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 박도 Apr 11. 2021

나의 사랑 너의 사랑

에세이 <괜찮지 못한 인간> / 박도 지음

사랑에 대해서는 아주 많은 말들을 흘리고 다녔지만 내가 했던 말에 동의할 수 없는 때가 찾아온다.  내 첫 책 <솔직한 서른 살> (2019)에 ‘미지근한 사랑은 싫고, 항상 처음처럼 뜨겁고 빨간 사랑을 원한다’고 썼다. 1년 뒤에 그 글을 읽어보니 “그게 가능할 리가 있나? 말도 안 되지!” 소리가 절로 나왔다. 


누군가 내가 사랑에 대해 했던 말이나 글을 전부 다 기억하고 있다면 대체 어디에서 논리와 일관성을 찾을 수 있는 건지 혼란스러울 거다. 한 사람이 했던 말이 맞는지, 혹시 했던 말을 까먹는 사람인 건지 의심스러울 거다. 사랑에 대해서는 시기별로 생각이 달라 글도 달라진다고 해명해본다. 다음엔 또 다른 말을 할 줄 알면서도 순간의 사랑에 대해 부지런히 기록한다. 사랑이 지겨울 때조차 사실 사랑을 모르지만, 모르면서도 떠들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어떤 유형이든 내 인생에서 사랑이 끊이지 않길 바란다. 사랑이 내 삶을 한 층 끌고 올라가 줄 것이다. 슬프게 할 때도 있겠지만 그것조차 나를 성장시킬 것이다. 요즘 내가 하는 사랑은 내가 모르는 방향으로 나를 끌고 가고 있었다.

나는 언제나 평가자 입장에서 타인의 사랑을 감시했다. 내 사랑은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있으니 그에 걸맞은 사랑을 달라고 상대방에게 요구했다. “사랑해”라는 말이 줄어들면 훈계를 하거나 화를 냈다. 이상한 사랑을 하고 있었다. 나의 사랑, 내가 주고, 내가 받아내야 할 사랑에만 집중했다. 내가 주는 것과 받는 사랑의 양을 비교해 계산했다. 상대방이 내가 원하는 사랑의 형태를 정확히 구현하길 바랐다. 왜 내가 정한 사랑의 정의와 방식에 따라 날 사랑해주지 않는지 답답했다. 그런 사랑은 없다. 그게 가능하다면 그건 사랑이 아니라 사랑 연기다. 하물며 나조차 나를 사랑하지 못하면서.


“사랑은 언제나 내 이름을 다정하게 불러주고 사랑해, 표현하고 안아주는 거야. 그걸 몰라? 결혼 전에는 잘만 하던 사람이 결혼 후에는 뭐, 그렇게 하면 감옥이라도 가냐?”


이렇게 말한다고 예전처럼 사랑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알지만 시키는 대로 해줬으면 했다. 그러면 안심이 될 것 같았다. 내가 사랑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마주하기 겁이 났다. 나를 좋아하는 사람이 없는 세상은 외롭다는 말로도 다 할 수 없이 외로웠다. 마지못해 “사랑해”라는 말을 들으면 하란다고 하는 건 사랑이 아니라면서, 이래도 저래도 화를 내면서도 그랬다. 


사랑은 진작에 끝난 걸까? 사랑 없는 인생을 받아들일 때가 온 것인가? 사랑이 끝났다면 왜 붙잡고 있어야 하지? 인생에서 내가 염두에 두는 건 사랑을 하는가 안 하는가, 받는가 못 받는가, 오직 사랑이다. 너무 사랑 집착자 같나. 결혼에도 당연히 적용된다. ‘사랑하면 계속 살고, 사랑하지 않게 되었다면 따로 산다.’ 이론적으론 이보다 더 간단명료할 순 없다. 현실적으로는 (아시다시피) 사랑이고 나발이고 같이 살 수밖에 없으니 같이 살고 있긴 하지만. 

그러다 문득 “사랑해”라는 말이나 그 비슷한 것 하나 없는 순간에 사랑을 발견했다. (오 신이시여. 개 양육권 다툼으로 법정에 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겨울 뉴욕은 4시 좀 넘으면 해가 진다. 3시쯤 준군에게 문자가 왔다. 그가 멀리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과 허드슨강이 보이는 연구실 창문 사진을 보냈다. “오늘 노을 예쁠 듯. 올래?”


나의 3시라 하면, 글 쓰려고 앉아서 딴짓하고 있다가 겨우 좀 몇 자 끄적이고 있을 때다. 노을은 보고 싶지만, 머리 감고 옷 갈아입고 엘리베이터 없는 6층 계단을 오르락내리락 해야 하는 걸 생각하면 그깟 노을이야 안 봐도 그만인 것 같기도 하다. 노을을 사랑하지만 사랑은 귀찮음에 너무 쉽게 질 때가 있다. 거기다 준군이 시키는 일은 다 하기가 싫다. 

“아니. 안 갈래. 사진 많이 찍어서 보내줘.”라고 답장을 보냈다. 


준군은 고집을 부렸다. “빵 사줄게. 대충 준비해서 와.”


꼭 빵 때문은 아니지만, 부리나케 준비하고 10분 거리에 있는 준군이 일하는 건물로 향했다. 그렇게 한 달간 매일 4시에 집을 나섰다. 두 명이 겨우 설 수 있는 작은 발코니에서 우리는 조용히 핑크색 하늘이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걸 바라보았다. 밤이 닿자 유명한 빌딩들이 황급히 반짝거리는 불빛을 뿜어내는 것도 함께 보았다. 거기 서서 사랑을 속삭이거나 키스를 한다든가 하는 건 없었다. 노을을 관찰한 거로 끝이었다. (노을 과학자냐?)


언젠가 ‘우리 사랑은 이제 없어. 그냥 이렇게 살다 늙어버리는 거야.’ 하는 생각에 눈물이 주룩 흘렀을 때 하필 그 장면이 떠올랐다. 그가 홀로 노을을 보고서 내가 노을을 좋아했다는 걸 기억한 것. 나에게 그 노을을 보여주고 싶어 한 것. 그건 그의 사랑이었다. 

그는 자기의 사랑을 한다. 나는 나의 사랑을 한다. 그러면 된다. 우리는 각자의 방식으로 서로를 사랑한다. 


노을을 보면 서로를 떠올릴 것이다.

이전 07화 코로나 시대 엄마의 카톡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