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는 지금 엄마가 생전에 즐겨 부르던 노래 '목포의 눈물'을 들으며 흥얼거리고 있어.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익힌 흘러간 노래 중 아마 첫 노래였을 거야. 왜냐면 엄마가 꽤꼬리같은 목소리로 잘 부르는 노래였거든. 엄마 혼자서도 불렀고 동네 사람들과 노래하며 놀 때도 부르던 애창곡이었지. 내가 꼬마였을 때 특히 시골 고향에서 라디오도 TV도 없던 시절에 엄마는 이난영이고 이미자였지.
아~~ 목포의 눈물, 엄마의 애창곡이 다르게 들려.
엄마가 떠나고 나니 엄마가 좋아하던 노래를 다시 부르게 되네. 이 노래를 지금 와서 이렇게 자세히 들여다보게 될 줄 누가 알았겠어. 엄마가 애절한 목소리로 부르던 목포의 눈물을 엄마 목소리로 다시 듣고 싶어. 울 엄마 목소리는 이난영 저리 가라, 이미자라고들 했지. 정말이지 나이를 먹어도 엄마 목소리는 고왔어. 난 음악을 즐기는 건 받았는데 엄마의 고운 목소리는 물려받지 못한 거 같지?
엄마, 밀양 사돈도 엄마처럼 고운 목소리인 거 기억해?13년 전 큰놈 대학 입학 때 두 엄마가 우리집에 와서 같이 노래했던 것도 기억하지? 그때 내가 얼마나 놀랐는지 몰라. 어떻게 양가 엄마들이 저렇게나 똑같이 노래를 잘할 수 있지? 둘이 마치 가수인양 노래를 불렀더랬지. 다시 한번 만나서 노래하자 했건만 엄마는 떠나 버렸어.
밀양 엄마랑 지난 주말에 목포의 눈물을 불렀어.
엄마가 떠나고 없어서일까, 시엄마가 조금 더 엄마처럼 느껴졌어. '시'엄마로서가 아니라 내게 남은 엄마로 바라보게 되더라? 엄마랑 함께 못한 시간을 시엄마와 조금 더 할 수 있다는 게 고맙게 느껴지는 거 있지.
토요일 저녁을 밀양 엄마와 정서방 그리고 나 셋이서 먹고 포도주 한잔씩 마셨어. 시엄마 노래 좋아하니까 같이 노래하면 무지 좋아하거든. 시엄마 먼저 몇 곡 부르는데 내가 모르는 노래였어. 내가 받아서 엄마의 애창곡 목포의 눈물을 불렀지. 결국 엄마, 이 딸은 엄마 생각나서 눈물을 흘려버렸으니 진짜 목포의 눈물이었네.
엄마가 떠나고 나서야 엄마의 애창곡 목포의 눈물이 다시 궁금해졌어.
왜 인생은 이다지도 뒷북일까 엄마. 알고 보면 '목포의 눈물'은 나라 잃은 설움을 은유하는 노래인데, 나는 이제야 다시 확인하고 있어. 1935년에 나왔으니 엄마랑 생년이 같아. 조선총독부의 검열로 가사를 바꿔야 했을 정도로 저항적인 노랫말이었대. 그시대목포란 델 생각해 봐. 군산항과 더불어 일제가 쌀을 수탈해 강제반출하던 항구였잖아. 눈물과 한과 울분의 이름이었지. 그걸 님을 그리는 여인의 눈물로 은유해서 불러댄 거였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나는 왜 그리도 쉽게 판단하고 단정해 버렸을까. 옛 노래는 여자를 우는 존재로만 그린다 싶어 싫어했던 거야. 엄마를 화나게 하고 눈물 흘리게 하는 아버지가 미웠던 것처럼, 여자를 울게 하는 노래가 뭐 좋다고 부르냐 이거였지. 좀 더 나이를 먹고 인생의 희로애락을 조금씩 더 알아가며 옛 노래와 유행가 가사가 조금 가까이 들어오더라. 삶의 바닥이 보이고 그 이면도 알게 됐지.
목포의 눈물을 여자의 눈물로만, 피상적이고 문자적으로만 이해했던 셈이지. 그 노랫말에 담긴 시대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무시하고 어찌 목포의 눈물을 노래할 수 있겠어. 마찬가지로 엄마의 삶에 대해서도 그랬던 거 같아. 엄마가 화를 내고 아빠와 악다구니로 다툴 수밖에 없는 배경이 있었지. 그 정황과 맥락을 알고자 하지 않을 때, 엄마는 불화만 일으키는 여자로 보일 뿐이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