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5 댓글 3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진로고민,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

정답은 없지만

by 윤 Yoonher Jul 19. 2022
아래로


1년 반 전, 용기내어 유튜브를 시작했다. '일'과 '삶'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으로 올리고 있다. 여전히 어렵지만


간간히 업로드한 14개 중 가장 높은 조회수의 영상은 <진로고민,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 나이불문하고 '일'에 대한 고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은 인생을 사는 동안 계속 되는 것 같다.


대학교만 입학하면 끝날 것 같던 삶에 대한 고민은 입학하면서 리셋, 다시 시작된다. 수능과 내신에 맞춰 어쩔 수 없이 전공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졸업하고 수십 개의 이력서를 넣고 어쩌다 취업을 한 회사에서 주어진 일을 하면서, 그제서야 이건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혹은 1-2년 쯤 일 한 후에야 본격적인 진로고민이 시작되기도 한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내가 대체 하고 싶은 일은 뭐지?'


'나는 무얼 잘하는 사람일까?'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어.'


.....


'나는 누구지?' 까지 이어지는 질문들은


비단, 20, 30대의 고민만은 아닌 것 같다.


안정된 회사 또는 일을 줄곧 하던 40,50대의 경우에는 더 하다. 여러 케이스가 있겠지만 일을 열심히 했건 그렇지 않건, 직장생활 하면서 앞만 보고 달려온 경우가 대부분 그렇다.


또는, 그저 자신을 둘러싼 테두리에서 한 번도 벗어날 생각을 해 본적이 없는 경우. 이런저런 도전을 해봤지만 정체되어 있다고 느끼는 경우 등등. 혹은 문제 없이 나름 주어진대로 잘 살아왔지만, 어딘지 모르게 지금의 삶이 만족스럽지 않을 때 고민은 시작된다.


'이대로 괜찮은건가?'




치열하게 고민 한다는 건 좋은 일 이라고 생각한다. 시도와 실행을 겸한 고민은 자신을 성장시킨다. '나'에 대한 고민은 앞으로 삶의 방향을 점검하고 주변을 돌아보게 되고, 스스로를 다시 믿고 나갈 수 있게 된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애초에 우리 삶에는 정답이 없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어딘지 존재할 것만 같은 정답을 찾아 헤매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 나 역시 그랬던 시간들이 길었다. 각자의 인생 스토리는 각기 다른 도전을 통해 만들어 질 뿐, 타인의 삶도 수 많은 참고서 중 하나에 불과한데 말이다.


'좋아하는 일'이란, 직업을 찾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형태'의 일을 할 때 행복감을 느끼는지 동사를 찾는 일이다. 이를테면, 아이디어가 실현 되었을 때 기뻤다면 기획 분야의 일이,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것이 벅찼던 기억이 있다면 큰 범주로는 교육 분야의 일이 좋아하는 일 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일을 해 보는 것. 그 일에 최선을 다 하면서 자신을 업그레이드 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에 두 발을 붙이고 이상적인 자신을 찾아가는 일은 누군가에는 성가시고 귀찮은 일 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인생을 타인에게 맡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분명 흥미로운 일 아닐까. 무엇이든, 능동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만들어 가는 사람이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20대, 30대 일하며 느낀점 (싸이월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