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의진 Sep 16. 2024

스포츠윤리 주제와 쟁점 #12

스포츠 윤리 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가

*이 글은 [ 스포츠 윤리 주제와 쟁점 ] 책의 목차에 따라 생각을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초중고 체육 교육과정은 '2007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큰 전환점을 맞이했었다. 7차 교육과정까지만 해도 유형이 비슷한 종목을 한 단원으로 묶어서 내용을 구성했었다. 하지만, 2007개정 체육과 교육과정부터는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교과의 내용영역이 총체적으로 전환되었다. 물론, 당시에도 체육 교과의 본질인 신체활동보다 가치를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여론도 강했다. 어쨌든, 당시의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요구에 따라 체육과 교육과정은 대전환을 맞이했다.


체육 교과는 일종의 만병통치약이자 전지전능한 교육의 만능열쇠가 되었다는 느낌도 들었다. 체육 교과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바람직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확신도 느껴졌다. 이러한 내용영역 체제는 '2007개정-2009개정-2015개정' 이렇게 세 번의 전면적인 교육과정 개정 속에서도 큰 틀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교사들의 어려움이 해소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장은 바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다.




스포츠 윤리 교육의 목적


스포츠 윤리 지식이란 스포츠 선수로서 직업을 잘 수행하는 기능적인 지식이 아니라, 훌륭한 선수가 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이다. 즉, '진정한 스포츠인으로서 올바르게 행동하는데 필요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스포츠 윤리 교육의 목적은 무엇일까. 첫째, 윤리적이고 책임감있는 스포츠인이 되는데 필요한 지식과 지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스포츠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스포츠의 사회적 책임과 책임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규범을 학습하는 것이다. 셋째, 스포츠 상황 속에서 직면하는 윤리적 문제를 성숙하게 다루는 능력을 기르고, 스포츠 상황에서 발생하는 가치판단의 문제에 있어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인으로 하여금 '도덕적 자율성(moral autonomy)'을 함양하는데 최종적인 목적을 두어야 한다.




스포츠 윤리 교육의 내용


스포츠 윤리교육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해야 한다. 첫째, 응용윤리로서의 스포츠 윤리에 대한 개념과 역할 그리고 스포츠 속 윤리문제 분석에 적용되는 주요 윤리 이론에 대한 내용이다. 둘째, 스포츠의 사회적 역할과 스포츠인의 도덕적 책임과 의무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개인윤리에 초점을 맞춘 미시윤리(microethics) 차원만 다루어서는 안되며, 스포츠 속 윤리적 문제들을 제도와 시스템의 변혁을 통해 해결하려는 사회윤리(social ethics) 차원의 내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사례기반 스포츠 윤리 교육


저자는 스포츠 윤리 교육의 방법으로 '사례기반학습'을 제안한다. 사례기반학습이란 일반화할 수 있는 특정 사건과 상황을 가치와 연관지어 학습에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사례기반 스포츠 윤리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상황에서 있을 법한 상황 혹은 실제 발생했던 사례를 통하여, 윤리적 이슈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검토하여 윤리적 정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며 학습하는 방식이 있다. 둘째,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 정신을 실천한 스포츠인들의 사례를 제기함으로써 실제 스포츠 속 윤리문제에 대하여 정확히 인지하게 하고, 모바오가 동일시를 통해 윤리적 실천을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셋째, 스포츠에서 좋은 행위와 나쁜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스포츠 속 윤리문제들의 구조를 파악하고 인식할 수 있는 도덕적 민감성을 신장시키고 문제해결역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사례기반 스포츠 윤리교육은 적합한 사례를 연구하고 학습의 내용으로 구조화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사례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편향이 발생할 위험도 있다. 교육 대상이 많은 경우에는 실습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례기반 스포츠 윤리교육이 스포츠 속 윤리적 문제를 학습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체육 교육 전문가들의 더 많은 연구와 공유가 필요하다.




스포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들 중, 경제적인 가치들이 더 커지면 커질수록 비도덕적인 현상들을 더욱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학교 체육교육에서 스포츠 윤리를 제대로 교육해야 하는 당위성이 더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스포츠 윤리는 일부 직업적 선수에게만 관련된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스포츠 문화를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가치 중심 교육과정'이었던 2007개정 체육 교육과정의 등장 이후,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수업들이 설계되고 실천되며 다듬어져왔다. 사례들도 많이 공유되고 학습자료들도 꽤 많이 축적되었다고 생각한다. 2022개정 체육 교육과정의 교과서 작업에 참여해보니, 실제로 좋은 스포츠 가치를 어떻게 학습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컸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체육 교과 수업이 설계되고 실천되는 모습이다. 체육 교과 수업이 더욱 내실있게 진행되면 될수록,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판단과 행동의 실천적 학습이 더 많이 이루어질 것이다. 체육 교육이 만능일 수는 없지만, 학교 체육을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인간상을 갖춘 학생들이 더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이전 15화 스포츠윤리 주제와 쟁점 #1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