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 향기 Mar 14. 2024

부모가 죄인이라서

오래만에 글을 쓴다.

신학기가 시작되고 새로운 아이들, 보호자들에게 적응하느라 마음의 여유가 없기도 했지만 일상이 온통 잿빛이라 글 쓸 엄두는 내지 못했다.

글은 유채색이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일종의 강박이 있다. 그렇다고 유채색 글을 쓸 능력도 유채색 글의 소재도 별로 없다. 무채색 글을 쓸지라도 유채색 결론이 나야 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어서 브런치에 글을 쓰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무채색 글은 일기장에나 쓰지, 글을 읽고 얻을 게 없다면 그게 글인가? 글을 읽고 사유할 게 없다면 그게 글인가?라는 생각이 많다. 나만의 생각이니 다른 사람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생각에 의해 행동하고 지배되는 삶이니 쉽사리 글 쓸 엄두는 내지 못했다.

하지만 오늘 컴퓨터 앞에 앉았다.

브런치 작가 김소연님의 사랑받을 자격이라는 책을 어제 잠깐 읽었다. 무채색 일상을 담담하게 풀어내는 걸 보면서 약간은 용기를 얻었다고나 할까?

다른 측면은 답답해서 터질 것 같은 일상을 조금은 익명성이 담보된 글쓰기 플랫폼에 주절거리며 털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신학기가 시작되었고 우리집엔 성인이 두 명뿐인데도 불구하고, 하루 종일 집에서 나오지 않는 성인 아닌 사람이 한 명 있다.

방학 기간 동안 여행도 갔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 마음이 좀 편안했던 건지 그나마 밝은 모습을 보이던 미성년이었다. 개학 3주를 앞두고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신학기 교육과정 만들기 주간 때문에 바빠진 엄마의 틈을 노린 건지, 엄마라는 사람이 마음을 푹 놓아버려서인지 불가피한 충돌이 일어났고 그 후 4주간을 지옥 같은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 앞에서 부모는 죄인이다. 

대 보호자, 대 학생 서비스를 잘해야 되는 일을 하고 있다.

신학기 첫 주에 아무 것도 아닌 일로 밤마다 전화를 해대고 문자를 넣고 수업 중에도 전화를 넣는 부모에게 시달렸다. 내키지 않는 마음으로 부재중 전화에 응답을 하면서도 언제 그랬냐는 듯 목소리톤을 바꿔 통화하고 있다. 솔 이하의 저음이 평상톤인 내가 솔 이상의 톤을 내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공감해 주고 약간은 미안해 하는 늬앙스로 대화를 나눠야 한다. 조금은 연기자가 된다.

이렇게 대 보호자 서비스는 그동안의 단련으로 그럭저럭 잘해가고 있다.


미성년 앞에서 보호자를 대하는 서비스 정신을 발휘할 수 없는가 하는 생각을 문득 문득 한다. 연기라도 좀 하면 안되나?

그랬다면 미성년이 조금은 달라졌을까? 하는 쓸데없는 후회를 하고 있다.

후회, 후회, 지난 10년은 후회 뿐이다.

이제 더 이상 후회하지 않기로 늘 마음 먹고 있다.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일 뿐 후회한다고 지금 일상이 달라지지 않는다. 그동안 후회는 정말 많이 했다. 이렇게 했더라면, 난 왜 이렇게 하지 못했을까? 이렇게 했으면 이렇게 됐을 거야. 

결국 결과론적인 이야기일 뿐이다.

후회하면서 내리는 결론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이제 지나간 일은 분석하지 않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다. 그냥 앞만 보고 갈 뿐이다. 우리는 지나간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다지만 지나간 일들에서 나는 전혀 교훈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저 눈물 흘리고 후회할 뿐이다.

그리고 나는 너무나도 너무나도 대역죄인이 되어간다.

그럴 바엔 생각하지 않는 게 더 나은 선택이다.

그냥 앞만 보고 하루 하루 사는 게 더 나은 선택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