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파씨바 Feb 02. 2021

[히든트랙] 미뉴에트(Minuet) by 故 유재하

암울했던 시대에 천재 뮤지션이 들려준 클래식 창작곡

건전가요를 아시나요? 


"카세트테이프"나 "LP"를 사서 "속지"를 보면 "B면" 맨 마지막 곡에 "건전가요"가 여지없이  있었다.


어쩌면 요즘 분들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외계어 같은 말일 수도 있을 듯 하나,

사실 이 표현은 불과 30년전 정도 전 대한민국에서 모두가 이해가 가능했던 표현이다.





* 건전가요: 위키

건전가요는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장르 가운데 하나이다.

제4공화국, 제5공화국 때 썼으며, 당시 발표되었던 대중가요 음반 말미 끝 트랙에는 이 장르의 곡을 반드시 넣어야 했다. 노래의 내용은 건전하고 밝지만 이들 내용의 실질적인 공통점은 특정 정권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었다는 것이다. 이 장르의 경우 1988년 직선제가 시행되고 제6공화국이 출범됨과 동시에 더 이상 의무적으로 실리지 않게 되었다.




의무적으로 실어야 했던 만큼,

보통 찍어낸 기성품 같은 "시장에 가면"이나 "아 대한민국" 등을 성의 없게 싣는 경우가 많았고,

그만큼 리스너의 입장으로는

내 가수의 소중한 앨범의 일부 지분을 차지해버린 "건전가요"가 웬만큼 성가시고 짜증 나는 게 아니었던 것 같다.


상상해보라.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목소리가 듣고싶어 없는 용돈을 모으고 모아 산 앨범이 얼마나 소중했을까. 한곡 한곡 얼마나 소중했을까. 그런 마음 앨범을 쭉 취해 듣다가, 갑자기 초등(나때는 국민)학교 절의 국민체조나  군대시절 도수체조 때 들려지던 음악과 비슷한 스타일의 반주가 쿵짝쿵짝 나을 때의 그 느낌.


그야말로 맥빠지는 경험이며, 요즘 말로 "갑분싸" 정도의 느낌이었던 것이다.

 

특히나, 카세트테이프로 앨범을 듣는 경우,

B면 맨 마지막곡인 건전가요를 스킵하고 싶으나,

스킵해서 A면으로 돌리면 건전가요의 길이만큼은 돌려진 상태로 A면을 듣게 되는 것이니 A면 첫 번째 곡의 코러스나 간주 정도 되는 부분부터 들을 수 있었고,

(보통 A면 첫 번째 곡은 타이틀 곡인 경우가 많아, 어느 부분도 놓칠 수 없었다.)   

그렇다고 FF 버튼으로 카세트테이프의 맨 마지막까지 돌려서 듣기에도 하루 종일 버텨줘야 하는 "워크맨" 배터리 때문에 쉽지 않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이놈의 "건전가요" 때문에 생겼던 것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억지로 "건전가요"를 들으며 의도한 대로 "홍보"나 "세뇌"되어지거나,

형광펜이나 볼펜을 카세트에 끼워 뺑뺑 끝까지 돌려 듣거나,

이렇게 두 가지 선택지밖에 없었던 것이다.


보통 앨범 한 면에 대략 20분 정도의 길이로 기억되는데,

그중 1-2분 내외의 곡들이 대부분이었던 건전가요로 이런 난감한 상황을 겪게 되니,

"건전가요"가 더더욱 싫게, 또 밉게 느껴졌던 것 같다.



건전가요도 때론 좋아요.

 

그런 반면, 건전가요 마저 듣고 싶게 만드는 그런 앨범도 있었다.


나름 가수가 정성껏 불러 건전가요조차 앨범을 차지하는 당당한 한곡으로 느끼게 해주는 그런 앨범,

너무 오래전 기억이라 가물가물하지만,

이문세 님의 "어허야 둥기둥기"는 확실하게 기억이 난다.

노래가 썩 내 마음에 든 것은 아니나,

이문세 님의 감미로운 목소리로 불리워진 건전가요는 굳이 스킵까지는 안 해도 되는 곡으로 생각되어 그냥 들었던 것 같다.


