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Jan 22. 2019

알아두면 쓸모 있는 평가 용어사전 ③형성평가

형성평가는 새로운 개념 정의와 더불어 교실수업개선의 수단으로 크게 대두되었다.



무엇보다도 학교현장에서는 교사와 학교 관리자 모두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이 아직 197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며, 심지어 상당수의 현장 전문가들까지도 형성평가를 쪽지시험이나 퀴즈로 간주하고 심지어 형성평가 결과를 최종 성적에 반영함으로써 총괄적 목적으로 잘못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김진규, 2000). 더욱더 심각한 것은 형성평가의 새로운 개념 정의와 올바른 활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현장 교사들에게 소개하는 체계적인 연수과정이나 워크숍은 전혀 실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형성평가 왜 중요한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의 중요성을 대비시키는 흥미로운 정원 가꾸기의 비유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Clarke, 2001).     


 만약 우리 아이들을 하나의 식물에 비유한다면, 식물에 대한 총괄평가는 식물을 단순히 측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측정은 비교하고 분석하는 데 관심이 있을 뿐이지만, 총괄평가는 식물의 성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형성평가는 식물에 물을 주고 비료를 주는 정원 가꾸기와 같다. 형성평가는 식물의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무엇보다도 교실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적절하게 잘 활용할 경우에 학생들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형성평가는 다른 어느 집단보다 저성취 학생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형성평가를 통한 학생들의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세 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형성평가 결과에 따라 수업방법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 처음 사용되던 개념이 교사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서 널리 활용되다가,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 중요한 도구로 더욱더 확대 적용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형성평가의 결과는 교사에 의한 외부적 피드백의 형태로 주어지는 것보다는 학생 스스로 내부적 피드백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형성평가의 개념



형성평가란 미국 교육평가 학자인 Scriven이 1967년에 처음 고안한 개념이다. 이를 Bloom이 1969년에 교실 수업에 적용하도록 제안하면서 완전학습이론으로 발전시켜 널리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69년에 완전학습 수업 모형에 대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면서 형성평가 개념을 도입하였고, 1970년에 완전학습 수업모형을 전국 중학교로 확대 실시된 적이 있었으나, 몇 년간 적용되다가 정책적으로 전면 중단되었다(김진규, 2008). 그 이후 학교현장에서 교사들 이 부분적으로 형성평가 방법을 활용하였으나, 이에 대한 뜨거웠던 관심은 차츰 식어버렸다. 


1998년에 런던대학교의 Paul Black과 Dylan Wiliam 교수가 형성평가에 대한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세계 각국의 교육전문가들이 그들의 형성평가 논문을 호의적으로 평가하면서 교실 현장에서 형성평가를 부활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대부분의 교육전문가들은 Black과 Wiliam이 사용한 최신의 연구방법론과 고도의 전문적 판단에 근거하여 교사들이 수업과정에 형성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형성평가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크게 부각됨과 동시에 현장교사들과 학교행정가들도 형성평가를 교실 수업개선을 위한 도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형성평가의 활용 문제는 점차로 교육행정 고위 관료들에게로 점차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미국의 경우 공교육에 가 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조직은 전국 교육감연합회(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CCSSO)이다. CCSSO는 각 주의 교육수장인 교육감을 회원으로 하는 단체이다. 2006년에 CCSSO가 현장에서 학생평가를 보다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형성평가를 다시 강조하는 교육정책을 추진하고자 시도하였다. 마침내 CCSSO는 형성평가에 특별한 관심을 집중하는 새로운 컨소시엄을 결성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로 각 주의 교육부 핵심인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인 ‘평가와 학생 기준에 관한 협력관 협의회’(State Collaborative on Assessment and Student Standards; SCASS)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SCASS 가운데 특히 형성평가 문제를 총괄하는 학생과 교사를 위한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FAST) 전담반을 구성하였다. 기존의 형성평가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의가 너무 어려워서 교사들이 교실에서 형성평가를 쉽게 적용 하기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6년 10월에 오스틴에서 FAST SCASS의 첫 회의를 개최하였고, 25개 주의 대표로 60명이 참석하였다. 그래서 4일간의 회의를 통하여 교사의 입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형성평가에 관한 개념 정의를 확정하였다(김진규, 2010).


- Scriven(1967);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도중에 아직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 유동적인 상태에서 그러한 미완성의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것

- Bloom, Madaus, & Hastings(1971; 1981); 교육과정 구성뿐만 아니라, 수업과 학습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들 세 과정의 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

- McMillan(2004; 2007);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생의 진전 정도를 확인하여 그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을 수정하는 활동  

- FAST SCASS(2006); 수업 중에 교사와 학생들이 의도된 수업성과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피드백을 제공하여 현재 진행 중인 교수학습을 조정하도록 하는 과정(김진규, 2008)




형성평가의 실천 원리


미국교육평가원(Educational Testing Service; ETS)에서 Wiliam교수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교사를 위한 형성평가 연수 프로그램은 바로 학습 정상화 유지(Keeping Learning on Track; KLT)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교사들이 매 수업시간마다 사용하는 형성평가 기법을 학교현장에서 직접 적용하면서 교사 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단위학교에서 현장 적용형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ETS, 2012). 

 KLT 실행 이론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Thompson & Wiliam, 2008).


1대 핵심 아이디어 → 5대 형성평가 전략 → 100가지 형성평가 실제 기법


형성평가의 1대 핵심 아이디어란 교사와 학생들이 학습의 증거를 활용하여 매일 그리고 매분마다 즉각적인 학습요구에 대처하여 교실수업을 조절해나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5대 실천 전략은 


① 학습목표나 기준을 명료화하고 공유하기
② 효과적인 토의, 질문, 그리고 학습 증거를 제시하는 학습과제 동원하기
③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는 피드백 제공하기 
④ 학생을 학습 주도자로 활성화하기
⑤ 학생을 동료학생의 수업 자료 인사로 활성화하기 등이다.


실제로 교실에서 교사들은 5대 실천 전략과 관련된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조정해나간다. 교사들이 실제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성평가 기법은 100여 가지 이상이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iliam & Thompson(2007)은 Ramaprasad(1983)의 교수학습모형의 3가지 핵심과정(학습목표, 학습자 현재 수준, 그리고 목표 달성 방법) 차원을 원용하고, 평가주체인 교사, 동료학생, 그리고 학습자라는 차원 간의 교차하는 5대 형성평가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Black & Wiliam, 2009). 

(이전 글 '학습을 위한 평가(AFL)의 전략'에서 확인)




형성평가의 개념이 변천하는 것과 더불어 교실수업에서 교사들이 형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본원리나 실천전략도 점차 구체화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형성평가의 기본원리와 전략의 공통점은 크게 4가지로 요약된다.


① 명확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것
② 질문, 대화, 토의, 피드백 등과 같은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활용하는 것
③ 자기 평가와 동료평가 기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
④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것    


형성평가 기법은 교사의 선호도와 학생의 수준별로 다르게 적용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얼마나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활용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형성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위 4가지의 실천 전략은 추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다. 



<참고>

김진규(2008). 김교수의 형성평가 이야기. 강현출판사.

Earl, L.(2003). Assessment as learning: Using classroom assessment to maximi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 CA: Corwin Press.

매거진의 이전글 과정 중심 평가, 실행 과정에서부터 엇나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