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유나 Oct 24. 2021

MBTI는 제발 그만!

왜 본인 스스로 한정 짓나요?

나의 성격과 행동, 심리를 알려주는 각종 온오프라인 검사들이 많다.

특히 MBTI는 소개팅과 취업시장에서 쓰일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사뭇 진지하게 받아들인다. 그런데 MBTI 검사를 하는 순간의 나는 어떤 페르소나였을까? '보통 대화를 먼저 시작하지 않습니다'라는 질문에 직장, 친구와 지인과의 대화 중 어떤 걸 떠올렸을까? 직장에선 INJP인 사람이 가족에겐 ISTP, 친구와는 ENFP일 수 있다. 이렇듯 알파벳 4글자와 16개의 성격 유형은 우리를 설명하기에 너무 부족하다.






# 아니, 이런 모순이!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카를 융의 성격유형이론을 바탕으로 사람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해 만든 평가책이다. 성격이론은 크게 칼 융이 제시한 유형론(Type Theory)과 4500개가 넘는 성격 특질이 존재한다고 한 올포트의 특질론(Trait Theory)으로 나뉜다.

칼 융은 자아가 갖는 에너지의 방향을 Extrovert(외향적 : 타인과 외적세계)혹은 Introvert(내향적 : 내적과 주관적인 세계)으로 나누고 4가지 심리기능(감각, 직관, 사고, 감정)에 따라 총 8가지의 성격 유형을 제시했다. 그리고 해당 이론에 판단과 인식을 추가하여 16개의 성격유형으로 나눈 성격유형지표가 MBTI다.

성격유형론은 E 혹은 I와 같이 유형의 척도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고, 동일한 유형에서도 벌어지는 개인간의 격차를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실용성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문제를 푸는 사람의 당시 상황이나 감정 상태가 배제되어있고, 언어가 번역되면서 다수의 해석 오류가 발생했다. (예. 간혹 Introvert를 내성적이라 해석하는 문제점)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내가 정말 그런 사람'인지 아니면 '그런 사람이고 싶은지' 헷갈린 채 문제를 풀고, '내가 이런 것 같긴 해'라며 결과에 본인을 끼워 맞춘다. 


MBTI는 수 많은 당신의 모습 중 하나에만 집중하고 그 모습을 마치 당신의 전체 모습처럼 포장시킨다.

짧은 시간에 '너는 이런 유형일 수도 있겠다'라는 제시(could be, suggestion)를 해주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과 호기심으로 접근하는건 괜찮지만, 이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한다면 오히려 고정관념과 편견을 불러일으켜 '내가 ~ 유형이라 그런가 봐'라며 MBTI를 통해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시킨다.

사실 당신은 16개 유형 특성 모두를 갖고 있을텐데 말이다.

우리에겐 정말 다양한 모습이 있죠

최근 방송 프로그램 <유퀴즈>에 김영하 작가가 나와서 MBTI에 대한 회의를 말하면서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남이 생각하는 나의 모습은 다를 수 있으니 다른 사람에게 나에 대한 MBTI를 부탁해보라는 것이다. 본인이 실행한 MBTI와 남이 해준 MBTI의 결과에서 상당히 입체적인 나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고 했는데 정말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우리는 사회 안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감정을 느끼며 성장한다. 나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도 필요하지만, 타인과의 교류를 통해 어쩌면 내가 놓치고 있던 장점과 개선할 점을 알아갈 수도 있다.




# 4500가지의 다양함

특질은 나를 다른 사람과 구분해주는 일관된 심리적 성향이다.

성격특질은 성격유형론보다 정교하고 세분화되었으며 개인의 성격을 유형으로 나누기보다 해당 성격의 특질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양적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개인의 성향을 주 특질, 중심 특질, 이차적 특질로 나뉘는 '개별사례 접근법'을 통해 개인이 갖고있는 특질들이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어떤 독특한 특질을 갖고 있는지 탐구한다.

나다운 것을 형성하는 중심특질은 모든 페르소나에게 공통되지만 이차적 특질은 모두 조금씩 다르다. 곧, 환경과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페르소나가 심리학자 올포트가 말하는 이차적 특질에 의해 구별되는 인격이다. 그래서 우리는 '나다움'을 기준으로 중심특질을 형성하고 각각의 페르소나에게 특수한 이차적 특질을 부여할 것이다.




# 내가 말하는 나

보통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하지만 막상 깊게 생각해보진 않는다.

나에 대해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성찰 대신 다양한 성격검사나 사주, 타로 등을 통해 자신을 알아가려 하지만, 남이 말해주는 내가 아닌 '내가 생각하는 나'에 대해 꼭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 중 첫번째로,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생각해보자. 종이 한 칸에 <내 인생에서 중요한 것>, 그리고 다른 칸에는 <인생에서 중요한 가치>를 적고 각각 3개씩 나열해보자. 그리고 행복, 기쁨, 슬픔과 분노를 기준으로 내가 언제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알아보고, 그 밑에 나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하나씩 적은 후 단점을 극복하고 싶은 이유 또한 생각해보자. 




# 마음이 가는 방향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과 좋은 감정이 드는 것, 즉 취향(마음이 가르키는 방향)이 나를 많은 부분 설명해준다. 아직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다면 길을 걸을 때 어떤 매장에 들어가고 싶은지, 어떤 음식을 주로 찾게 되는지, 사람들과 대화할때 어떤 단어를 주로 사용하는지 생각하며 사소한 취향부터 서서히 나를 알아가보자.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안다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그 모습을 페르소나를 통해 삶에 적용시킬 수 있다. 너무 깊게 '나'를 알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 내가 지금 어떤 사람인지보다 어떤 모습의 내가 되고 싶은지가 더 중요하니까.


자신을 찾는데 모든 시간을 허비하지 마세요.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스스로를 만드는데 더 많은 시간을 쓰세요. Don't spend all of your time trying to 'find' yourself. Spend your time 'creating' yourself into a person. - Sonya Parker  





이전 03화 내 안의 1000개의 페르소나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