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자 가족의 마음 : 동반의존
알코올중독 가족은 우선 중독은 질병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알코올중독이 단지 습관이나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인 질병임을 철저히 받아들여야 한다. 이것은 병이고 치료를 받아야 하는 문제이다. 이것을 이해할 때 중독자에게 화를 내지 않을 수 있다. 질병의 증상이기 때문에 그도 어쩌지 못하는 것이다.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봄철에 재채기를 하고 콧물을 흘릴 때 ”왜 당신은 자꾸 재채기를 하고 코를 풀어요? 더러워서 참을 수가 없네요. 좀 참아보세요. 노력을 해야 할 거 아니에요? “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가? 그는 알레르기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그가 하는 말은 엉뚱한 이야기이다. 아직 그는 중독자가 아니라 자신도 도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알코올중독자가 어떻게 마시든, 철석 같은 다짐과 맹세를 깨고 또 마시든 그것은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병임을 알아야 한다. 그를 나무라도 달라질 것은 없다. 엉뚱한 데 힘을 빼지 않으려면 중독자가 처한 상황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중독은 분명히 질병이다.
알코올중독은 ‘본정신’을 잃게 하는 병이다. 중독은 사람의 ‘본정신’을 떠나 ‘미친 정신’ 상태에 이르게 만든다. 본정신은 조화롭고 규칙적이며 평온하고 상식적이다. 미친 정신은 그렇지 않다. 질서와 조화가 없고 마구 폭주한다. 조화와 균형이 깨지고 걷잡을 수 없는 충동이 날뛰는 상태이다. 자연의 순리가 아닌 욕망이 날뛰는 상태가 미친 정신 상태이다. 중독자의 문제는 이 미친 정신 상태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인 내용을 모르더라도 어떤 중독자의 가족은 이 미친 정신에 대해 먼저 겪었을 수 있다. 술을 찾을 때, 술을 마시려 할 때, 술에 취한 후 더 많은 술을 원할 때 중독자의 얼굴표정과 눈빛은 미친 정신 상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는 평소의 눈빛과는 다르다. 마치 어떤 낯선 혼이 그의 육체의 껍데기를 장악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가 하는 행동, 전혀 정상인이라고는 볼 수 없는 도깨비 같은 행동은 그가 정말 미친 정신 상태라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해 준다. 이제 중독자 가족은 중독자가 병에 걸렸고 그 병이 심각하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게 된다.
알코올중독이 병임을 알게 되면 그다음 중독자 가족은 중독자를 치료하기 위해 노력한다. 검사를 받게 하고 병원에 데려가게 하고 알코올 클리닉이나 중독센터를 찾기도 한다. 알코올 전문병원에 데리고 가서 입원을 시키기도 한다. 이것으로 중독의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중독이란 그리 단순한 질병이 아니다. 이 중독의 치료는 현대의학으로는 매우 어렵고 완치율이 높지 않다. 수많은 의사와 학자가 이 중독을 치료해 보고자 하나 현실적으로 많은 환자들이 회복에 성공하지 못했다. 어쩌면 영성적인 접근만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이기도 한다.
중독자의 가족은 중독이 매우 고치기 어려운 ‘난치병’ 임을 이해해야 한다. 감기처럼 며칠 약 먹고 쉬면 딱 낫는 병이 아니다. 당뇨나 고혈압처럼 한번 발병하면 평생 유병자로 살면서 꾸준히 관리해야 하는 질병에 가깝다. 수십 년째 단주를 하는 사람들도 가끔 음주 충동을 느낀다고 한다. 실제로 10년 이상 단주를 하다가도 재발해서 다시 심각한 중독상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알코올중독은 질병이라는 사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중독이 질병이듯이 중독자 가족의 동반의존 현상 또한 질병으로 이해해야 한다. 처음에는 억울하고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이 사실이 매우 중요하다. 중독자는 중독을 치료해야 하고 가족은 동반의존을 치료해야 한다. 왜냐하면 중독자의 중독의 문제가 사라져도 가족의 동반의존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가끔 중독자인 남편이 알코올중독으로 사망한 경우가 있다. 혹은 남편과 이혼한 아내도 있다. 이렇게 중독자와 헤어졌거나 현재는 중독자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경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상대방의 중독만이 문제였다면 이렇게 중독자와 헤어진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많은 중독자 가족은 여전히 괴로워하며 후회하고 자책하며 불안 초조해하며 원한을 가지고 세상을 향해 날이 서 있다. 피해의식이 있고 사람들의 눈치를 보며 인정받으려고 기대하고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좌절한다. 주위사람들에게 희생을 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입증받으려고 한다. 다른 사람을 자신의 뜻대로 조종하고 통제하려고 노력하고 뜻대로 되지 않으면 괴로워한다.
타인에게서 행복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 본인은 공허하고 내면이 텅 비어 있다.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고 종종 우울과 무기력에 빠진다. 중독자가 없어져도 중독자 가족은 여전히 이런 모습으로 살고 행복하지가 않다.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동반의존의 실체를 정확히 보고 벗어나려고 할 때 가족의 회복이 시작된다. 어떤 가정은 중독자의 가족이 먼저 회복을 시작하기도 한다. 중독자든 가족이든 각자 회복의 과정을 밟는 것이 중요한다. 회복은 각자 해나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