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mien We Dec 13. 2021

매일 매일이 어려운 이유

똥에 이르러서야 평안에 지려나..



주변에서는 항상 다양한 일이 벌어진다. 누군가는 위기에 처해있고, 누군가는 행운에 다다른다. 문제는 이런 다양한 일이 벌어질 때 그것에 반응하는 내 마음이다. 농담을 하면서, 대화를 하면서 의식은 점점 더 빨라지고 더욱더 깊게 반응한다. 누군가 화두를 던지면 그 파동으로 감정이 솟아오른다. 솟아오른 감정이 나를 휘두르기 시작하고 어느새 나 역시 파동이 되어 내 주변을 흔들고 있다. 이런일이 매순간 벌어진다. 


잠시라도 멈추고 내가 어떤 상황인지를 조금만 돌아보면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멋진 말로 마음챙김, 불교 용어로 알아차리기라고 하더라. 뭐라고 부르던 흔들림에 떨리는 마음이 조용해지기를 찾는 과정은 쉽지 않다. 천천히 호흡을 가다듬고 현 상황을 명료하게 이해해야한다. 여기서 조금이라도 잘못된 감정이 섞이게 되면 그 반응이 자극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자꾸 반복하게 된다. 


아. 왜 또 저러는걸까? 

확. 죽여버리고 싶네!

헐. 제 정신 아닌거 아니야? 

젓. 갈 담그는 소리를...


끈임없이 내가 맞고 당신은 틀리다며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을 머리 위로 쏟아붓는다. 그래서 '만'해진다. 자만/거만/오만/불만/태만 끈임없는 만의 소용돌이. 이 '만'이라는 상태가 지속되면 앞에 있는 것도 보이지 않고, 옆에서 이야기해도 들리지 않는다. 마치 미끄럼틀같이 올라가면 내려오는 반사작용처럼 반복을 하게 된다. 아. 열받네. 아. 서운하네. 아. 복잡하네. 아. 왜저럴까. 아. 난 아무 잘못도 없는데. 아. 내가 얼마나 노력했는데. 아. 정말 몰라주네. 아. 삐뚤어지고 싶다. 아. 술이나 먹을까. 아. 조용해지고 싶어. 아. 지겨워. 지겨워.


사실

흔들리는 것도 나고

흔드는 것도 나다.


내 주변은 그저 그대로 벌어지고, 살아지고 있을 뿐.

평안하다는 것은 결국 똥통에서도 내가 똥 속에 있구나라고 이해하는 것에 그쳐야한다는 맹목적인 반복인 것 같다. 그래 난 지금 똥통 속에서 평안하게 내 주변의 똥을 바라보고, 똥 바깥에 다른 세상이 있음을 뚫어보고, 가끔 똥을 먹기도 싸기도 한다. 뭐 어떠냔 말이다. 내가 똥이던, 니가 똥이던, 세상이 똥이던....


드라마 캐릭터의 이름이 떠오른다.

평안함이 이르르다. 

지안


개명이나 할까...

이전 09화 읽씹을 해석하는 방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