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치 Jan 31. 2024

신중현과 엽전들 1집 : 한국의 로크

by 신중현과 엽전들 (1974)

 2000년대 말 홍대 앞에는 영어로 된 자작곡을 부르는 밴드들이 많았다. 기타를 메고 연습실을 전전하던 나 역시도, 말도 안되는 영어를 웅얼거리며 멜로디를 짜곤 했다. ‘가사는 나중에 한국어로 고치면 되지’ 하고 쉽게 넘어갔지만, 음악의 신에 빙의 당한 척 방언으로 얼버무린 곡들이 마음에 들었던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오히려 어쩌다 요행으로 입말에 멜로디가 붙은 곡들이 조금이나마 내 성에 찰 뿐이었다.


 콩 심은 데 콩나는 법이다. 영어로된 음악을 즐겨들으며 연습하던 그 시절 우리는, 겉은 몽골리안이되 속으로는 외국의 것만을 쫓고 있었다. 짝퉁 팝송에다 한국어를 구겨 넣으니 노래고 가사고 산으로 가는게 당연했다. 물론 그따위 초라한 곡을 썼던 내 자신 역시 이같은 이치를 진작에 깨닫고 있었다. 그러나 누굴 탓할 수도 없었다. 해외 명반만을 사대하고 영미권 음악만을 듣고 따르라 시켰던 이는,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나 자신이었기 때문이었다.


 우리 정서에 맞는 좋은 곡과 좋은 가사를 쓰는 것은 늘 마음의 짐이었다. 국문학도로서의 자존심이었을 수도 있고, 홍대 앞 아무 밴드로 끝나고 싶지 않다는 (결국 아무 밴드로 남았지만) 내 반골 기질의 발로였을 수도 있다.


 홍대 앞 퍼플레코드에서 <신중현과 엽전들 1집>을 샀던 시기도 그 즈음이었다. 파랗고 하얀 바다를 닮은 상쾌한 디자인에 절로 손이 갔다. ‘신중현 앨범이니까 하나 있어야지' 하는 마음에 별 생각 없이 집어든 음반이었다. 그런데 집에 와서 펼친 앨범의 라이너노트의 첫줄이 내 폐부를 찔렀다.


 ‘우리에게 [재즈] 는 없다. 그렇다면 [로크] 는? 한국의 [로크뮤직] 은 있었던가? 한국의 [로크] 는 과연 가능할 것인가?’


 대한한국 1호 음악 PD로 불리는 최경식 평론가의 날선 질문이었다. ‘신중현'이라는 이름 값과 <미인>이라는 곡 제목 하나 믿고 음반을 뜯은 나는, 예상치 못한 무거운 질문과 마주하였다. 괜시리 부끄럽고 민망했다. ‘옛 거장들이 이미 했던 고민을 마치 나만의 고민이었던 양 우쭐해 했구나‘ 하고 고개를 숙였다.


 한국의 로크. 신중현의 음악은 늘 한국의 로크 외길이었지만, <신중현과 엽전들 1집> 은 그 중에서도 가장 ‘한국의 로크' 다웠다고 생각한다. 이른바 ‘신중현 사단'을 통해서 보여준 음악들이나 ‘신중현과 뮤직파워’ 때의 곡들도 훌륭하지만, ‘한국'이면서,  ‘로크'이면서, 높은 완성도까지 갖춘 앨범은 단연 이 <신중현과 엽전들 1집>이라 하겠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이 앨범을 듣고 ‘한국적이다’ 느낄 것이기에, 무엇이 이 앨범을 ‘한국의 로크'로 들리게하는지 설명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일 수 있겠다. 그러한 음악적인 분석은 음향 엔지니어이자 음반 콜렉터일 뿐인 나에게는 벅찬 일이기도 하다. 다만 내가 듣기에, 이 앨범이 한국적으로 들리는 결정적인 이유는 우리 말과 우리 정서에 맞게 음악을 바꾸고 맞추겠다는 애티튜드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애티튜드가 있었기에 신중현 그는 블루스의 펜타토닉을 한국인의 혈액 속에 흐르는 5음계로 치환할 수 있었다. <나는 너를 사랑해>에서 ‘해랑사를 너는 나'처럼 거꾸로 된 문장의 상여소리를 내거나, <나는 몰라>에서 연주를 멈추고 익살스런 대화를 나누는 등의 모습도 같은 맥락이다. 처음부터 ‘한국의 것’을 추구하며 구현한 록이기에 ‘한국의 로크'라는 표현이 합당한 것이다.


 되돌아보면, 우리 대중음악의 역사는 곧 미국 대중음악을 받아들여온 역사일지도 모른다. 더 심하게 말하면, 당대의 up-to-date한 미국 음악을, 아무런 필터없이 곧이 곧대로 따라해온 역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같은 행태는 21세기 현재까지도 여전히 이어져오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이미 반세기 전에 <신중현과 엽전들 1집> 같은 앨범이 나왔었다는 건 어쩌면 한국 음악사의 작은 기적은 아니었을까? 우리 음악이 나아가야할 길과 되돌아봐야할 길, 그 오래된 미래가 바로 이 음반 속에 있는 듯 하다.


Release Date August 25, 1974


---

 

    본 음반은 크게 초판본과 재판본으로 나뉘는데, 트랙 구성과 길이는 물론 녹음까지 아예 새로 한 서로 다른 음반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필자가 소장한 앨범은 CD로 나온 재판본이다. 지금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해 두 음반을 모두 들어볼 수 있으니, 리스너로서는 행복하다 하겠다.  

    본문에서 언급한 ‘신중현과 뮤직파워'의 앨범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역시 대단한 명반이지만, <미인> 등 ‘엽전들' 시절 음원이 다시 실린 점과 수록곡들의 질이 균질하지 않아 다소 아쉬움을 남긴다. 그렇지만 뮤직파워 버전의 <아름다운 강산>을 꼭 들어 보기를 권한다.

    최경식 평론가님의 의견과 달리 나는 한국에도 [재즈]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다.  

이전 14화 Check Your Head : 대체 뭐하는 놈들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