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ybean Apr 16. 2021

엄마의 인사이드

착한 아이 콤플렉스


 나는 그렇게 느끼지 못했지만, 아마 엄마는 정말로 나를 사랑했을 것이다. 장녀였던 엄마는 어릴 때부터 동생들을 업어 키우면서 쌓아왔던 모든 감정들을 낯선 사람과의 원하지 않은 결혼으로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되자, 모든 것을 놓아버리면서 스스로를 지켰다. 화와 무기력만이 남은 엄마는 아마도 우리를 사랑했겠지만, 그렇게 밖에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에게 손발이 못 생겼다고 놀렸지만, 나를 사랑했을 것이다. 나에게 글씨를 못 쓴다고 놀렸지만, 나를 사랑했을 것이다. 우리가 다 감기에 걸려서 골골거릴 때에 당신만 걸리지 않았다고 자랑했지만, 우리를 사랑했을 것이다. 나에게 용돈을 쓴다고 혼을 냈지만, 나를 사랑했을 것이다. 내가 초등학생일 때에 '엄마는 곧 떠날 거고, 언젠가 데리러 오겠다'라고 입버릇처럼 이야기했지만, 나를 사랑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그 모든 것이 불안하기만 했다. 엄마로부터 내가 정말로 사랑하는 존재인지 확신받을 수 없었기에 나에게 있어 엄마는 언제든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존재였다. 아무리 봐도 '엄마의 인사이드'에는 내가 없는 것 같았다.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정을 지키는 동안, 엄마는 무수한 부침을 반복했다. 사실은 엄마의 처지 때문에 떠날 수 없었던 것이 컸는데, 결국은 우리 때문에 떠나지 못했다고 핑계를 댔었던 엄마에게 나는 무슨 말을 할 수 있었을까. 당신에게 짐이 되어서 미안하다고, 이미 존재만으로도 버겁게 해서 미안하다고 말해야 하는 걸까. 


 그렇게 유기 불안은 계속 나를 따라다녔다. 아주 사소한 말이나 행동만으로도 버림받을까 봐 불안해했다. 굴곡진 인생을 살아온 엄마의 시야는 너무 좁았기에 아이가 얼마든지 할 수 있는 행동까지도 엄마에게는 힘겨운 과제였고, 나는 엄마를 힘들게 하기 싫었다. 나는 점차 '착한 아이 콤플렉스', 아니, '수동적인 아이 콤플렉스'에 시달렸다. 

 상대방이 누구든 간에 웬만하면 그 사람의 말에 동조를 했고, 그 사람이 하자는 대로 따라갔다. 내가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제동을 거는 경우는 여지없이 도덕적으로 어긋났을 때였다. 누구나 알고 있는 도덕적인 잣대를 가져오면, 상대방의 의사에 반할 수 있었다. 그래서 점차 강박적으로 도덕적인 잣대에 집착하기도 했다. 




 상담 기간 동안 나는 내 안에 있는 엄마를 꺼내기가 무척 힘들었다. 상황극처럼 나 혼자서 엄마와의 대화를 재연하는 치료를 시도한 날에, 그걸 채 마치지도 못 했는데도 나는 이후 일주일 동안 감기를 호되게 앓았다. 내 몸은 격렬하게 엄마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것을 거부했다. 


 우리나라에서 모성은 그런 것이다. 자식을 위하여 최고의 재료를 공수하여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진수성찬을 차려내는 것. 그런 사회에서 도망칠 수 없었던 엄마는 밥상을 차리면서 그렇게 화를 냈다. 그리고 아버지는 진수성찬이 아니라는 이유로 엄마에게 화를 냈다. 그렇게 밥은 우리 가족에게 증오를 표현하는 매개체였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그러한 밥이 결국 사랑의 표현이 되기는 했다. 내가 고등학생일 때에 엄마가 1년 넘게 도시락을 두 개씩 싸 준 것이 엄마가 내게 했던 사랑의 행동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으니까. 그 당시에는 급식이 보급되었기 때문에 도시락을 싸지 않아도 되었는데, 엄마는 나의 요구를 들어주었다. 그 덕분에 나는 쉬는 시간에 도시락을 빨리 먹고, 식사 시간에는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부모님은 표현하였을 것이다. 분명히 언니와 나에게 사랑을 표현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받지 않아서, 부모님으로부터 사랑받지 못하는 느낌에 지속적으로 시달렸다. 그저, 아이를 배려할 줄 모르는 부모님의 빠른 보폭에 맞추느라 힘든 느낌밖에 받지 못했다. 이제 와서야 전문가들이 계속 말을 한다. 아이에게는 아이에게 맞는 표현을 해야 한다고. 아직 아이이기 때문에 모를 수밖에 없다고. 이 말을 이제는 내가 실행해야 할 때인데, 이미 익숙하게 나버린 길로 자꾸만 감정이 먼저 뛰어가 버릴 때가 많다. 

 하지만 이거 한 가지만은 아이가 아기일 때부터 꼭 지켰다. 아이가 "엄마, 싫어.", "엄마 미워."라고 말할 때에도 꼭 "나는 네가 좋아."라고 말했다. 내 기분이 안 좋을 때여도, 컨디션이 안 좋을 때여도, 아이가 내뱉는 '엄마가 싫다'는 말에 꼭 "나는 네가 좋아."라고 말했다. 그것만은 참 잘한 것 같다. 그래서 우리 아이는 내가 기분이 좋지 않아도 자신의 존재가 부정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전 09화 치유의 전환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