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험을전하는남자 Dec 15. 2020

드라마영상은 어떻게 시청자를 이야기에 몰입시키는가?

영상 연출기법은 시청자들에게 이야기를 더 효과적으로  전한다.


우리는 매일 이야기를 보고 느끼고 즐긴다. 온오프라인 서점에 가면 수많은 이야기를 찾아보고 구입할 수 있다.

누군가 새롭게 쓴 이야기도 있다. 오랜 시간을 거쳐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진 이야기도 있다.

오늘도 어디에서 이야기가 새롭게 나온다. 여전히 우리는 이야기를 갈망한다. 입으로 전해지던 이야기는 정보와 광학기술 발달로  영상을 통해 더 사실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야기를 접하는 매체도 방송 송출에서 인터넷 스트리밍 형태로 바뀌면서 우리는 원하는 언제든지 이야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영상’이라는 이야기를 전하는 새로운 형태가 생기면서, 더욱 멋지게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영상을 설계하는 일이 중요해졌다. 좋은 영상 디자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무성영화에서 특수효과로 가득한 SF영화까지 우리는 지속적으로 영상디자인과 기술을 발전시켜왔고, 효과적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기술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이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에서 시작한다.


'3분의 1' 법칙은 가장 안정감있는 영상촬영방법이다.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함에 있어 가장 유명한 법칙은 ‘3분 1 법칙’이다. 화면을 상하좌우로 3등 분해 나누면 라인이 만나는 4곳의 포인트가 생긴다. 그 포인트를 중심으로 맞추어 피사체를 배치하면 관객들이 그 정보를 놓치지 않는 이론이다. 시선도 자연스럽게 피사체에 고정된다. 이것이 소위 '3분 1법칙'이다.

3분1법칙은 영상에 안정감을 넣기위한 주춧돌이라고 보는게 좀 더 좋다. 출처: 티빙,넷플릭스.

‘황금비율로 찍는다’.,‘사람 얼굴을 화면의 1/3로 놓고 찍으면 실패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바로 '3분 1법칙'이기도 하다. '3분 1법칙’은 소위 ‘만능 구도’라고 불리지만 만능은 아니다.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다 보면 평범한 화면이 나올 수 있다.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게 좋다. 뿐만 아니라 캐릭터 포즈, 카메라 전경, 조명, 이야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모두 따져야 한다.


가이드라인을 사용해 영상정보를 명확하게 전한다.


가이드라인은 피사체 형태와 라인을 이용해 시선을 집중시키는 방식이다. 전통 회화부터 콘셉트 아트까지 오래전부터 쓰이던 방식이다. 가이드라인은 화면 안에서 ‘가로, 세로, 대각선, 소실점'을 이용해 시청자들의 시선을 붙잡고 이야기를 관객에게 전달한다.

라이프 2화에서의 강당 장면. 이 장면에서는 이야기정보가 많기에 소실점에 중심을 두고 촬영해 시청자들이 화면 전환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했다. 출처: 넷플릭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하는 방식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좋은 방식은 소실점을 중심으로 가운데 초점을 일관적으로 유지하는 형태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뒷모습, 전경 등을 세세하게 묘사해도 ‘소실점’이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청자들이 정보를 놓치지 않고 이야기에 집중할 수 있다. 시선이 소실점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사체가 아무리 작아도 시청자들이 지속해서 영상을 볼 수 있다.

화살, 손, 화이트 끝 등 사물을 이용해 가이드라인을 만들 수도 있다. 출처: 넷플릭스.

화면 속 피사체를 이용해서 라인을 만들어 시청자들이 이야기에 집중하게 만들 수도 있다. 특히 구조물, 캐릭터의 구조물 사물 간의 배치, 화면 속 물건을 활용할 수 있다. '선'같은 조명 혹은 포인트를 주기 위해 조명 색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백일의 낭군님'은 화살에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시청자들의 초점이 흩어지지 않게 만들었다. 라이프에서는 '손'을 이용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콜'에서는 화이트 촉을 초점을 두어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은 '블레이드 러너 2049'에서 가로선과 대칭구조를 이용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촬영했다. 자연스럽고 명료한 가이드라인 덕분에 시청자들은 이야기 정보를 놓치지 않고 파악할 수 있다. 보통 좋은 촬영을 선보이는 영화와 드라마는 대부분 샷 라인이 잘 정리되어있다. 사람들 시선을 이용해 라인을 만들 수도 있다. 사람들 시선을 이용해 라인을 만드는 대표적인 사례는 사람들 시선이 ‘특정 인물’을 바라보는 장면이다. 이 경우 캐릭터가 구석에 있어도 시선 때문에 어디를 봐야 할지 명료해질 뿐만 아니라 시선이 분산되는 일도 피할 수 있다.


