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ㅣDiscover: 유사 서비스 리서치
마지막으로 해당 기능과 관련된 경쟁 / 유사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질문했습니다. 먼저 유튜브 뮤직 앱과 유사한 서비스를 물어봤고, GPT가 경쟁 서비스로 제시해 준 서비스 3가지를 셀렉하여 “쉽고 효과적으로 플레이리스트를 관리하는” 경험을 주는 “인터페이스 사례와 근거”를 요청했어요. 제가 기획하고 있는 '실시간 뮤직 스테이션' 기능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폭넓게 아이디어를 얻어보기 위해 질문했죠.
역시나 많은 답변을 주었고.. 그중 SoundCloud에서 제공 중인 커뮤니티 기능이 강조된 인터랙션을 아이디어로 얻어갈 수 있었습니다.
예전에 인디 음악 듣는다고 사운드클라우드 종종 쓰곤 했는데요, 노래를 틀면 위 이미지처럼 다른 사람들의 댓글이나 반응이 둥둥 떠다녀요. 반응은 특정 노래 구간에 남길 수 있어서 킬링 파트가 다가오면 좋아요나 댓글 화력이 남다르죠. 잊고 있었던 기능인데 GPT 덕분에 생각해 냈어요. 적용하면 재밌어질 것 같습니다.
다만 관련 기능에 대한 유저 보이스를 살펴보니, 댓글이 떠오르는 게 음악 재생 경험을 해친다는 반응도 있고, 결국 여러 댓글이 달릴 경우 킬링 파트를 알아보기 힘들다는 반응이 있었어요. 물론 제가 기획한 기능은 수십만 명이 함께 쓰는 게 아닌, 소수의 인원으로 공동 작업하는 방향이지만 참고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불편해할 유저를 위해 인터랙션 ON/OFF 기능을 꼭 둔다던지..
이런 반응을 보다 생각난 건 바로 유튜브. 최다 재생 구간, 킬링 파트 구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재생바를 홀드 하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재생한 구간이 그래프로 보이고, 해당 구간으로 바를 이동시키면 [most played]라는 토스트 팝업이 떠요.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오픈형 플레이리스트라면 이런 기능도 참고하여 적용시키면 좋겠단 생각이 듭니다. 영상 타임라인 기준이 아닌 플레이리스트 내 특정 곡 재생 횟수를 그래프로 보여준다던지 말이죠? 후후. GPT 덕분에 이런저런 아이디에이션을 해볼 수 있었네요.
추가로 꼭 노래가 아니어도, 인터랙션 측면에서 참고하면 좋을 기타 레퍼런스 서비스도 조사해 봤어요. 오래된 외국 앱 위주로 답변해 주긴 했지만, 정말 초면 그 자체인 서비스들인지라 새로운 시각으로 조사하기 좋았습니다.
흥미로웠던 건 [Riff: Friends Add Clips To Collaborative Videos]. 2015년 즈음에 만들어진 (아마 지금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을) 앱인데요, 누군가가 공유한 음악 클립에 대해 자신의 음악 클립을 덧붙여 대화하는 기능, 그래서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음악 클립들이 모여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어나가는 인터랙션이 인상적이었습니다.
https://techcrunch.com/2015/04/01/friends-contribute-then-their-friends-contribute-then/
외에도 GPT가 소개해준 사례들을 리디자인 작업에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가이드에 대한 조언 등 다양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뭐, 당연한 소리가 많았지만 그래도 디자인 시 고려할(너무 당연한 나머지 놓치기 쉬운) 베이직한 정보들이었기에 확인차 읽어보기 좋았어요.
'완벽하진 않지만 충분히 좋다'. GPT를 이용하면 관련 사용 경험, 문제점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했고, 시드 얻기도 편했어요. 아마 AI 도움 없이 ‘유튜브 뮤직 앱을 리디자인’하려 했으면,
1. 모든 페이지를 하나하나 뜯어보며 기능을 묶어 정리하고 2. 유사 서비스들을 앱 스토어에 검색해 다운 받아보며 3. 정리한 기능을 각각의 서비스에서는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분석 4. 인사이트를 정리하고 있었겠죠.
물론 이런 과정이 불필요하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꼼꼼하게 문제를 파악하고 정의할 수 있으니까요. 허나 짧게 잡아도 5~6시간은 족히 걸렸을 프로세스입니다. 반면 제가 GPT와 이야기 나눈 시간은.. 30분 채 되었을까? 제가 공감하는 문제점을 찾는 데까지 많은 시간이 단축됐고, 괜찮은 아이디어도 몇 가지 얻을 수 있었어요.
다만 위에서 말했듯이 GPT는 '전체적인 개요를 파악하고 시드를 얻는 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적합했기 때문에, 받은 답변들이 적절한지 디테일하게 검증하며 기반으로 깊게 생각해 보는 시간은 꼭 필요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물어 아이디어를 다듬고 확장시키는 건, 역시(그리고 여전히) 디자이너의 몫이라 생각됩니다.
다음 편부터는 Define 과정이 시작됩니다. [페르소나 디자인]이 연재될 예정이에요.
Hey AI, 이젠 유튜브 뮤직 앱 사용자가 돼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