업무와 긴밀한 공간을 제공 (아답터 / 넓은 책상 등등) 


3. 애플 (Apple)

   - 페르소나: "기술 열정가 알렉스"

이름: 알렉스

나이: 30세

 직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관심사: 최신 기술, 디자인

특징 및 행동: 기술에 열정을 가진 알렉스는 애플 제품을 사랑합니다. 최신 아이폰, 맥북 등의 제품을 구매하고, 앱 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앱을 다운로드하여 활용합니다.

- 제품 및 서비스  방향성 >> 애플 기기간의 특별한 커넥팅 / 애플 고객만의 서비스 차별화 전략


이처럼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소비자를 페르소나로 설정하여 집중적인 관심과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업과의 긴밀한 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척도이며 급변하게 변화되는 트레드와 함께 기업이 방향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페르소나에 궁금하시고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Wix블로그 / 조윤영 / 페르소나(persona) 뜻과 UX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

네이버포스트 / 트렌드 DA / 스타벅스 성공은 까다로운 고객 덕분?

Amzonads/구매자 페르소나란 무엇인가요?


[템플릿 링크 공유]

 Figma /Daniel Tseng / Some Personas 

 Ben Diagi / User Personas - 5 free templates 


[글쓴이 소개]


현재 기획자이자 문제해결 디자이너입니다. 문제를 읽고 방향을 잡고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눈으로 보이는 것들을 구현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좋은 기회로 UXUI 인터렉션 디자인 포지션으로 독일에서 일한 경력과 대학 및 기업을 대상으로 UX/ UI을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알고 있는 것들을 저만의 관점으로 풀어 기록하고 공유하려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UXUI 디자인 리서치_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