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민찬 Sep 10. 2024

나에겐 일은 무엇일까?

나에게 일은 무엇일까?


2018년 경향신문 6월 26일 자 "노동의 첫새벽"(5번째 기획 기사)

이 한 가지 질문에 여러 가지 답들이 기다리고 있을 거다.

한국에 돌아와, 2018년 6월 26일 자(화) 경향신문에 노동의 첫새벽, 다섯 번째 기획 기사로 삼성 경제 연구소에서 발표한 국가별 노동관의 설명이 마음에 와닿았다.

사람은 일 즉 노동 행위를 통해 인생의 삶에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상식적으로 노동을 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삶이 영위가 되지 않는다.

당연히 인간은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는 정당한 노동을 통해 실현되는 것이다. 이왕 할 바에는 내가 좋아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게 더 행복에 가까이 갈 확률이 높다. 

그러나, 돈이 우상이 된 현실은 적성보다는 연봉이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분야로 충분한 고민 및 생각 없이 그쪽으로 몰린다. 나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진정한 성공이 승진 및 억대 연봉은 아닐 거다.


남이 보는 행복은 나의 행복이 아니다.  

이 기사에서 삼성경제연구소에 발표한 국가별 노동관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과 스페인 같은 국가들은 생계수단형으로 돈과 일을 가장 중시하고 만족이나 흥미보다는 경제성을 중시한다.

자아실현형은 대표적인 국가가 미국으로 일의 흥미나 발전 가능성, 관계 만족도를 균형 있게 중시한다.

일본은 우리가 예상했듯이 관계지향형으로 일의 흥미와 사회적 기여는 상대적으로 덜 중시되는 반면에 직장 내 관계와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중요시된다.

마지막으로 프랑스는 보람 중시형으로서, 일의 흥미와 발전 가능성을 중시하고 일본과 반대로 직장에 대한 충성심이나 직장 내 관계들은 상대적으로 적다.


국가마다 일을 하는 관점들이 모두 다르다. 일을 생계유지형으로 생각하는 한국은 노동의 시간과 강도가 커서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삶이 더 피폐해진다. 한국은 근대화가 늦었지만 한국인의 근면함으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중진국에서는 모든 걸 다 이루었다! 그러나 양적인 경제 성장은 끝이 없다. 가장들은 가족을 위해  불철주야로 일한다. 당연히 경제적인 보상도 따라오고 나쁘지 않은 집에서 자식들 교육하고 운 좋게 정년퇴직까지 하고 노후를 즐기며 살 수 있을까? 경주마처럼 일이 우상이 되어  살아온 인생에서 갑자기 영웅이 사라졌다. 


나에게 인생의 의미가 되어 주던 "일"이라는 것이 떠나갔다.

모든 것들이 허무해지면서 건강도 무너진다.

나 자신이 일과 같다는 등식이 성립되지는 않는다.

마음이 공허해지면서 결국 일만 하다가 조용한 중환자실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면 일을 하면서 여가 시간에 취미 생활을 하며 자기 삶을 즐기면 되지 않을까? 우리나라는 일을 많이 한다.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일을 많이 하는 걸 알았다. 물론 두바이에서도 주재하는 한국인들은 우리나라 명절 때도 일을 하고, 주말에도 일을 한다. 또한 시차가 다르므로, 한국이 일하는 시간이 새벽이면 그 시간에도 일을 하고, 심지어 교회에서도 일을 한다. 회사에 한국인이 적기 때문에 한 가지 부서일만 할 수도 없다. 예컨대, 회계 부서 직원으로 인사부와 구매부까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워라밸? 이 기사에서처럼, 일과 삶의 균형은 분리될 때 사용할 수 있는 말인 거 같다. 일과 삶은 철저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노동자에게 필요한 것은 짧은 노동이 아니라, 노동에 집착하지 않게 하는 노동이 좋은 노동이라고 주장한다. 토마스 바셰크의 저서"노동에 대한 새로운 철학"에서 워라밸이라는 말은 노동과 삶이 서로 다른 것이라고 혼란스러운 관념에 있다고 한다. 좋은 삶과 진정한 삶은 노동 바깥에서 이뤄지고 노동을 하지 않을 때만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됐다고 말한다.

이 말에 공감이 된다. 나의 과거 근무 방식을 보면 유목형으로, 특정한 장소가 아닌 집, 자동차, 커피숍, 회사, 거래처 등 공간의 제약 없이 노트북, 전화 등으로 업무를 하였다. 삶과 노동이 혼재되어 있어 혼동스러운 관념 속에서 철저한 자기 관리 및 절제력이 필요했다.




두바이에 있으면서 사막은 지구 온난화로 초록만을 황폐화하지 않는다. 내 가슴까지도 사막이 되고 있었다. 내 마음에 흩뿌리는 새벽이슬의 한 방울도 못 삼키고 풀잎들이 사라지고 있었다. 


이제는 빛의 선율로 절묘하게 뿌려지는 푸른색은 겨울처럼 사라지고, 황토색 모래 땅, 황토색 주택과 황토색 바람을 맞으며, 그나마 작열하는 태양 사이로 파란 하늘을 잠시 바라보다 눈을 감는다. 뜨거운 눈물을 머금은 눈꺼풀은 그들의 무게를 주체하지 못해 와르르 뱉어낸다. 푸른 생물의 시선은 흐려지고 사라지니 청력도 떨어지는 거 같고, 말수도 적어진다. 비 온 뒤의 풀내음은 고사하고, 선인장의 가시가 내 인중을 찌르는 아픔을 감수하고 향기를 맡는다.




한국으로 돌아갈 결심을 하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