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샌델 교수님의 “정의랑 무엇인가”에 보면 비슷한 질문이 나온다. 뉴욕의 지하철이 브레이크가 고장이 나서 한쪽으로 운행하면 1명이 죽고 다른 쪽으로 운행하면 5명이 죽는다면 기관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지금 내 옆에 엄청 덩치 큰 사람을 선로로 밀면 지하철이 먼저 멈추어서 뒤에 있던 인부 다섯 명을 살릴 수 있다면 어쩌겠냐고 물어본다. 첫 번째 질문에는 주저 없이 1명을 희생해야 한다고 대답한 많은 사람들도 두 번째 질문에는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답변할 것이다.
그 이유는 가능한 많은 생명을 구해야 한다는 원칙과 하지만 아무리 명분이 옳다고 하더라도 죄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잘못이라는 두 가지 원칙이 서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어떤 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이렇게 도덕적으로 난처한 입장이 되면 인간은 상황에 따라 무엇이 더 중요하고 무엇이 더 적절한지 스스로의 가치관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게 된다.
인공 지능은 어떨까? 자율 주행 모드로 운전하고 있는 차량 앞으로 갑자기 뛰어 들어온 보행자를 발견했을 때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핸들을 꺾어서 차를 벽에 부딪혀야 하나? 그럼 운전자는?
윤리적으로 보면 예측 가능한 모니터링 범위 밖에 있다가 갑자기 나타난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아무런 잘 못이 없는 운전자를 희생하는 것은 불합리해 보인다. 그렇지만 에어백 등 여러 보호 장치로 둘러 싸여 상대적으로 크게 다칠 위험이 적은 운전자보다 무방비 상태인 보행자를 보호하는 것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 측면에서 보면 더 바람직해 보이기도 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자율 주행 차량의 1차적인 목표는 충돌을 회피하는 것이다. 만약 반대 차선이나 인도에라도 피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핸들을 돌려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사람보다 자율 주행차는 긴박한 순간에도 여러 방향의 정보를 동시에 받아들이고 처리할 수 있으니 갑자기 튀어나오는 사람을 피하려고 뒤나 옆을 확인하지도 않고 핸들을 꺾었다가 2차 사고가 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에 취득했던 수많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늘 계산해 두라고 로직에 넣어 둘 것이다.
그런 회피 경로가 없는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충돌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음 우선순위는 피해를 최소화 화해야 한다. 자동차 충돌의 피해는 속도에 비례하니 최대한 제동 성능이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핸들은 그대로 고정해 주는 것이 좋다. 브레이트를 잡아 차를 멈추는 행위는 타이어와 지면이 얼마나 덜 미끄러지고 밀착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니까. 어설프게 피한다고 급하게 핸들을 조작해 주면 기껏 힘들게 잡았던 타이어와 노면의 관계가 풀어지면서 오히려 차가 더 미끄러지고 자세를 잃은 차량은 더 큰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앞서 말한 회피 구간이 없을 정도로 빽빽하게 가득 찬 도로에서는 더욱더 위험하다.
사고 자체를 미리 예측하고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길을 찾은 것도 중요하겠지만, 누구를 구할 것인가 선택해야 할 순간은 올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 인간 대신 판단할 인공 지능에게 어떤 우선순위를 선택하도록 하게 할지를 정하는 것은 자율주행을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큰 숙제이다. 마치 아이작 아시모프가 로봇의 세 가지 원칙을 정한 것처럼 자율 주행의 원칙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우선순위는 차량을 개발하는 엔지니어 혼자서 정할 수는 없다. 엔지니어는 기술적으로 회피할 수 없는 사고의 범위를 정하고 그때의 예상되는 피해와 현재 시스템에서 가능한 정보들을 정의하고 시스템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지와 예상되는 피해 정도를 예측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런 정보를 바탕으로 법률적으로 윤리적으로 또 경제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이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선택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특히 사람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자율주행 4/5단계가 상용화되면 이런 합의된 내용은 단순한 권고 사안이 아니라 출시 전 인증을 받아야 하는 항목으로 정해져야 하고 이런 논의는 이미 진행 중이다. 지난 AID2020에 발표한 국토부 자료를 보면 정부도 이런 사회적 합의를 제도적으로 찾아가기 위한 협의를 시작했다. 그래야 돈이 들더라도 더 안전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센서를 달고 로직을 고민하고 성능을 향상하는 노력을 기업들이 하도록 강제할 수 있을 테니까. 적어도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자본의 논리가 시장을 지배하지 않도록 자율 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엔지니어들도 사명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제 4 장 새로운 기술들이 차를 더 편하게 만든다.
4-1 더 작지만 더 힘센 터보 엔진 이야기
4-2 스포츠 모드와 에코 모드를 설정하면 차는 어떻게 달라지나?
4-3 운전이 서투른 초보도 기사님들처럼 주행하게 해 주는 기술은 없나?
4-4 위기의 순간 충돌을 막아 주는 ABS 이야기
4-5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우리 삶의 변화들
4-6 자율 주행의 딜레마 - 운전자 보행자 누구를 지킬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