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oya Kang Apr 08. 2024

마케터의 도구들

바이오 스타트업 마케팅팀에선 어떤 도구를 쓸까? ②웹로그 분석 & SEO



웹로그 분석을 돕는 도구


우리 가게에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은 뭘까? 어떻게 더 잘 팔리게 할 수 있을까?

내가 어느 분식집의 사장님이라고 생각해 보자.

가게를 차린 지 어언 3개월, 잘 팔리는 메뉴가 무엇인지 감이 오기 시작했다. 쫄면이 꽤 잘 팔리는데, 혼자 오는 사람들이 시키는 것 같지는 않다. 친구들끼리 함께 왔을 때 쫄면만 시키지 않고 돈까쓰나 김밥을 같이 시키는 것 같았다. 하루 종일 살펴보며 세어 보니 대략 몇 명 정도가 세트를 시키는지 알게 되었다. 뭔가 분명하지 않은 숫자에 무작정 할인해 판매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에 POS 기를 활용해 매출을 분석해 보았다.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적정한 할인율을 적용해 세트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결론적으로 꽤 잘 팔리는 베스트셀러 세트가 되었다.

이와 같이 고객의 행동과 매출을 살펴보고 방식을 온라인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웹로그 분석이다. 


우리 홈페이지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구경하는 페이지는 어디일까? 어떻게 구매를 더 하게 할 수 있을까?

오프라인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은 더더욱 정보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으면 알 수 있는 정보가 하나도 없다. 대체 내 웹사이트를 어떻게 알고 왔는지부터, 와서 무엇을 하는지, 어디서 돌아가는지, 무엇을 둘러보다 내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었는지, 왜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하는지. 이를 알지 못하면 제품이나 웹사이트를 개선하는 걸 '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웹사이트 내 매출을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페이지가 문제가 있는데 알지 못하면, 바로 튕겨나가 줄줄 새고 있어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문제를 발견할 수 없다. 


사실 이런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 이것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서비스나 회사가 있다는 것 모두 나는 회사에 합류하기 까진 전혀 몰랐다. 

회사에 합류하자마자 웹사이트의 1차 개편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이를 마무리하는 작업에서 '웹로그분석 툴'을 심어 인바운드 마케팅의 시작을 알려야 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덕분에 이 존재를 알게 되었고 공부하게 되었다.


앞에서 강조한 것처럼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그리고 혹시나 '인바운드 마케팅'이 중요한 영역에서 일한다면 웹로그 분석툴의 설치는 필수다

다행히도 복잡한 지식이나 정보가 없어도, 유료 구매를 하지 않아도 구글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많은 무료 툴이 이를 쉽게 시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 하나씩 살펴보자.



Google Analytics

Google Analytics (GA4)는 가장 베이식 하면서도 복잡한 대표적인 '웹 로그 분석 툴'이다. 웹사이트에 코드를 심어두기만 하면 방문자들의 모든 행동을 자동으로 기록해 준다. 어디서 우리를 알고 들어오는지 (Acquisition), 와서는 무엇을 얼마나 하는지(Engagement), 우리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지 (Conversion), 왔던 사람들은 얼마나 다시 방문하는지(Retention) 모두 알 수 있다.


데이터는 차곡차곡 익명화된 데이터로 쌓이게 되는데, GA에서 직접 간단히 시각화해 살펴볼 수도 있으며, GA의 데이터를 연결해 시각화할 수 있는 조금 더 본격적인 툴도 있다. 무료 툴로는 구글의 Looker Studio, 유료 툴로는 세일즈포스의 Tableau가 있다. 


현재는 장기적으로 사용되던 Google Analytics 버전이 사용 중단되고 GA4로 버전이 업그레이드되었으며, UI가 많이 달라졌다. (슬프게도 아직도 적응 중이다.)


Google Data Studio (Looker Studio)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는 말 그대로 데이터의 시각화 툴이다. 여러 소스의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구글 드라이브, GA 등)를 한 데 엮어 대시보드 형태로 구성해 볼 수 있는데, 이를 잘 구성해 팀원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우리 팀에서는 몇 번 쓰려고 시도한 적은 있지만, 활용하고 있진 않다. 가지고 있는 데이터에 따라 사용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세일즈포스를 도입하면서 세일즈포스 대시보드 기능을 더 잘 활용하게 되었다.


