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주 문 Nov 13. 2023

4. 기본 다구茶具

차를 마시는데 갖추어야 할 기구들이 있다. 이것을 '다구'라고 한다. 흔히 '다기 세트' 또는 'tea ware'라고 한다. 다기 세트는 중국, 일본, 우리나라, 영국 등 나라마다 즐겨마시는 차가 다르고 차를 마시는 문화가 달라서 그 구성이나 모양, 재질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는 다관, 숙우, 찻잔으로 구성된다. 가장 일반적인 다기 세트로는 재질에 따라 도자기 세트와 유리 세트가 있다. 기본적으로 다관, 숙우, 찻잔으로 구성되고, 2인세트, 3인 세트, 5인 세트 등으로 구성되나, 상품에 따라 구성 요소가 달라지니 확인이 필요하다. 여기에 이러한 것들을 올려놓는 다반(찻쟁반)과 퇴수기 정도를 갖추면 기본 구성으로 훌륭하다. 

백자 3인 다기 세트

다관

다관은 차우림 용기로, 출수용 주둥이가 있고 뚜껑이 있다. tea pot,  차호, 자사호 등이 차를 우리는 다관을 가리킨다. tea pot은 홍차문화에서 사용하는 용어이고, 다관, 차호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때로 차호라고 불리는 다관도 있는데, 차호는 차우림 주전자를 가리킬 때도 있고, 차를 덜어서 담아두는 뚜껑 있는 미니 항아리를 가리키기도 해서 헷갈린다. 다관은 작은 주전자 모양으로 위로 손잡이가 있는 형태, 뒤에 고리형 손잡이가 있는 형태, 옆에 자루형 손잡이가 달린 형태가 있다. 다관과 비슷하나 크기가 훨씬 큰 탕관이라는 주전자가 있는데, 이는 화로 위에서 물을 끓일 때 사용하는 주전자로 주물이나, 도자기로 되어 있다. 요즘은 전기 포트가 탕관을 대신한다. 다관에서 알맞게 우려진 차는 공도배 또는 숙우로 옮겨진다. 자사호는 중국 특정 지방의 붉은 흙으로 만든 차우림 주전자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이다.


백작약 백자 다관_신정희 도예


백자 탕관
물 끓이는 주물 탕관


숙우 熟盂와 공도배 公度杯

그리고 숙우 또는 공도배라 불리는 용기는 물을 식히거나 다관에서 우린 차를 따로 모아놓는 용기로 뚜껑이 없고, 출수에 용이한 주둥이가 있다. 뜨거운 물을 차에 따른 알맞은 온도로 식혀서 다관에 부을 때 사용한다. 이는 우리나라 다도에서 하는 방법으로 이때 그릇을 숙우라 한다. 녹차를 우릴 때는 너무 뜨거운 물은 좋지 않다. 물을 적정 온도(65도)로 식혀서 붓는데, 적정 온도의 물로 익힌다는 의미에서 숙우라고 지칭한 듯 보인다. 한편, 다관에서 우러난 차를 우리나라에서는 잔에 바로 분배하지만, 중국에서는 찻잔에 바로 분배하지 않고, 공도배에 부어 차의 전체 농도를 골고루 섞이게 하기도 한다. 농도를 고르게 하여 찻잔에 분배한다는 의미로 공도배라 부르는 것 같다. 작은 다관임에도 위아래 농도가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 전통 다도에서는 다관의 차를 찻잔에 직접 따르는데, 이때 두 번에 나누어 각 잔에 분배한다. 처음에 1, 2, 3의 순서로 찻잔에 반 잔씩 채웠다면, 다음에는 3, 2, 1 순서로 분배하여 차의 농도를 고르게 맞춘다. 그러나 일상에서 우리는 물을 식힐 때 사용하는 숙우를 공도배처럼 사용하면 편리하다. 또는 숙우를 하나 더 장만하여, 숙우용과 공도배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숙우_자기랑도기랑
대형 유리 숙우 650ml_teamate

다반과 퇴수기

다관, 숙우 찻잔으로 구성된 기본 다기 세트를 올려놓는 쟁반 또는 상을 다반이라 한다. 또는 다포茶布(천으로 된 테이블 매트와 같은 것) 위에 다기를 올려놓고 사용해도 편하다. 또한 차를 우리는 과정에서 나오는 물을 버릴 퇴수기도 필요하다. 퇴수기는 예열을 위해, 다관, 숙우, 찻잔에 부어놓았던 물을 버릴 때, 그리고 세차洗茶 후 버리는 물, 또는 첫 탕의 물, 그리고 잔에 은 찌꺼기 차를 버리는 데 사용한다. 우리나라 퇴수기는 큰 대접 모양이나, 요즘은 세라믹 낮은 용기에 구멍 있는 뚜껑으로 쟁반과 퇴수기를 겸용할 수 있는 것들이 다양하게 나와 있다. 퇴수기로 만들어진 도자기를 구입할 수도 있으나, 가격이 꽤 비싸므로, 집에서 사용하는 도자기 국수 그릇(국그릇 보다 조금 큰)을 사용해도 된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맘에 드는 퇴수기 하나의 가격이 다기 세트 가격과 맞먹는다. 우리나라 다기 세트 구성의 퇴수기는 위의 사진과 같은 큰 대접 형태로 주로 녹차, 백차, 황차와 같은 차를 마실 때 사용하면 된다.


다구의 기본 구성으로 다관, 숙우, 찻잔 그리고 다반(다기세트를 올려놓는 나무 쟁반)


퇴수기, 맘에 드는 퇴수기는 가격이 상당하다.


우리나라 차 문화에서는 물을 최대한 흘리지 않게 하고, 꼭 버려야 할 것만 퇴수기에 버린다. 차를 따르는 과정에 혹시라도 물이 흐를까 봐 다건茶巾(차 수건)로 다관이나 숙우를 감싸서 사용한다. 그러나 보이차, 우롱차를 즐겨 마시는 중국에서는 다관 속은 물론 위에도 물을 부어 흠뻑 적시고(예열 과정), 다관에서 숙우로 찻잔으로 차를 옮길 때 물을 흘리는 것을 개의치 않는다. 그래서 퇴수기가 다반과 겸하여 있다. 대나무로 된 다반형 퇴수기가 그것이다. 물 빠짐이 가능한 대나무 쟁반이나 차탁에 물받이 서랍이 달려 있다. 보이차, 우롱차를 마실 때는 다반형 퇴수기가 편리하다. 

대나무 옻칠 차판_청백원

사용해 보니, 찻잎이 물속에서 펼쳐지는 모양이나, 차의 빛과 색을 관찰하기에는 유리 다기가 좋다. 이렇게 장만하면 티백차에서 벗어나 잎차, 산차散茶를 우려 맛볼 기본 다구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겠다.  


6인 유리 다기 세트_성연 티세라


이전 03화 3. 차 우리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