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영조 Nov 29. 2018

뇌과학자의 포커 게임(2) - 표정

[특별한 뇌과학 이야기 #1] 거짓말 탐지 속의 과학

흔한 포커 대회 우승자의 포커페이스

 최근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한 포커 플레이어의 표정이 화제가 되었었다. 포커 대회에서 우승을 해서 엄청난 양의 상금을 받는 상황까지도 포커페이스를 유지한 것이다. 그 주인공은 미국의 포커 플레이어인 다니엘 콜맨(Daniel Coleman), 아래는 그가 2014년 Big One for One Drop에서 1등을 차지한 직후의 표정이다.

포커 대회에서 우승까지 올라 1500만 달러를 받을 때까지도 무표정을 유지하는 다니엘 콜맨(Daniel Coleman) [V1]
포커페이스
포커 게임에서 자신의 감정을 감추기 위해 만드는 무표정을 "포커페이스"라고 부른다. [P1]

 아마 포커와 관련된 용어 중 대중에게 가장 유명한 것은 '포커페이스'란 용어일 것이다. 포커 게임에서 자신의 감정을 읽히지 않기 위해, 포커 선수들은 인위적으로 무표정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이를 "포커페이스"라고 부른다. 왜 포커 선수들은 자신의 표정에 신경을 쓰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거짓말 탐지 단서로 사용될 두 번째 후보, 표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두 번째 후보: 표정

 여기서 문제를 내겠다. 포커 게임 중에 패를 새로 받은 상대의 표정을 보니, 아래 사진과 같은 표정을 짓고 있다. 왼쪽 표정과 오른쪽 표정 중 상대가 어느 표정일 때 게임을 계속해야 할까?

이 두 표정 중에서 상대가 어떤 표정일 때 게임을 계속하는 것이 유리할까? [P2]


감정의 창
왼쪽부터 배우 박보검, 가수 김세정, 개그맨 김준현. 이들은 지금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까? [P3]

  감정은 바디랭귀지보다 표정으로 더 확실하게 전달된다. [1] 상대의 손의 움직임과 발의 움직임을 통해, 상대가 현재 편한 감정을 느끼는지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정도는 유추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불편함이 화가 났기 때문인지 두려움 때문이지까지 알기는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상대의 표정을 통해 기쁨, 우울, 분노, 두려움, 놀라움, 경멸, 혐오, 흥미로움, 짜릿함 등의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감정과 표정 연구의 선구자
감정과 표정 연구의 선구자, 폴 에크만(1934~현재) [P4]

 미국의 심리학자, 폴 에크만(Paul Ekman)은 감정과 표정 연구의 선구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다. 그가 표정 연구를 시작할 무렵, 표정에 대한 중요한 발견을 하게 된다.


다르지 않은 표정

 폴 에크만은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표정을 비교하는 중, 각 감정을 나타내는 표정들이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2] 실제로 미국, 일본,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에 있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같은 표정은 동일한 감정을 나타내었고 [1], 문화적으로 단절된 파푸아 뉴기니 섬에 사는 원주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표정을 관찰했다. [3]

인종과 문화가 달라도 웃는 모습은 같다. (왼쪽부터 한국인, 호주인, 이누이트족, 파푸아 뉴기니 원주민) [P5]


6가지 기본 감정과 표정

 이어서 폴 에크만은 표정과 감정과의 연관 관계를 분석한 끝에 인간의 기본 감정(Basic emotion) 6가지를 정리하게 되는데 [1], 이 기본 감정을 나타내는 표정은 인종, 나이, 성별, 문화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심지어 영장류에게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2][5]

표정 연구를 통해 정리 된 6가지 기본 감정.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놀람, 두려움, 분노, 혐오, 슬픔, 기쁨. 각 감정마다 특징적인 표정이 존재한다. [4]


거짓말을 할 때 나타나는 표정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어떤 표정을 지을까? 폴 에크만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느끼는 감정은 두려움, 기쁨, 죄책감, 이렇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4]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본인의 거짓말이 들킬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결과로 인해 두려움을 느끼고, 거짓말이 성공할 경우에 기쁨을 느끼며, 속이는 행위에 대한 죄책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중에서 블러핑을 판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감정은 두려움과 기쁨일 것이다. 본인이 약한 패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척 돈을 걸어야 한다는 것은 결국 큰돈을 잃을 리스크를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므로 두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블러핑이 잘 먹혀들어갈 경우, 기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블러핑을 하는 사람은 두려움과 기쁨의 표정을 지을까?