Google Tag manager    

페이스북, 링크드인, 구글 등 여러 온라인 광고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는 각자의 트래킹 코드(태그)가 있다. 원래대로면 마케터는 이 모든 태그를 개발자에게 부탁해 웹사이트에 심어야 하겠지만, 요즘은 참 좋은 세상이다. 구글 태그매니저를 활용해 태그매니저의 '컨테이너'를 웹사이트에 심어두면 (물론 이것은 동료 개발자에게 부탁해야 한다) 구글 태그 매니저에서 직접 트래킹 할 태그와 태그의 발생(트리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위한 도구


지난 인바운드 마케팅 관련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우리는 인바운드 마케팅을 처음부터 하고자 했고, (중간에 방황하기는 했지만) 지금도 가장 중요한 마케팅의 방향성 중 하나로 밀고 나가고 있다. 


처음 합류 했을 때 대표님은 SEO를 반영한 웹사이트를 만들고자 비전을 제시했다. 우리의 자그마한 웹사이트, 그리고 이후 여러 번의 인바운드 마케팅 시도, 지난 2023년 리뉴얼한 웹사이트의 기획에서도 빠지지 않고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테크니컬 SEO, 실제 SEO의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돕는 여러 툴이 있다. 특히 인바운드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쌓아갈 때 SEO를 위한 도구들이 더욱 빛을 발한다.


Google Search Console

Google Search Console은 구글 자체에서 제공하는 도구로, 구글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성능과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로 구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의 웹사이트의 위치 및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무료 SEO 툴이며, 처음 사용하는 경우, 이를 활용해 여러 수집된 정보들을 둘러보면 좋다. 웹사이트의 색인 상태 및 오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유료 툴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도구이다.


유료 서비스로는 다음에 다루는 Ahrefs 외에도 많이 있는데, Google Search Console에서 기본적인 수치들을 익숙하게 한 뒤 활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러나 백링크 데이터나 경쟁사 정보와 같은 완전한 SEO 분석은 제공하지 않고, 다른 검색 엔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Google의 검색 점유율이 80% 이상인 것은 안 비밀.)


Ahrefs

인바운드, 블로그 마케팅 전문가였던 동료가 SEO 확인을 위해 주로 사용하던 툴이다. Ahrefs는 SEO 전문가와 디지털 마케터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툴 중 하나로, 웹사이트의 백링크 및 키워드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우리는 인바운드 마케팅에서 타깃 할 키워드를 찾고, 경쟁사 웹사이트를 검색해 분석하고, 우리 웹사이트의 SEO 점수를 파악하고 개선하는데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Google Search Console에서 확인할 수 있는 Google이 수집한 데이터를 노출하지만 부가적인 기능을 통해 더 전략적인 SEO 마케팅이 가능하다


유료로 제공되어, 처음 활용하기엔 부담되는 가격일 수 있다. 초보자에게는 처음에는 사용하기 복잡할 수 있지만, 요즘엔 이런 SaaS 회사들 또한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를 잘 제공하고 있으니, 보면서 익혀가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Google Trends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구글 검색엔진의 키워드 분석 도구다. 


우리 팀은 유사한 키워드가 있다면 어떤 키워드를 활용하는 게 더 많은 트래픽을 가져오고, 최근에 더 많은 검색 트래픽이 발생했는지 확인하는데 종종 활용했다.


사실 Ahrefs를 사용하고 있다면 비슷하거나 더 많은 정보를 Ahrefs에서 볼 수 있어 굳이 자주 들여다볼 일은 없다. 서비스가 타깃하고 있는 키워드의 국가 별 경쟁도나 해당 키워드의 검색량이 몰리거나 줄어드는 시기 등을 큰 데이터로 확인해 볼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4년 검색 기록부터 현재까지 확인 가능하다)


Naver Data Lab

구글 트렌드의 역할과 유사한 네이버의 키워드 분석 도구다. 네이버 검색 및 네이버 쇼핑의 무료 키워드 분석이 가능하다. 지역 별, 시간별 키워드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네이버 쇼핑에서의 검색 트렌드를 별도 탭에서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보통 사용할 일이 없지만, 국내 향의 온라인 비즈니스라면 당연히 보아야 한다.


Google Ads - Keyword Planner 기능

구글 광고에서 제공하는 무료 기능이다. 원래는 구글 광고 준비 시 광고가 게재될 키워드의 경쟁률을 파악하는 용도이지만, 이는 동시에 인바운드 마케팅을 위한 글의 SEO를 위해 키워드를 고르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는 앞으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