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요새 내가 꽂힌 음식들

음식에 관한 단상들

by 기차는 달려가고 Feb 04. 2024

올해 하고 싶은 일 중에 사찰음식을 연습하는 게 있었다.

아직은 잘 지키고 있음.

사찰음식이라 해서 재료나 조리 방법이 특별한 건 아니다.

흔히 사찰음식은 채식이 특징이라고 여기는데

어느 스님 말씀하시길 채식보다는 오신채를 쓰지 않는 점에 방점이 있다신다.

경우에 따라 채식- 건강 문제라든지 또 다른 나라 불가에서는 채식이 계율이 아니기도 하다-을 벗어나기도 하므로.

다만 현대 우리 음식에서 많이 줄어든 전통적인 식재료를 주로 사용한다는 점과

정성스럽다는 점이 내게는 크게 보였다.



올 겨울 연근을 종종 먹고 있다.

우리 어머니는 오미자를 넣어 불그스레한 연근 피클과 담담한 맛이 특징인 연근전을 잘 만드셨는데,

내가 살림을 도맡은 뒤에 괜히 연근이 어려운 기분이라,

연근 음식을 거의 만들지 않았다.

-손질하는데 품이 많이 들기는 하다.

사찰음식에 연근은 매우 자주 등장하는 식재료여서 

연근으로 만드는 음식 가짓수가 여러 개인데.

나는 요즘 연근을 기름에 굽거나 들깻가루 넣은 샐러드를 해서 아주 잘 먹고 있다.

담백하니 맛있음.


또 김전이라는 걸 배웠는데 재료도 간단하고 만들기도 쉽다.

김가루와 찹쌀가루, 딱 두 가지.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반죽해서 기름 넣은 팬에 한 숟가락씩 떠내 지지기만 하면 된다.

질지 않고 되직하게 재료의 비율을 맞추는 게 관건.

고소하고 쫄깃쫄깃 맛있어요.

스님은 반죽에 소금과 후춧가루를 넣으라 하셨는데,

내 입맛에는 김가루의 짭짤한 간만으로도 충분했다.

원래 차전을 좋아해서 찹쌀가루를 지져서 꿀 뿌려먹었는데

요즘은 김전만 해 먹음.

간식으로 좋고,

반찬으로 먹을 때는 일인당 두어 개를 넘지 않도록.

몇 개 집어먹으면 금세 배가 부르다.

참, 사찰에서는 김전 위에 밤 채로 모양내는데

집에서 먹을 때야 뭐~



나이 들어서 더 그런지 원래부터 좋아했던 담백한 맛이 더, 더 좋다.

우리나라 사찰음식은 예전에 우리 조상들이 먹던 음식일 테고.

음식이 참 순하고 착하다, 는 느낌.


사찰음식 배우러 다니겠다고 생각한 지는 오래인데

시간 맞춰 나가는 게 부담이라 미루고 미루던 중.

만능박사 유튜브로 배우고 있어요.

편리함.

매거진의 이전글 손쉽게 차려먹은 아침밥, 53편, 건강하자!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