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방진 닥터스 쇼츠 0302]
쥐 중에는 아구티 유전자를 가진 아구티 생쥐라는 종류가 있습니다
이 생쥐들은 원래부터 몸집이 크고
털 색깔이 노랗고
암과 당뇨 같은 질환에 쉽게 걸리는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구티 생쥐가 임신했을 때
어미 생쥐에게 일반적인 먹이를 먹이면
대부분의 새끼가 아구티 유전자를 가진 노란색 살찐 생쥐로 태어납니다
그런데 같은 어미 생쥐에게
철분과 엽산 같은 영양분이 강화된 먹이를 주면
메틸기가 붙어서 아구티 유전자가 꺼진 새끼를 낳게 됩니다
이 새끼들은
털 색이 갈색이고 몸집이 작으며
암과 당뇨에 잘 걸리지 않는 특징을 보입니다
즉 단순히 유전자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미가 무엇을 먹는지에 따라서도
새끼의 유전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 유전학 결정론에 따르면
유전자는 정해진 대로 작용하며
운명처럼 그대로 살아간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이 실험을 통해
그렇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내가 어떻게 생활하고 무엇을 먹고 어떤 환경에서 사는지에 따라
암에 걸릴 확률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vmrMk3zbf78
네, 아구티 생쥐 실험은 후성유전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연구입니다. 이 실험은 유전자뿐만 아니라 환경 요인, 특히 모체의 영양 상태가 자손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구티 생쥐 실험의 핵심
1. 아구티 유전자를 가진 생쥐의 특징
- 몸집이 크고 털 색깔이 노랑
- 암, 당뇨 등 질병에 취약
2. 일반 먹이를 먹인 경우
- 대부분 노란색, 비만, 질병에 취약한 생쥐 출산
3. 영양 강화 먹이(철분, 엽산 등)를 먹인 경우
- 갈색, 작은 체구, 질병에 강한 생쥐 출산
## 실험의 의의
- 유전자 결정론의 한계 입증
- 환경 요인, 특히 영양의 중요성 강조
- 후성유전학적 변화의 가능성 제시
이 실험은 DNA 메틸화라는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통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4]. 모체의 영양 상태가 자손의 DNA 메틸화 패턴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유전자 발현과 표현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9].
이는 우리의 생활 방식, 특히 식습관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건강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즉, 유전자가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선택과 행동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11][12].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생활 습관 개선과 예방 의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임신 중 모체의 영양 상태가 자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임신 준비 단계부터 적절한 영양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13].
결론적으로, 아구티 생쥐 실험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따라 질병 발생 위험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중요한 연구입니다. 이는 개인의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에 있어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43512/
[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1781/
[3] https://pubmed.ncbi.nlm.nih.gov/9278579/
[4] https://pubmed.ncbi.nlm.nih.gov/9707167/
[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822875/
[6]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genetics/articles/10.3389/fgene.2013.00049/full
[7] https://consensus.app/questions/environmental-lifestyle-factors-influence-gene/
[8]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327425/
[9] https://www.mdpi.com/2072-6643/7/11/5467
[10]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774448/
[11]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752894/
[12] https://consensus.app/questions/epigenetics-influence-health-outcomes-lifestyle-factors/
[13]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28896-3
[14] https://pubmed.ncbi.nlm.nih.gov/29043603/
[1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1780/
[16]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2217/epi.14.58
[17] http://www.nature.com/scitable/topicpage/obesity-epigenetics-and-gene-regulation-927
[18] https://www.pnas.org/doi/10.1073/pnas.92.11.4728
[19] https://www.mdpi.com/1422-0067/25/22/12144
[20] https://www.nature.com/articles/ng0994-59
[21] https://journals.physiology.org/doi/full/10.1152/physiolgenomics.1999.1.3.151
[22]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pdf/10.1002/j.1550-8528.1999.tb00440.x
[23] https://www.tandfonline.com/doi/pdf/10.2217/epi.14.58
