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친정과 시댁

다른 삶

by 별새꽃 Dec 15. 2024
아래로


팥죽과  전복


육지와 바다

땅과 물

참 다르다.

결혼한 여자라면 친정이 있고

시댁이 있다.

팥죽은 내게 친정이다.

전복은 시댁이다.

팥죽은 아버지가 친정엄마에게 보여준 사랑방식

전복은 시어머니가 내게 보여준 사랑방식

가끔 사랑이 그리우면 난 팥죽을 쑨다.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치면

엄마에 대한 미안함이 사무치면

팥죽 한 그릇에 담긴

그리움과 사랑을

번거로움을 버리고

한 그릇의 팥죽에

정성을 담는다.

한 그릇에 다 담을 수는 없지만

내 마음 가득한 그리움과 사랑을 넘치도록 담아낸다.

목까지 차오르면 난 참지 못하고

그저 솥단지 팥죽을 눌어붙지 않도록

젖고 또 젖는다.

팥은 아버지에 대한 사랑이라 하고

팥에 넣은 쌀알은 엄마에 대한 사랑이라 하고

소금은 그리움이라 이름 부친다.

팥죽은 나의 친정인셈이다.

가끔 하고  싶을 때 맛나게 즐겁게 하는


전복은 시어머니  사랑이다.

같은 여자로 한 핏줄을 나누어 가진  사이

불편하면 한없이 불편하고 힘든 관계

해야만 하는 편한 관계

언제나 평행선처럼 교차점 없이 그저 한 곳을

바라보고 갈 뿐

오랜 시간 함께 아들을 나누어 가진

두 여자 시어머니와 며느리

가깝게  지내면 가깝고

한없이 멀게 느끼고 살 수 있는 관계

좁히기에는 너무 멀고도 먼 관계

여자대 여자로 보기까지는 참

오랜 세월이 흘렀다.

한도 있고 상처도 있지만

묻고 가야만 함께 할 수  있는 사이

언젠가부터 내 밥상에 전복이 올라왔다.

널 위해서 준비했다고 하시며

먹으라고 한입 크게 썰어 주신다.

한 번도 내 몫은 없었는데

많은 시간이 흐르고 돌고 돌아온 지금에서

서로에 대한 애틋함을

전복 한 접시에 담아내어 주신다.

난 팥죽과 다른 맘으로

전복 한 접시를 받아 든다.

이젠 과거는 잊고 서로 의지하며 살자는

메시지라고 다가온다.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두 여자의 힘겨루기는 끝내고

서로 마주하면서 살아가자는 의미로 본다.


이젠 팥죽 한 그릇도

전복 한 접시도 따로가 아닌

한상에 올려진 맛난 음식으로 받아 든다.

작가의 이전글 배신감을 안겨준 만두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