 그런데 문제가 있다. 표정이 본인의 감정을 드러낸다는 것은 이미 모든 포커 플레이어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모든 플레이어들은 포커페이스로 본인의 표정을 어떻게든 감추려 할 것이다.


감추기 쉽지 않다.

 그러나 얼굴에는 의식적으로 조절하기 힘든 근육들이 있어, 표정을 감추기 어렵다. [6] 특히, 그 감정이 강렬할 경우 아무리 표정을 의식하며 조절을 하더라도 감추기는 힘들다. 최근에 발견한 재미있는 것이 있다.


 한동안 '백종원의 골목식당'이란 프로그램이 화제가 되었었고, 지금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여기서 고정 MC로 출연 중인 연예인 조보아는 말 보다 표정을 통해 본인의 감정을 드러내어 방송 속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다. 그런데 이 방송 클립을 보던 중 재미있는 표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상 중반부에 슬픔을 나타내는 표정이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다. [V2]


찰나의 순간에 나타나는 미세 표정

 폴 에크만은 사람이 본인의 감정을 감추려고 할 때, 1초도 안 되는 순간의 본인의 감정을 완전히 드러내는 표정이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미세 표정"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5]


(미세 표정을 직접 관찰하고 싶은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마침 미세 표정을 감지하는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이 사이트를 통해 그 능력을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http://www.microexpressionstest.com/micro-expressions-test/


 실제로 폴 에크만이 개발한 미세표정 훈련 프로그램은 실제로 영업 사원들의 판매율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됐다고 한다. [5] 미세 표정을 감지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훈련을 통해 충분히 높은 정확도로 표정을 맞힐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상대의 감추고 싶은 감정을 읽어내 블러핑을 읽어내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본인의 표정을 감추는 또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 바로 미소를 짓는 것이다.


진짜 미소, 가짜 미소

 많은 경우, 사람들은 본인의 감정을 미소를 통해 감추려 한다. 본인의 표정이 숨겨지지 않을 것이라 느껴지는 경우, 무의식적인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미소로 넘겨 자연스럽게 보이려고 노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람이 진짜 행복해서 미소를 지을 때와 억지로 미소를 지을 때의 표정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아래에 여러 사람의 미소를 준비해보았다. 이 중에서 진짜 미소를 짓고 있는 사람을 골라보자.

이 중에서 진짜 미소를 짓는 건 누구일까? [P6]

 정답은 1번, 4번, 6번이다. 당신의 생각과 같았는가? 얼핏 보면 모두 다 같은 미소처럼 보일 수 있지만, 하지만 보기 중 절반의 사진은 기쁘지 않지만 인위적으로 짓고 있는 가짜 미소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가짜 미소를 구분할 수 있을까? 손을 이용해 각 얼굴의 아래쪽 절반을 가려보자. 그럼 이제 보이는 부분은 눈가뿐이다. 눈만 보았을 때 웃고 있는 건 어느 것인가? 아마 모두 정답과 같은 보기를 골라내었을 것이다. 그렇다. 가짜 미소는 눈에서 차이가 난다.


 진짜 미소 표정은 침팬지와 공유하는 오래된 신경 회로를 통해 만들어진다. [2] 이 회로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억지로 미소를 지으려고 시도할 경우에도 진짜 미소와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


본인의 패를 보고 웃은 이유

 만약 이 글을 읽고 나서 포커 게임을 하게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글에서 배운 것 덕분에 상대가 베팅을 하고 있는 지금, 진짜 미소를 짓고 있으며 실제로 기쁨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런데 이 것이 항상 블러핑을 나타내는 것일까?