들국화에서 많은 곡들을 작곡했던 최성원 님의 1집("이별이란 없는 거야"라는 곡과 많이 리메이크되었던 "제주도 푸른 밤"이 실렸던)에는

"우리의 소원"이 건전가요로 들어가 있는데,

들국화 멤버들이 모두 참여한 곡으로,

지금 들어도 벅차고 감동인 높은 퀄리티의 곡으로 생각된다.

(이 곡이 빠졌더라면 아쉽게 느껴졌을 정도로)


오늘 소개할 곡은

"건전가요"는 아니나,

내게는 뭔가 "건전가요"에 대한 도전, 혹은 반항을 하는 것으로 느껴지는 곡이다.




Minuet by 故 유재하

https://youtu.be/jtjtLnp6uyY


건전가요는 아니나, 건전가요와 대칭되는 의미로 실렸던 것처럼 느껴지는,

故 유재하 님의 1집 A면 맨 마지막 곡이었던 연주곡 Minuet를 오늘 소개해 보려 한다.

(유재하 1집에는 "경음악"으로 표기되어 있었던 것 같다.)


가사가 없는 클래식 연주곡으로,  

클래식 작곡을 전공한  故 유재하 님의 면모가 그대로 느껴지는 곡으로,

 故 유재하 님은 앨범의 다른 곡들에서처럼 작곡, 편곡까지 참여했고,

이 당시의(아니, 지금까지도) 가요 앨범에서는 듣기 쉽지 않은 클래식 창작 연주곡을 스트링 연주자들과 함께 만들어낸 것이다.  


참고로 "가장 좋아하는 뮤지션"으로 고 유재하 님을 주저 없이 꼽는 나는 유재하 1집에서 좋아하는 곡들이 한곡씩 순차적으로(지난 날 > 우리들의 사랑 > 내 마음에 비친 내모습 > 사랑하기 때문에 > 그대 내품에 > 우울한 편지 등으로) 바뀌었는데,

미뉴에트도 당당히 상위 순위를 차지할 정도로 한참 동안을, 아니 지금도 좋아하는 곡이다.


진짜 의도는 어떤지 모르겠으나,

그리고 나만의 오해이자 착각일 수 있으나,

난 이 곡을 "건전가요"에 대한 고 유재하님의 도전과 반항으로 느낄 때가 많다.

(비슷하게, 윤상님과 고 신해철님의 프로젝트 그룹 "노땐스"의 앨범에는 "시장에 가면"이라는 건전가요가 실려있으나, 이 곡의 길이는 00:00초로 사실상 없는 Fake 곡이다.)


반대 방식으로 보여준

대칭의 형태로 보여준...


유재하 1집의 B면 마지막 곡은 다른 가수들의 앨범처럼 "정화의 노래"라는 기성품 건전가요가 들어가 있고,

정확히 그 반대 위치인 A면 마지막 곡에는 이 미뉴에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홍보"를 목적으로 쓰여진 가사를 가진 "건전가요"와 달리,

이 곡은 "가사 한줄 없는" 순수한 연주곡이었으며,

"세뇌", "각인" 등의 목적으로 싸구려 악기와 쉬운 멜로디로 쓰여진 "건전가요"와 달리,  

아름답고 멋진 클래식 선율을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3중주로 들려준다.  


故 유재하 님은 건전가요를 의무적으로 실어야 하는 시대에 건전가요는 따로 싣되,

이런 암울한 시대에 대한 도전과 반항 의식을

클래식의 아름다운 선율과,

가사 없는 곡으로,

무언의 반항처럼 보여주었던 것이 아닐까?


가장 현명한 방식으로.

가장 묵직한 방법으로.


 故 유재하 님이 그리운 오늘,

오늘 밤 오래 묵혀두었던 유재하 님의 "LP"를 꺼내,

한곡씩 한곡씩 들어보려 한다.


"A면" 맨 마지막 곡이었던 미뉴에트도 역시.  




이전 05화 [히든트랙] 엄마 by 강아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