프레임 인 프레임으로 영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전한다.

‘프레임 인 프레임’은 구조물을 이용해 화면 안에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 출처: 넷플릭스.

‘프레임 인 프레임’은 구조물을 이용해 화면 안에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화면 안에서 '구조물'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시청자의 초점이 화면 구조물을 향하게 된다. 구조 물안에 구조물을 넣으면 시청자들이 ‘저건 무조건 봐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순간 화면 안에서 정보는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정보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다만 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프레임 자체가 아름답거나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확실해야 한다. 


색상, 명도, 채도 대비를 활용해 영상에 정서를 넣는다.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콜'은 검은색을 건조하게 묘사에 영화 전체 질감과 긴장감을 만든다. 출처: 넷플릭스.

여러 글에서 꾸준히 강조한 빛, 어두움을 활용해 공간감을 만드는 작업들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방식은 디자인, 카메라 구도, 조명이라는 세 가지가 모두 합친 형태다. 여러 글에서 자주 언급하며 설명한 이유는 이 방식 자체가 다방면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방식과는 다르게 영상 ‘한 장면’에서부터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분위기'로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그 사용 방식이 다양하다. 

트와이스의 뮤직비디오에 빛에 따라서 노래와 퍼포먼스 그리고 트와이스의 룩이 달라진다. 출처: JYP 유튜브.

예를 들어, 가령 실루엣을 강조하는 화면은 그 자제로 영화의 스토리텔링에 꼭 필요한 분위기를 이끌어낸다. 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에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뮤직비디오 같은 경우 기본적으로 음악이 시청자들에게 정보를 전한다. 하지만 영화(드라마)와 다르게 뮤직비디오는 '이야기'가 담기기 힘들다. 또한 퍼포먼스만으로는 정보를 오랜 시간 끌고 가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런 경우 색상, 명도, 빛을 통해 대비를 지속적으로 줌으로써 뮤직비디오 내 정보흐름을 일괄적으로 끌고 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빛을 이용해 실루엣을 살리기도 하며 또한 색상을 강하게 대비시켜 화면을 강조하기도 한다.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콜'은 검은색을 건조하게 묘사에 영화 전체 질감과 긴장감을 만들었다. 레버넌트는 롱테이크와 다큐멘터리 같은 색상을 더해 설한을 입체적으로 담았다. 티비엔 '낮과 밤'에서 제이미 레이튼(이청아)이 병원으로 실려가는 장면에서는 녹색상을 사용해 그녀가 처한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전한다. 이처럼 영상 콘텐츠에서 색상, 명도, 채도 대비를 활용은 영상 촬영보다 더 많은 자유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연출로 이어진다. 


정중앙 구도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야기 정보를 전한다.

정중앙 구도는 그 위치만으로 강렬한 표현이다.

정중앙 구도는 그 위치만으로 강렬한 표현이다. 정중앙 구도는 인물을 강조하기에 극에서 인물정보를 전달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화면에서 존재감을 강조해야 하고 이를 통해 이야기 정보를 확실하게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 정중앙 구도는 매우 효과적이다. 무엇보다 시청자들의 시선을 중앙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컷 전환이 빨라도 이야기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할 수 있다. 

정중앙 구도는 그 자체로 화면에 대칭을 주기에 완벽한 밸런스와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출처: 넷플릭스


게다가 정중앙 구도는 그 자체로 화면에 대칭을 주기에 완벽한 밸런스를 만들 수 있다.  아이돌 ‘센터’를 생각하면 편할지도 모르겠다. 이는 영화뿐만 아니라, 아이돌 퍼포먼스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를 통해 정중앙에서만 느낄 수 있는 미감을 전할 수 있다. 세상에 진부하거나, 고리타분한 구도는 없다. 그걸 어떻게 사용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180도 법칙을 활용해 영상정보는 명료하게 설계한다.