 상대의 감정을 읽어낸 뒤, 반드시 행해져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맥락을 이용해 상대가 그 감정을 느끼게 된 이유를 찾는 것이다. 만약 상대가 크게 돈을 올린 상황을 가정하자. 그런데 다른 사람이 높아진 베팅액에 자신감을 잃어 패를 엎었을 때 그 상대가 기쁨을 보였다면, 블러핑을 충분히 의심해 볼 상황이다.


 반면에 상대가 베팅을 하는 순간에 기쁨을 보였다면, 이는 강한 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혹은 그저 게임을 즐기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새로 받을 패를 보고 미소를 지었을 때에는 블러핑이라기보다는 그저 원하는 패가 들어왔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이쯤에서 처음 냈던 표정 문제를 생각해보자.) 언제나 표정의 타이밍과 경기 상황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원인을 찾아야만 한다.


같은 상황이어도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
[P7]

 감정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같은 상황이라도 각 개인이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는 것이다. 만약 포커를 플레이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의 손안에 처음으로 풀하우스가 들어왔다면 그 사람은 흥분을 감추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풀하우스를 잡아 본 경험이 다수 있는 노련한 포커 플레이어라면, 이 상황은 더 이상 새로운 자극이 아닐 것이고, 흥분한 감정을 덜 느끼게 될 것이다. 더불어 폴 에크만은 선천적으로 표정을 잘 감추는 사람이 존재하며 이를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5]


표정만으로 부족하다

 포커 플레이어들은 표정을 읽는 기술만을 이용해 게임에 임하지는 않는다. 포커 플레이어들의 증언을 통해 상대 플레이어를 읽기 위해 얼굴 표정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 이전 글에서 소개한 마이크 카로의 책에서도 표정에 대한 언급은 두 번 밖에 없으며, 그 마저도 행동 단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건 하나밖에 없다. [8] 폴 에크만의 연구 결과에서도 표정만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정확도는 높지 않았고, 바디랭귀지 등의 다른 요소와 같이 사용했을 때 높은 정확도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한다. [5]


표정 연구에 대해 부족한 과학적 근거

 현재 학계에서 표정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에 대한 견해는 어떨까? 아직 표정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에 대해서는 깊은 논의와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폴 에크만의 결과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9] 더불어 진짜 미소를 구분하는 방법과 미세 표정에 대한 내용도 아직은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검증된 내용은 아님을 폴 에크만의 저서에서 시인하고 있다. [5]


 지금까지 표정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표정은 거짓말 탐지 단서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계점 또한 명확하게 가지고 있다. 이제 뇌과학을 바탕으로 한 포커 속 블러핑 탐지 기술에 대해 알아보는 여정도 마무리를 지을 차례이다. 다음 글에서는 마지막 거짓말 단서 후보인 베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 문헌>

[1] Ekman, P., & Friesen, W. V. (2003). Unmasking the face: A guide to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clues. Ishk.

[2] Gazzaniga, M. S., Ivry, R. B., Mangun, G. R. (2013). Cognitive Neuroscience: The biology of the mind, 4th edition. W. W. Norton & Company

[3] Ekman, P. (1993).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8(4), 384.

[4] Matsumoto, D., & Hwang, H. S. (2011). Reading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Psychological Science Agenda25(5).

[5] Ekman, P. (2009). Telling lies: Clues to deceit in the marketplace, politics, and marriage (revised edition). WW Norton & Company.

[6] Meyer, D. G. & Dewall C. N. (2015). Psychology, 11th edition. Worth publishers

[7] Burgess, R., Baldassarre, C. (2006). Ultimate Guide to Poker Tells: Devastate Opponents by Reading Body Language, Table Talk, Chip Moves, And Much More. Triumph Books

[8] Caro, M. (2003). Caro's book of poker tells. Cardoza Publishing.

[9] Weinberger, S. (2010). Intent to deceive?. Nature465(7297), 412.


