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세량 Feb 27. 2019

남들보다 느려도 괜찮아.

결과의 행복과 과정의 행복. 

우린 경쟁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특히 한국은 경쟁을 통해 많은 성장을 이뤄냈다. 흔히 말하는 '빨리빨리 문화'가 없었다면 한국은 이런 선진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경쟁사회에서 남들과의 비교는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남보다 내가 얼마나 앞서 있는가'가 성공의 척도가 되니까. 하지만 뭐든 심해지면 문제가 되는 법이다. 


'빨리'는 '더 빨리'가 되고 남과 나의 비교는 점점 더 심해졌다.


거기다 이제는 아무리 열심히 빠르게 달려도 따라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빨리빨리'는 모두가 같은 선상에 있을 때, 최소한 빨리 달리면 앞에 있는 사람을 추월할 수 있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다. 지금 한국 사회는 그렇지 않다. 앞서 있는 사람은 더 앞서 가고 아예 출발선상이 다르면 추월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기에 우린 불행해지고 불안해진다.


남과 달리 자신은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 여유롭게 힐링하는 사람을 보며 느끼는 회의감, 거기다 남에 비해 조금만 뒤쳐져도 달라지는 타인의 시선까지... 

아무리 빨리 달려도 앞서 가는 사람과 격차는 그대로인데 사회는 빨리 달릴 것을 요구한다.


'남이 할 때 해야 한다.' 

'모두 이때쯤 하니 너도 해야 한다.' 

'남들이 다 할 때 너는 뭐하냐?"


그런 기준은 누가 만든 것일까? 왜 우리를 서로 경쟁시키지 못해, 달리게 하지 못해 안달인 걸까? 애초에 이런 기준은 시대에 따라,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법인데 말이다.


시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조금 느려도, 걷다가 쉬더라도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 '행복한가'가 중요하다. 미친 듯이 달려 빠르게 도착했다고 한들 걸어온 길이 불행이라면 그것이 무슨 소용일까? 


5년 만에 도착한 사람이 10년 만에 도착한 사람보다 더 행복하리란 보장은 없다. 더 성공한 것도 아니다. 


빠르게 가는 것보다는 꾸준히 가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과정 속에서 행복을 느낀 사람이 더 꾸준히 걸을 수 있다.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힘을 낼 수 있다. 


이제 결과의 행복만큼이나 그 과정에서 놓칠지 모를 작은 행복들도 챙길 때다.


조금 더디더라도 괜찮다. 조금 쉬어가도 괜찮다. 남들보다 늦는다고 패배자가 되는 건 아니다. 


남과 관계없이 나의 페이스를 유지하며 가끔 쉬어가며 그렇게 걸어가면 되는 거다. 


이전 03화 처음으로 느낀 삶의 고단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