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형준 Nov 09. 2019

당신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형준의 모티브 5]


빗자루의 목적은 더러운 쓰레기를 모아 치우는 것이다. 컵의 목적은 물을 마시는 것이다. 연필의 목적은 글을 쓰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인공물은 본연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의 목적, 개인의 목적은 무엇일까? 
 
사람은 목적을 가지고 태어난 존재일까?
목적이라는 단어 자체를 살펴보면, 눈 목(目) 과녁 적(的). 눈으로 보는 과녁. 지향하는 점,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목적이란 처음부터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 보다 '개인이 바라는 바'를 의미한다. 
 
왜 그것이 존재해야 하는지의 의미를 만들어주는 것이 ‘목적'이다.
 


source : archeryguide.net



왜 Why를 아는 것은 ‘설득력’을 높여준다. 작가이자 마케팅 컨설턴트인 사이먼 사이넥 Simon Sinek 은 ‘why’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 자신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을 설득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누군가를 설득할 때 무엇을, 어떻게 What-How 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뛰어난 극소수의 사람들은 ‘왜’를 시작으로, 어떻게, 무엇을Why-How-What 순으로 이야기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퓨터 회사에서는"우리는 최신형 컴퓨터(What)를 가장 뛰어난 부품으로 만들었으니(How) 사라"고 하는 데, ‘왜’부터 이야기하면 달라진다는 것이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는 기존의 현상에 도전하고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을 믿습니다.(Why) 그렇기에 우리는 제품을 아름답게 디자인하며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만듭니다.(How) 방금 훌륭한 컴퓨터를 만들었습니다.(What) 구입하고 싶은가요?”라고 말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왜 그렇게 되었는지 이해가 가야 동조하기 때문에 훨씬 더 설득력이 높다는 것이다. 
 
왜 Why를 아는 것은 ‘행동'을 유발한다. fMRI로 뇌를 찍어보면 ‘어떻게'와‘무엇을’에 해당하는 내용은 뇌의 신피질neocortex에서 담당하고 ‘왜’에 해당하는 부분은 변연계limbic system에서 담당하는데, 이 변연계는 감정과 본능을 처리하는 곳이라 ‘왜’를 이야기 했을 때 더 쉽게 행동을 유발한다고 한다.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삶의 의미를 알고 움직이기 때문에, 본인이 가치가 있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며, 지속적이고 열정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어려운 결정에 있어서도 삶의 중요한 기준, 지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결정도 바르게 해낼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무엇보다 자신의 삶을 일관된 방향으로 만들어주고, 이어 주변 사람에게도 영감을 주고,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나의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
마실 것을 담는 것이 태생적 목적인 컵도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쓰여 지느냐에 따라 연필꽂이가 되기도 하고, 화분이 되기도 하고, 재털이가 되기도 한다. 똑같이 태어나도 목적에 따라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이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으로 할 것인가?
먼저 내 손에 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봐야 한다. 빗자루를 쥐고 있는지, 컵을 쥐고 있는지, 연필을 쥐고 있는지. 가지고 있는 것에 따라 어떻게 쓰여질 수 있는지 목적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이 뭔가를 치우는 것이라면 자신의 일에 있어서 무언가를 정리하거나, '정리된 삶을 사는 것'이 목적이 될 수 있다. '누군가에게 물 주듯 도와서 성장시키는 것'이 목적이 될 수도 있고, 연필을 쥐고 있다고 느껴진다면 '아름다운 작품으로 사람들에게 행복감을 주는 것'이 목적이 될 수도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생의 목적을 ‘행복’이라하고, 앞서 소개한 사이넥은 자신의 목적을 ‘사람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어 일을 신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한다.
 
본인이 가진 것이 너무 비루하다고 느껴질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가지고 있는 것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가치는 달라진다. 마르셀 뒤샹은 흔하디 흔한 변기를 가져다 자신의 사인을 하고 ‘샘 Fountain’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는 레디메이드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한 현대미술의 시작이라 불려진다. 변기도 어떻게 보느냐, 쓰이느냐에 따라 예술이 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목적은 지금의 나가 아니라, 내 눈이 바라보는 지향점이다. 당신이 바라보는 지향점, 당신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source: massappeal.com






이전 12화 하늘의 별도 따는 방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