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은 늘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한다고 말한다. 특히 농업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때부터 수확한 농산물로 자연스럽게 술을 빚었다. 그렇다면, 농업이 시작되기 전에는 어떤 술이 있었을까? 서양의 역사에서는 꿀술로 보고 있다. 미드(mead)라고 불리는 꿀 와인이며. 그들의 입장에서는 인류 최초의 술이라고도 이야기한다. 구석기와 신석기를 가르는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수렵에서 농업으로 바뀌는 부분인데, 구석기 시절부터 꿀술이 있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바로 자연 상태의 술이다.
자연속 꿀술이 되는 과정
꿀술이 되는 과정은 간단했다. 곰들이 벌꿀을 섭취하기 위해 벌집을 파 해치고, 벌집에 남아있던 꿀에 빗물이 섞이며 발효가 일어난 것이다. 꿀이 꿀술이 되기 위해서는 빗물과 꿀이 섞이는 것이 무척 중요한데, 이것은 꿀이 너무 당도가 높아서 발효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당도가 35 브릭스 이상이면 발효가 어려운데, 꿀은 60 브릭스 이상이다.
한자를 보면 꿀이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어
꿀밀(蜜)이라는 한자를 봐도 얼마나 꿀이 얼마나 당도가 높은지 알 수 있다. 한자의 구성은 빽빽한 밀(密)에 벌래훼(虫). 벌들이 만든 빽빽한 것이라는 의미다. 결국 너무 빽빽해서 균들이 들어가지 못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래서 꿀은 유통기한이 없다. 부패 및 발효되지 않아 꿀에 인삼 및 허브를 넣어도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다. 빗물로 인해 당도가 낮아진 꿀은 발효되기 좋은 꿀물 형태가 되고, 잘 발효된 꿀술을 수렵인이 발견해서 마셨다는 것이 벌꿀 술의 유래다.
특히 유럽의 후기 신석기시대라고 불리는 '종 비커 문화(Bell-beaker culture - BC2600년~1900년대)' 유적에서는 꿀술을 마신 것으로 보이는 점토로 된 비커(beaker)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또 영국의 원주민 격인 켈트인은 꿀술은 불멸의 음료라고 불렸으며, 장례식에는 시신을 꿀술에 봉인해서 묻기도 했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시인(詩人)에게 멋진 시의 재능을 전수하는 불가사의의 '시의 꿀술'이 등장한다. 현자의 신라고 불린 크바시르가 (Kvasir) 죽임을 당하고 그의 피에 꿀을 넣어 술로 만든 것. 오딘이 책략을 써서 이 술을 가져오고 시인들에게 나눠준 것이다.
영화 토르에서는 안소니 홉킨스가 오딘을 연기했다. 출처 영화 토르
밀월여행의 시작은 허니문
또 신혼여행을 뜻하는 허니문이 이 꿀술에서 왔다는 것도 많이 알려진 이야기다. 고대부터 중세의 유럽에 있어서는 신혼부부에게 밖으로 외출하지 말고 1달간 꿀술을 마시게 해서 다산으로 이어지게 했다. 이러한 것으로 밀봉의 1개월이라는 이라는 이름으로 허니문(Honey Moon)이 탄생했다. 또 아들을 기원한다는 의미에서도 많이 마시기도 했다. 달(mond)이 독일어로 남성 명사인 것을 보면 이러한 유래를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히니문이라는 이름으로 밀월(蜜月)여행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유럽에 아직 와인이 정착하기 고대부터 중세 초기에는 슬라브인과 게르만인 들 사이에서 맥주와 더불어 가장 일반적인 술이기도 했다.
양평의 허니문 와인과 제주도의 제주허니와인. 전체적으로 맛은 달콤하다.
결국 꿀술은 농업이 발달한 남유럽보다는 추운 지방인 북유럽에서 발달한 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맥주에 홉이 들어가기 16세기 전까지만 해도 맥주와 공존한 술이다. 꿀 자체만 있으면 상하지 않았으며, 집에만 보관하면 사시사철 만들기 쉬운 술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 서민보다는 귀족들이 보다 많이 마셨다. 이유는 꿀 자체의 생산량이 보리보다 훨씬 적었기 때문이다. 일반 시민들에게는 군대 및 의례 등에 마시는 정도의 술이었다. 결과적으로 유럽의 꿀술은 맥주에게 그 자치를 내주면서 서서히 존재감을 낮추게 된다. 유럽에서는 폴란드, 리투아니아, 현재 한국에서는 제주도의 제주 허니와인과 양평의 허니 와인 등이 대표적인 꿀술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알약. 메드신(medcine)는 꿀술인 미드(meed)에서 파생된 단어다.
메드신의 어원이 된 꿀술(meed)
흥미로운 부분은 의약품이라고 불리는 메드신(Medicine)이 이 꿀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이 꿀술에 생약 및 향료를 넣은 방식이 많았다. 이렇게 생약 및 허브를 넣은 꿀술을 메세 글린(Metheglin)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메드신(Medicine)이 나왔다는 것이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는 이 허브 꿀술을 애음했다고 전해지며, 꿀 자체의 생산량이 적어서 맥주보다는 귀족들이 마시는 술이었으며. 일반 시민들에게는 군대 및 의례 등에 마시는 정도의 술이었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문화인류학자인 클로드 레위 스트로즈(Claude Lévi-Strauss)는 벌꿀 술의 발명을 "자연에서 문화로의 이행이며, 인간의 행동을 결정짓는 행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에서도 꿀술이 있었다. 꿀물로 발효된 술이기도 했으며. 다양한 술에 꿀을 가미한 것이 많았다. 지금도 한국의 전통주에는 꿀이 많이 들어간다. 조선 3대 명주라고 불리는 감홍로, 이강주 등에 꿀은 꼭 들어가며. 함양의 담솔도 꿀이 들어간다. 다만 이러한 술들은 꿀맛이 많이 나지는 않는다. 목넘김을 부드럽게 해주는 터치감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