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또랭 Jul 20. 2020

게리 쿠퍼의 세 마디

 예전 알고 지내던 친구 한 명이 있었는데

이상하게 이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고 나면

기분이 좋지 않았다.

왜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이 친구의 말버릇 때문인 듯 했다.

이 친구는 항상 내 이야기가 끝나고 나면

"그게 아니고~ "로 대화를 시작했다.

그런데 내용을 들어보면

나와는 다른 의견을 말할 때도 있지만

나와 비슷한 의견을 말할 때조차

항상 그 말을 붙였다.

그냥 말버릇이 그랬다.

같은 내용을 말하면서도

'그게 아니고~'를 붙여

자기 식대로 정리를 해서 말하는 것이

습관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나도 사람인지라

일단 부정하고 시작하는 그 말투가

몹시도 마음에 걸렸다.

'결국 우리는 같은 의견이야'라고 결론이 나도

이상하게 기분은 좋지 않았다.

내가 유난스러운가 싶었지만

함께 어울리던 친구들 모두

"그게 아니고~" 뒤에 늘 가르침을 주려는

그 말투에 하나 둘 마음이 떠난 상태였다.

결국 그 친구는 우리와 서서히 멀어져 갔다.







이렇게 겪고 보니 요즘 세대들이

'라떼는 말이야'가 시작되면

뒷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일단 귀를 닫는 것도 이해가 간다.

현재를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언제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회귀하는

그 분들의 첫 문장은

어쩐지 지금을 부정하는 것 같아

썩 기분이 좋지 않다.


결국 대화를 잘 하는 사람의 핵심은

공감 능력에 있다.

아무리 주옥같고 피와 살이 되는 내용을

말하고 있다고 해도

상대방의 말에 먼저 공감해 주지 못하면

그 이야기는 정말

주~옥 같은 이야기만 될 뿐이다.


결국 잘 들어주고

고개를 끄덕여주고

맞장구 쳐주는 것이

대화를 잘하는 첫 번째 방법이다.


얼마 전

'옥탑방의 문제아들'이란 프로그램에서

헐리우드 희대의 바람둥이

게리 쿠퍼의 세 마디에 대한 문제가 나왔다.

게리 쿠퍼는 여자를 유혹할 때

딱 세 마디면 된다고 했단다.


'설마'

'정말?'

'처음 듣는 말이야.'


정말 얼굴빨이 전혀 없었는지

합리적인 의심이 들긴 하지만

그 역시 알고 있었던 것 같다.

그는 말주변이 없는 편이었지만

자기 얘기를 하는 대신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해줌으로써

사람의 마음까지 얻어낸 것이다.


혹시 누군가와 대화하는 게 힘들다면

일단 무언가를 얘기하기 보단

잘 들어줘 보자.

고개 끄덕여주고

게리 쿠퍼 세 마디로 리액션 날려주고

'맞아. 맞아.'만 우선 해보자.


이야기를 마치고 일어날 때

상대방이 오늘 너무 좋은 대화를 나눴다며

고마웠다고 인사를 건넬지도 모른다.

의외로 말 잘하는 사람보다

잘 들어주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서로 말하기 바쁜 요즘 세상에

잘 들어주는 사람이야말로

누구보다 귀한 존재이니

블루오션은 듣는 쪽이다.

이왕 대화 방법을 연구한다면

그쪽을 선택하길 바란다.


희대의 바람둥이까진 못 되어도

한 명의 기억속에

대화하고픈 상대로 남는 것은

꽤 가치가 있다.

나 역시 그런 사람이길 바라며

오늘도 고개를 끄덕여 본다.




p.s

'맞아. 맞아.'에서 핵심은

진심이 담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고개만 끄덕이고 

로봇같이 '맞아, 맞아.'를 뱉는다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

특히 여자친구에게 그랬다간..

어휴. 

이전 12화 어느 파워블로거의 조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