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병태 Oct 24. 2020

[인사이트] ‘관점을 바꿔야’ 다르게 보인다

누구든 철학 책 몇 권 읽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철학 책을 읽다 보면 역사와 내용이 너무 방대하다고 생각한 적 없는가? 철학은 고대철학에서 현대 철학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사는 동안 궁금했던 것이나 고민 또는 진리를 찾아 고뇌한 학문이기 때문에 그 역사가 방대할 뿐만 아니라, 정치, 예술, 사회, 과학 등 범위도 매우 넓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어렵다. 


그런데 철학을 역사나 내용으로 보는 방법 말고 방법적으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철학이 계산하는 것인지? 다르게 생각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험하는 것인지? 의 방법을 생각해 보는 방법 말이다. 포스텍 석좌교수인 이진우 교수는 [의심의 철학][1]에서 철학이란,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학문이라고 주장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정치, 경제, 문화, 사람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것에 의심을 품고 질문을 하는 것이 철학이라고 했다.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바르게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이 의심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심을 품고 질문을 해야 발전할 수 있다. 심지어 발전이나 진보의 개념이 아닌, 질문이 없다면 우리 스스로를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그냥 현실에 순응하고, 현실에 대해 아무런 질문도 던지지 않는다면, 어쩌면 우리는 짐승과 차이가 없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의심은 철학만이 아니라 모든 분야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철의 여인'이라 불렸던 체코 출신의 미국 테니스 선수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Martina Navratilova, 1956년 10월 18일 ~)[2]는 1970년대와 80년대 전 세계 랭킹 1위의 전설적인 프로 테니스 선수였다. 그녀는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18회, 복식에서 31회(역대 최다 기록), 그리고 혼합복식에서 10회 우승하는 등 초인적인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최고의 테니스 선수였다. 윔블던 단식 결승에는 총 12회 진출하였으며, 9회 우승하였다. 이런 그녀에 대해 12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과 16개의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 그리고 11개의 그랜드 슬램 혼합복식 타이틀을 차지했던 또 한 명의 전설적인 여자 테니스 선수인 빌리진 킹(Billie Jean King, 1943년 11월 22일~ )[3]은 "나브라틸로바는 단식, 복식 그리고 혼합복식까지 모든 종류의 테니스 경기에서 지금까지 생존했던 선수들 중 가장 뛰어난 선수였다"라고 평가할 정도였다. 


그런 나브라틸로바 선수에게도 힘든 고비가 찾아왔다. 바로 크리스 애버트(Christine Marie Evert)

[4]에게 1위를 내줬을 때라고 한다. 크리스 애버트는 1970년대 중후반을 지배하고 70년대 후반부터 나브라틸로바와의 치열한 라이벌전을 펼치며 총 18개의 그랜드 슬램 여자 단식을 우승한 통산 89.96%의 승률(1309승 146패)의 여자 테니스 계 전설 중 한 명인 미국 테니스 선수이다.


나브라틸로바는 크리스 에버트에게 1위를 내주었을 때 그동안 그녀가 해 왔던 모든 훈련을 점검하고 의심하고 질문했다. 그리고 깨달았다. 그녀는 타고난 재능과 정형화된 훈련을 반복해 왔고, 그것은 전부 상대에게 파악되었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이후 그녀는 모든 것을 다 바꾸었다. 테니스 선수지만 발놀림을 더 가볍게 하기 위해 농구선수처럼 훈련하고, 보디빌더처럼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등 전혀 다른 훈련 방법을 적용했다. 이런 그녀에 대하여 동료들도 언론도 좋지 않은 반응을 보인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나브라틸로바는 이제 끝났다고…… 그러나 그녀는 보란 듯이 재기하였다. 변형된 훈련을 시작하기 전 크리스 에버트와의 전적이 4:21이었는데 그녀가 은퇴할 때 전적은 오히려 43:37로 역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녀의 성공은 “테니스 훈련만으로 테니스 최고가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 것 때문이다. 


나브라틸로바의 경우뿐만 아니라 비즈니스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해오던 것에 의심을 품고 질문을 던져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꿀 때 비즈니스는 성공할 수 있다. 임파서블 푸드(Impossible food)는 비욘드 미트(Beyond Meat)와 더불어 환경에 대한 우려와 건강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식물성 재료로 만든 대체육(가짜 고기) 분야의 대표적인 회사이다. 