180도 법칙은 스토리가 있는 영상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광고, 뮤직비디오, 실험 영상에서는 180도 법칙을 무시해도 괜찮다. 그보다는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에서도 보다 유용하다. 180도 법칙은 영상에서 공간정보는 헷갈리지 않게 도와준다. 인물이 두 명일 경우, 인물과 목표물이 확실할 때 둘 사이에 가상 라인이 생긴다. 이때 카메라가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라인이 어느 공간을 이용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이 상황에서 굳이 라인을 이상하게 변경해서 관객들이 헷갈리게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트와이스의 뮤직비디오 같은 경우, 180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시선은 중앙에 놓는다. 이 같은 영상 설계로 인해 시청자들은 빠른 퍼포먼스와 영상 전환을 피로 감 없이 볼 수

트와이스의 뮤직비디오 같은 경우, 180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시선은 중앙에 놓는다. 트와이스 뮤직비디오에서 익스트림 와이드샷에서 클로즈업샷. 이를 기반을 한 구성한 액션 컷과 콘텐츠 컷 매우 빠르게 순환하지만 영상 자체에 소실점은 언제나 중앙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트와이스를 놓칠 수 없다. 또한 소실점과 더불어 일관적으로 유지하는 180도는 영상 구조를 탄탄하게 만든다. 이 때문에 트와이스 각 멤버들의 퍼포먼스 정보를 일관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전할 수 있다.

180도 법칙은 대화하는 장면에서 안정감을 부여하고, 시청자들에게 더욱 명확한 이야기 정보를 건넨다. 출처: '경이로운 소문' in넷플릭스.

카메라를 움직여서 반대쪽 라인으로도 넘어가기도 한다. 배우들이 걸어 다니면서 이야기 혹은 발표하는 경우, 배우들 움직임만으로 라인이 계속 바뀐다. 이때 관객들이 배우들 라인이 바뀌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는 경우 롱테이크 혹은 관객들이 ‘아 지금 영상에서 인물이 움직이고 있구나’라는 걸 인식하는 경우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현란하게 움직이는듯하지만 컷 사이에 정확하게 스크린 방향을 춘다. 카메라가 움직임에도 화면 라인이 충분히 뒷받침되는 경우는 매우 기본기가 탄탄한 영상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의 서달미의 해커톤 발표 영상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중앙에 소실점을 놓은 후 최대한 바꾸지 않는다. 이 덕분에 샷 변화에 상관없이 서달미가 발표하는 삼산 텍의 정보는 시청자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180도 법칙은 보다 단단한 영상 설계를 위한 주춧돌 같은 역할을 한다. 출처: '스타트업'in 넷플릭스.

스타트업은 드라마이기에 이 장면을 보다 더 역동적으로 담아야 한다. 애플, 삼성 같은 기업들의 제품 발표 장면이 계속 나오면 안 된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제작팀은 서달미(배수지)가 걸어 다니면서 발표하는 장면을 카메라로 180도를 유지한 채로 가이드라인이 계속 바뀐다. 이 장면에서 서달미(배수지)는 움직이는 듯하지만 사실은 카메라만 움직인다. 180도 법칙에서 '선'을 지키면서 촬영하면 충분히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긴장감은 시청자들에게 보다 명료한 이야기 정보를 정한다. 하지만 중요한 건 이걸 어떻게 창의적인 장면으로 구성할지가 관건이다.


정보와 이야기는 더 많아졌음에도, 우리는 여전히 양질의 이야기를 갈망한다. 이를 위해서 오늘도 수많은 연출자, 촬영감독, 배우, 미술, 조명팀 및 모든 스텝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영상 컷을 설계하고 이를 위해 어떤 샷이 좋을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한다. 우리가 보는 건 비록 이러한 고민이 만들어낸 결과물이지만, 우리는 종종 이 결과물은 너무 날카롭게 평가한다. 물론 날카로운 평가도 좋지만, 그 날카로움이 매서운 칼날보다 성장을 위한 영양소가 되기 위해서는 시청자들도 영상 컷 디자인을 알고 이를 통해 건실한 평가를  필요가 있다


이전 20화 좋은 컷 디자인은 이야기 몰입을 돕는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