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매기 삼거리에서 Jun 28. 2022

4적 4중

무인 아이스크림 할인점의 모든 것


I. 4적



웬만한 아파트 단지 두엇이면 무인 아이스크림 할인점이 하나는 있다.

얼마 벌고 얼마 투자하는 거지? 무인이면 나도 할 수 있는 거 아냐? 수입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라면 한 번쯤 궁금했을 터.


무인 아이스크림 할인점은 적게 투자, 적게 팔고, 적게 쓰고, 적게 버는 구조다. 혹시 호기심을 넘어 해볼 의향이 있는 이는 반드시 4적을 짚어보자. 많이 투자해서, 많이 팔고, 많이 쓰고, 많이 버는 사업 아니다.

운영 중인 매장을 예를 들어 간결하게 이해를 돕겠다. 아래 금액 단위 만 원.


상호. 오마이아이스크림


입지. 아파트 1,300세대. 원주 30년 된 아파트 셋 1,300세대의  중앙 상가. 바로 옆 상가에 GS 편의점.


면적. 9평


투자비 2,700

월평균 매출 750

월비용 95

순이익. 130


일 2시간 근무



1. 적게 투자



투자는 임대 보증금, 권리금, 인테리어 및 시설,  상품대로 대분.


임대 보증금 500

권리금 0

인테리어 및 시설 1,300

상품대 900

계 2,700


ㅡㅡ임대 보증금은 돌려받으니 투자 여력 있다. 원주 새 아파트 대개 2,000.


ㅡㅡ권리금은 회수 기간 따제봐야. 월 130버는데 2,000이면 16개월. 1,000이면 8개월, 500이면 4개월


ㅡㅡ인테리어 및 시설 1,300과 상품대 900. 합 2,200. 회수 기간 17개월.


가+나 하면 권리금 2,000/1,000/500시 회수 기간 33개월/25개월/21개월


투자비 회수에 33개월이면 거의 3년. 너무 길다. 2년도 길다.


그렇다면 권리금 500 이하. 가능하다면 없어야.


총투자비 2,700 플러시 500 이내

보증금 더 투자해도 좋다. 단 금리만큼 이익 감소



2. 적게 팔고



월 매출 750을 두 배 늘리는 방법은 현재는 없다. 1.5배도 그렇다. 10% 늘리는 건 가능. 그리 늘었다면 75. 이익 월 22 더 가져가는 거. 이거 더 벌려고 투자를 늘리기는 그렇다. 당장 보장된 매출도 아니다:.



3. 적게 쓰고



임대료 및 관리비 47

전기료 25

인터넷 2

화재보험 5

마케팅 3

이자 10

계 95


월 130 버는데 비용 95 넘어서 수입이 줄면 힘이 빠진다. 투자비 회수도 늘어진다.


월세 70이면 순이익 23 줄어서 107

월세 100이면 순이익 53  줄어서 77.

월세 150이면 순이익 103 줄어서 27


따라서 월세 100 넘으면 안 된다.



4. 적게 번다



월 130.


더 벌고 싶다면 대형이나 다점포.

투자비와 위험 커진다.



다시 한 번 강조.  무인 아이스크림 할인점은 적게 투자, 적게 팔고, 적게 쓰고, 적게 버는 구조. 이게 한계이자 누군가에겐 매력.



Il. 4중



무인 아이스크림 할인점에 진입 장벽은 없다. 처음 생긴 건 수 년전. 최저시급 급상승으로 인건비 부담과 코로나로 비대면 선호를 계기로 전국으로 확산된 건 불과 2년여. 시장은 이미 포화다. 초기 진입자나 좀 벌었지 지금은 열에 두셋 벌 거고, 나머지는 이익이 의미 없거나 적자로 보면 크게 다르지 않다. 한여름에도 에어컨 못 틀고 문 열고 영업하는 매장 흔하다. 진입 장벽이 없어서다.


그렇다고 끝인가. 아니다. 네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숙지하고 실행하면 시장은 열려 있다.

진입 장벽이 없으면 나는 뭐가 다른가에 집중해야 한다.

중요도 1, 2 ,3, 4 순으로.



1. 입지



아파트 샛길인 매장은 결국 주동선인 매장에 치인다.


고개 위 아파트라면 오르막에 있는 매장은 결국 꼭대기에 있는 매장에 치인다.



2. 복합 매장



아이스크림만 판매하는 매장은 결국 다른 상품을 함께 판매하는 매장에 치인다.


단, 아이스크림 구색이 우선이다.


야이스크림 냉동고 6개 매장은 결국 아이스크림 냉동고 10개 매장에 치인다.


간판을 무인마켓이라고 다는 매장은 결국 아이스크림이라고 다는 매장에 치인다.


단, 상품군별로 분명히 구분하고 동선으로 연결해야.


마구잡이로 진열한 매장은 결국 분명히 구분한 매장에 치인다.



3. 인테리어



창고 같은 매장은 결국 쇼핑 분위기를 갖춘 매장에 치인다.



4. 마케팅



마케팅 안 하는 매장은 결국 마케팅 하는 매장에 치인다.




이전 02화 복합 매장 알면 살고 모르면 죽는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