[24]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j.1550-8528.1999.tb00440.x
[25] https://community.gep.wustl.edu/repository/external_resources/Dolinoy_Agouti_Mouse.pdf
[2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545749/
[27]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758803/
[28] https://www.nature.com/articles/news030728-12
[30]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96/fasebj.12.11.949
[31]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genetics/articles/10.3389/fgene.2020.00903/full
[3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119695/
[33] https://www.linkedin.com/pulse/epigenetics-autoimmunity-how-lifestyle-choices-impact-loscalzo
[3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480875/
[35] https://www.mdpi.com/1467-3045/46/5/265
[36] https://www.cdc.gov/genomics-and-health/epigenetics/index.html
[37] https://www.nature.com/articles/s42003-021-02316-6
[38] https://www.oxjournal.org/maternity-epigenetic-nutrition-planning/
[39] https://www.nature.com/articles/s42003-022-03521-7
[40] https://academic.oup.com/ilarjournal/article/53/3-4/289/654435
[41]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2Fjournal.pone.0090335
[42] http://www.nature.com/scitable/topicpage/environmental-influences-on-gene-expression-536
[43] https://www.pnas.org/doi/10.1073/pnas.94.3.919
[44] https://diabetesjournals.org/diabetes/article/52/12/2914/11106/Agouti-Expression-in-Human-Adipose
[45] https://pubmed.ncbi.nlm.nih.gov/10509609/
[46] https://www.pnas.org/doi/10.1073/pnas.96.15.8579
[47] https://www.pnas.org/doi/abs/10.1073/pnas.1220230110?doi=10.1073%2Fpnas.1220230110
[48] https://www.victorchang.edu.au/news/pregnancy-diet-research
[49] https://www.pnas.org/doi/10.1073/pnas.1220230110
네, 엄마의 식습관이 아이의 건강과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구티 생쥐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모체 영양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 유전자 발현 조절
- 엄마의 식단이 아기의 DNA 메틸화에 영향
- 특정 유전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가능
2. 질병 위험 결정
- 적절한 영양: 암, 당뇨 등 질병 위험 감소
- 부적절한 영양: 만성질환 위험 증가
3. 체형과 대사 영향
- 균형 잡힌 식단: 건강한 체형, 정상 대사 촉진
- 불균형 식단: 비만, 대사 이상 위험 증가
## 임신 중 중요한 영양소
1. 엽산
- 신경관 결손 예방
- DNA 합성과 세포 분열에 필수
2. 철분
- 태아 뇌 발달에 중요
- 빈혈 예방
3. 오메가-3 지방산
- 뇌와 눈 발달에 필수
- 조산 위험 감소
4. 단백질
- 태아 조직 성장에 필요
- 면역 체계 발달 지원
## 임신 전후 건강한 식습관 팁
1. 다양한 채소와 과일 섭취
2. 통곡물 위주의 탄수화물 선택
3. 양질의 단백질 섭취 (생선, 두부, 살코기 등)
4. 과도한 가공식품, 설탕, 포화지방 피하기
5. 충분한 수분 섭취
임신 중 엄마의 식습관은 단순히 태아의 영양 공급을 넘어 아이의 유전자 발현과 미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임신을 계획 중이거나 임신 중인 여성들은 균형 잡힌 영양 섭취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임신 기간에만 국한되지 않고, 임신 전부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지식은 모든 성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어, 자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의 건강을 위해서도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닥터스 참여하기 : https://han.gl/gt1SJ
#유전자 #아구티생쥐 #후성유전학 #환경과유전자 #영양과유전자 #유전학결정론 #유전자조절 #암예방 #생활습관영향 #메틸화 #유전자발현 #영양학 #건강한식습관 #질병예방 #유전과환경 #세포건강 #후천적영향 #질병리스크 #염색체변화 #건강한생활습관 #유전연구 #세로토닌영향 #영양섭취중요성 #맞춤건강 #유전질환예방 #과학과건강 #장수비결 #환경요인 #몸과유전자 #건강관리
쥐가 있는데 아구티 유전자라는 걸 가진 아구티 생쥐라는 게 있습니다 얘네들은 원래부터 몸집이 크고 털 색깔이 노랗고 암이랑 당뇨, 기타 질환들에 잘 걸리는 유전자를 가진 생쥐예요 아구티 생쥐가 임신을 했을 때 엄마 생쥐한테 일반적인 먹이를 먹이면 대부분의 생쥐가 아구티 유전자를 가진 노란색 살찐 생쥐로 태어납니다 그런데 이 아구티 유전자를 가진 어미 생쥐한테 철분과 엽산 같은 영양분이 강화된 먹이를 먹이면 메틸기가 붙어서 아구티 유전자가 꺼진 생쥐를 낳게 됩니다 그 생쥐들은 색깔이 갈색이고 진하고 작고 암과 당뇨에 잘 걸리지 않는 생쥐들이 태어나요 유전자만으로 되는 게 아니라 엄마가 뭘 먹는지 조차도 아이한테 유전이 된다는 거죠 예전에 유전학 결정론에 따르면 유전자가 결정된 대로 그대로 살아간다는 게 정론이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게 증명된 큰 실험이었죠 내가 어떻게 사는지에 따라서 암에 걸릴지 안 걸릴지가 결정이 된다는 거를 알아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