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행운동 무화과 Oct 30. 2022

진정성 있는 리더십에 대하여

'잭 웰치의 마지막 강의'를 읽고

‘진실과 신뢰’에 대한 강조

최근에 면접을 보면서 나도 다시금 조직 문화에 대해 생각을 정리할 기회가 있었는데, 책 내용이 내가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비슷해서 놀랐다. 결국 팀원들을 대하는 데 있어 진실되게 다가가야 하며, 신뢰 관계가 형성될 때 다시 조직 운영을 위한 진실을 얻을 수 있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는 것.


마키아벨리 군주론이 이런 것일까 싶게 팀원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가기 위해 거짓말을 서슴치 않고 하는 리더십을 보여주는 사람들도 있다. 결국 스타일의 문제긴 하겠지만, 한편으로는 나 역시도 내 방식에 대한 확신이 없었던 것 같다. 때문에 이 책을 읽고 그나마 위안을 받을 수 있었던 점은, 진실을 말하고 신뢰 관계를 공고히 하면서도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도 있겠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이다. 직면하기 어려운 진실이더라도 털어 놓아야 한다는 것, 팀원들에 대한 험담을 절대 금물이라는 것, 솔직함이 기반이 될 때 의미 있는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 얼핏 들으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기본도 제대로 안 지켜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렇기에 이런 류의 리더십의 사례가 더 값지게 느껴졌다.


이전에 밑미에서 자신의 취약점도 드러낼 수 있는 문화를 지향한다고 하는 것을 보고 감동 받은 적이 있었다. 팀 컬쳐로까지 확실하게 이렇게 말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사실 사회 생활의 측면에서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했다. 자칫 취약점을 드러내는 것이 나의 무능함을 드러내는 것이 될 수도 있고, 그런 약점은 또 다른 누군가가 자신의 약점을 가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격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돌이켜 보면 내가 있던 곳이 유독 이런 공격성을 지니고 있었기에, 약점을 드러내는 것에 극도로 방어적인 태도를 더욱 갖게 된 것 같기도 하다. 때문에 자신의 생살을 드러내었을 때, 그것을 할퀴는 것이 아니라 어루만져줄 수 있는 곳의 존재 자체가 유토피아처럼 들릴 정도였다.


그저 부러웠다. 개인의 심리적 안정의 측면을 넘어 성과의 측면에서도, 팀 단에서 애초에 이런 문화를 추구하고 정말 서로에게 솔직해질 수 있다면, 이를 바탕으로 충분히 더 나은 성과를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었다. 그 안의 개인들도 자신의 약점을 숨기기 위해 쓸데없는 힘을 낭비하지 않고,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살리는 식으로 일할 수 있다면 그게 더 시너지가 잘 나오는 환경일 수 있을 테니까. 




결국 돌고 돌다 보면 모든 것은 심플해지는 것 같다.

유능한 팀원들을 뽑고, 그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그로부터 계속해서 성장해야 한다는 것.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곳이란 결국 가장 기초적으로는 성과에 대한 보상이 어떠한 형태로든 충분히 주어지고, 창의성을 발휘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계속해서 마련되는 곳이라는 것.

그리고 동시에 조직 역시 그런 팀을 만들기 위해 개인의 성장보다도 빠르게 성장하여 더 챌린징하게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일들을 전달하고, 그에 맞는 보상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런 환경을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구축하는 것은, 이러한 이론적 지식을 알고 있다는 것과는 완전히 별개의 문제일 테지만, 그럼에도 역시 나보다 몇십 년 앞서 살면서, 수많은 비즈니스 케이스를 직접 보고 성공시켜 나간 사람으로서 전달해주는 명쾌한 해결책들 덕에 마음이 상쾌해진다.

이전 11화 어떻게 살 것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