임파서블 푸드는 “고기를 먹기 위해 꼭 고기가 있어야 하나?”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육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임파서블 푸드가 이런 연구를 하기 전에 이미 콩을 갈아 글루텐으로 굳히는 방식의 콩고기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감과 맛이 고기에 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새롭게 접근을 한 것이다. “ 고기를 고기답게 맛있게 만드는 것이 뭐지?”라는 의심을 품고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다.  그리고 헴(heme. 헤모글로빈)이 고기를 붉게 하고 맛과 향에도 관여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식물의 뿌리에도 존재하는 헴(heme. 헤모글로빈)을 이용하여 실제 고기 맛을 내고 식감이 좋은 대체육을 만들어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에 고기 없는 패티가 들어간 햄버거를 출시함으로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것에 대한 의심과 질문 그리고 꾸준한 연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독일 함부르크에 본사를 둔 화장품, 향수, 향료, 식‧음료, 의약품 및 기능식품 원료 업체 심라이즈(Symrise AG)는 2019년 IBM과 함께 인공지능(AI향수를 만들기 위하여 인공지능 조향사인 필리라(philyra)를 만들었다. 인공지능 조향사를 만든 이유는 단순한 의심과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향수를 만들기 위해 꼭 냄새를 맡아야 하나?”, “그런데 조향사들은 세상의 모든 냄새를 구별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바탕으로 조향사들의 역량을 확인해 보니 유능한 조향사라 할지라도 약 1,300여 종의 냄새를 구별할 수 있었지만, 수 없이 존재하는 냄새를 전부 구별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 회사는 “만일 AI가 향수를 만든다면 새로운 조합도 가능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인공지능(AI)에 냄새를 학습(머신 러닝)시켜 무려 190만 종의 향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조향사 이름을 딴 필라라(philyra)라는 인공지능 샘플 향수를 만들어 고객들로부터 “독창적이며 참신하다.”, “생각지도 못한 조합이다”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심라이즈(Symrise AG)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2019년 10월 22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IBM 싱크 서밋’(IBM Think Summit)에서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아 개발한 향수 ‘베를린 3.0’(Berlin 3.0)까지 공개하는 등 혁신을 이어간다. 


‘베를린 3.0’ 개발은 IBM의 디지털 조향사 ‘필리라’(Philyra)로 부터 도움을 얻은 심라이즈 측이 베를린 최대의 번화가로 알려진 쿠르퓌르스텐담(Kurfṻrstendamm)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에 위치한 유명 쇼핑몰 ‘비키니 베를린’(Bikini Berlin)을 찾은 쇼핑객들로부터 청취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개발한 향수이다. 제작 과정 역시 단순한 경험이 아니라 빅 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된 향수는 개별 고객들의 취향에 완벽하게 부응할 수 있고, 조향사에 의해 한층 세련미를 추가하여 이 세상에 하나뿐인 독특한 향수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190만 종에 해당하는 냄새 구분을 통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향수를 만들 기대감을 갖게 하였다. 


지금까지 상식으로 믿고 누구나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의심을 품거나 질문을 하게 되면 이를 받아들여야 할 상대방이 매우 힘들고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의심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철학도, 과학도, 정치, 사회, 인간관계, 비즈니스 등 모든 거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관점 분야에서의 인사이트는 무엇인가 발전을 이룬다는 것은 단순하다는 접근으로 시작할 수 있다. 즉, 의심하는 것이다. 의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고,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질문할 수밖에 없다. 질문을 통하여 모든 것을 새롭게 보는 것, 지금까지 상식이거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의심하고 다시 바라보는 것이 관점이다. 



          

[1] 이진우, 의심의 철학, 휴머니스트, 2017


[2]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Martina Navratilova, 1956년 10월 18일 ~)는 역대 최고의 여자 테니스 선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크리스 에버트와 치열한 라이벌리를 펼치면서 나란히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 18회를 기록했고, 이외에도 14회의 단식 준우승, 31회의 그랜드 슬램 여자 복식 우승, 10회의 혼합복식 우승 기록을 갖고 있다. 통산 332주 동안의 WTA 1위를 차지해 슈테피 그라프의 377주 다음에 위치하고 있다.


[3] 빌리 진 킹(Billie Jean King, 1943년 11월 22일 ~ )은 은퇴한 미국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그녀는 12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과 16개의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 그리고 11개의 그랜드 슬램 혼합복식 타이틀을 갖고 있다. 그녀는 1973년 전 윔블던 우승자인 남자 선수 바비 릭스(Bobby Riggs)와의 성 대결 이벤트 경기에서 승리하기도 했다.


[4] 크리스틴 마리 크리스 에버트(Christine Marie Chris Evert, 1954년 12월 21일 ~ )는 전 WTA 세계랭킹 1위였던 미국의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1972년 프로에 데뷔하여 1989년 은퇴하였다. 그녀는 7번의 프랑스 오픈 우승을 비롯하여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18번 우승하였다. 그녀는 1975, 1976, 1977, 1980, 1981년에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하였다.



이전 12화 점점 생각을 빼앗기는 느낌, 저만 그런가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