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hesun Jul 11. 2019

16. 임신성 당뇨

임당 검사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란 임신 전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당뇨가 임신 중기 이후 발견되는 당뇨를 말한다. 즉, 임신으로 인한 나타나는 당뇨를 뜻한다. 


원인은 임신 중에 분비되는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해 발생되는 인슐린 저항성 때문이다. 출산 후에는 일반적으로 임신성 당뇨가 사라진다. 일반적으로 임신성 당뇨를 확인하고 나면 다음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 출산 후에도 생활 습관 등에 따라 당뇨가 발생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첨부



임신성 당뇨는 태아의 성장을 촉진시켜 거대아(4.5kg 이상)가 될 수 있으며 신생아 저혈당과 저칼슘혈증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등 합병증이 생길 확률이 증가한다. 이후 초등학교 때부터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고, 사춘기에 대사증후군이 생길 확률이 일반 산모에 비해 높다.


임산부의 경우 양수과다증, 요로감염, 임신 중독증 등으로 인해 조산의 위험이 높다. 분만 시에도 태아가 거대아라면 난산이 될 수 있다. 출산 이후에도 내당능 장애 또는 제2형 당뇨병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다. 




임당 검사



임당 검사 즉, 임신성 당뇨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임당 검사는 24~28주 사이에 많이 진행하며 2시간 75g 경구포도당 부하검사를 시행한다. 대체적으로 5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임신성 당뇨를 선별하는데 검사를 하기 2시간 전부터 금식, 1시간 전에 검사 시약을 먹고 난 후 정확히 1시간 뒤에 채혈을 한다. 임당 검사의 결과는 당일에 확인이 가능하며 병원에 따라서 일반적인 혈당검사로 진행하는 경우와 채혈을 하여 혈액의 당 수치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140 mg/dL 이상 시 2차 확진 검사를 시행한다.


2차 확진 검사를 시행할 경우 100g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며, 8시간 금식 후 다음 날 아침 공복 혈당 채혈하고 검사 시약을 먹은 후 1시간 간격으로 3회 채혈하여 혈액수치를 확인한다. 공복혈당 95mg/dL이상, 1시간 180mg/dL이상, 2시간 155mg/dL이상, 3시간 140mg/dL이상 중 2개 이상 양성일 경우 임신성 당뇨로 진단한다.








임신성 당뇨 관리



자가 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을 조절한다. 자가 혈당은 아침 식사 전, 아침 및 점심 및 저녁 식후 1~2시간, 잠자기 전에 측정하며 저혈당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식단 관리를 실시한다. 균형 잡힌 식단은 정상적인 혈당 유지뿐 아니라 케톤산증 예방, 적절한 체중 증가, 태아와 임산부에게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산모의 체중에 따라 식단의 칼로리를 정해 식단을 유지한다. 이때 식단 일지를 쓰면 식습관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간식을 먹는 횟수를 줄이고 섬유소의 섭취를 늘리기 위해 채소, 해조류 등을 매끼마다 충분히 섭취하고 주스나 간식보다는 생채소나 생과일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 


운동을 통해 혈당뿐 아니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체중을 조절한다. 운동은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을 하며 아랫배가 단단해지거나 자궁수축이 느껴진다면 휴식을 취해야 한다. 과도한 운동은 조기진통으로 조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당뇨로 인해 처음부터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외에도 약물치료를 하는데 식이요법과 운동으로도 혈당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약물을 사용한다. 약물치료 중 인슐린과 경구혈당강하제 모두 혈당 조절 효과는 비슷하지만 인슐린이 태반을 통과하지 않고 혈당조절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슐린을 첫 번째 약물 요법으로 사용한다. 




저혈당 관리



저혈당은 태아에게 해는 끼치지 않지만 임산부에게 불편감을 주고 심한 경우 위험할 수 있다. 임신 중 저혈당은 혈당이 60mg/dL 이하인 경우이다.


저혈당인 경우 공복감, 떨림, 식은땀, 두근거림, 불안함, 어지러움, 창백함 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기절 혹은 쇼크가 올 수 있다. 저혈당이 확인되면 즉시 당질 15~20g을 섭취한 후 혈당을 측정하여 만일 혈당이 60mg/dL이하라면 15g의 당질을 더 섭취한다. 저혈당 조절 후 혈당을 80~120mg/dL 범위로 유지한다. 





이전 15화 15. 임신 중 운동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