<저작권 정보>

[P1] 저작권: CC BY-ND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petroleumjelliffe/143209083, Attributor: Pete Jelliffe

[P2] 출처 링크: https://www.slideshare.net/zachelwood/poker-tells-webinarseminar-presentation

[P3] (왼쪽) 저작권: CC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htinx2/33072180955 (가운데) 저작권: CC BY 4.0 출처 링크: https://hy.wikipedia.org/wiki/%D4%B4%D5%BA%D6%80%D5%B8%D6%81_2017#/media/File:160416_IOI_%EA%B2%8C%EB%A6%B4%EB%9D%BC_%EC%9D%B4%EB%B2%A4%ED%8A%B8_01.jpg , No modification was made, ⓒ kimsejeongstudio(wikipedia user) (오른쪽) 저작권: CC BY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lge/8008237275 , No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LG전자

[P4]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en.wikipedia.org/wiki/Paul_Ekman#/media/File:Paulekman_bio.jpg, No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Momopuppycat (Wikipedia user)

[P5] (왼쪽) 저작권: CC BY-SA 3.0, 출처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Korean_traditional_device-kee.jpg, Modification was made, ⓒ Kang Byeong Kee  (가운데-왼쪽)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evarinaldiphotography/35066117233, No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Eva Rinaldi (flickr User) (가운데-오른쪽) 저작권: CC BY 2.0, 출처 링크: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2.0/, Modification was made, ⓒ George Hunter (오른쪽) 저작권: CC BY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eguidetravel/6357491621,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eGuide Travel (flickr User)

[P6] 1. 저작권: CC BY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C%9D%B4%EC%A2%85%EC%84%9D_x_%EC%97%A0%EB%B9%84%EC%98%A4)_%EC%9B%B9%EB%93%9C%EB%9D%BC%EB%A7%88_Long_Distance_Love_%EA%B3%A0%ED%99%94%EC%A7%88_%ED%98%84%EC%9E%A5%EC%82%AC%EC%A7%84_(2).jpg, Modification was made, Author: MVIO (Cheil Industries/samsungfashion.tistory.com/), 2. 저작권: CC BY 4.0, 출처 링크: https://sv.m.wikipedia.org/wiki/Fil:170917_AOA_%EC%84%A4%ED%98%84_%EC%82%B4%EC%9D%B8%EC%9E%90%EC%9D%98_%EA%B8%B0%EC%96%B5%EB%B2%95_%EB%AC%B4%EB%8C%80%EC%9D%B8%EC%82%AC_04.jp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HDPICS, 3. 저작권: CC BY 4.0, 출처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C%8B%A0%ED%98%9C#/media/File:120313_%EA%B1%B4%EC%B6%95%ED%95%99%EA%B0%9C%EB%A1%A0_VIP_%EC%8B%9C%EC%82%AC%ED%9A%8C_%EB%B0%95%EC%8B%A0%ED%98%9C_%EC%A7%81%EC%B0%8D.jp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rokiei (http://rokiei.tistory.com/15), 4. 저작권: CC BY 4.0, 출처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95%98%EB%8A%AC#/media/File:160531_%EC%9D%B4%ED%95%98%EB%8A%AC_%ED%8C%AC%EC%8B%B8%EC%9D%B8%ED%9A%8C.pn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밍뛰(http://mustrunstar.tistory.com/15), 5. 저작권: CC BY 2.0 kr, 출처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A%B0%EB%B9%88#/media/File:Kim_Woo-bin_at_the_The_Flu_premier01.jp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rokiei (http://rokiei.tistory.com/15), 6.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C%86%90%EC%98%88%EC%A7%84#/media/File:Son_ye_jin.jp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Maihuong9108

[P7] 저작권: CC BY 2.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or_Your_Entertainment_male_singing_facial_expressions_montage.jpg, Modification was made, Attributor: Matt McNier


[V1] 출처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MVG_hBwQG0c (유튜브 What's Trending 채널)

[V2] 출처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B3LInaaL2_U (유튜브 SBS Catch 채널)

매거진의 이전글 뇌과학자의 포커 게임(1) - 바디랭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